목서흠

덤프버전 :


1. 개요
2. 생애
3. 가족과 후손
4. 묘역



1. 개요[편집]


조선 중기의 문신. 이름은 목서흠(睦敍欽), 본관사천(泗川), 는 순경(舜卿), 는 매계(梅溪), 시호는 충정(忠貞)이다.


2. 생애[편집]


1571년(선조 4년)에 태어났다. 임진왜란 초인 1593년(선조 27년)에 아버지 목첨과 형 목수흠을 잃었고, 1597년(선조 30년)에 음서로 관직에 올라 제용감 참봉을 지냈으나 얼마 뒤 물러났다. 전쟁이 끝난 후에는 내시교관, 호조 낭관, 형조 낭관을 역임했고 1606년(선조 39년)에는 양주 현감으로 부임했으나 문묘낙서옥으로 물러나야 했다.[1] 광해군 재위기에는 병조 정랑과 홍문관의 요직을 맡았다.

1623년(인조 원년)에 인조반정이 일어나 인조가 즉위한 후에는 함경도 선유어사로 임명받았고, 1년 뒤에 이괄의 난이 일어났을 때에는 공주까지 인조를 모시고 따라갔다. 이어 광주목사, 남양부사, 지제교, 좌승지를 역임했고 정묘호란 때에는 이괄의 난 때와 마찬가지로 인조를 옆에서 모셨다. 그 뒤 양양부사와 개성부 유수를 거쳐 우승지와 예조참판을 지내는 등 정부 내 주요 관직을 두루 맡았다.

효종이 즉위하고 얼마 지나지 않은 1650년(효종 1년)에는 동지중추부사 직을 맡았고, 나이가 많은 관료들이 들어가는 기로소에 입소했다. 2년 뒤인 1652년(효종 3년) 3월 24일에 청파리에서 사망했다. 향년 82세였다.[2] 사후 23년 뒤인 1675년(숙종 1년)에 시호 '충정(忠貞)'을 받았다.#


3. 가족과 후손[편집]




4. 묘역[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의 기념물 제27호
충정공 목서흠 묘역
忠貞公 睦叙欽 墓域


소재지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 산62번지
분류
유적건조물 / 무덤 / 무덤 / 기타
수량 / 면적
분묘 1基, 석물 9基, 토지 205.3㎡
지정연도
2009년 6월 25일


파일:충정공_목서흠_묘역_4_(촬영년도___2015년).jpg

파일:충정공_목서흠_묘역_2_(촬영년도___2015년).jpg}}}
목서흠 묘역[3]


현재 서울특별시 도봉구 방학동에 목서흠의 묘가 있다. 부인 안동 권씨와 합장되었으며 봉분은 하나이다. 묘비, 상석, 혼유석, 망주석, 동자석, 향로석은 조선시대에 조성한 것이고 나머지 석물은 전부 현대에 만든 것이다. 이 일대는 목서흠 뿐 아니라 그의 조상들과 후손들의 묘도 같이 있어 하나의 가족 묘역을 이루고 있다.

2009년 6월 25일에 서울특별시 기념물 제27호로 지정받았다. 기념물로 지정받기 전에 후손들이 새로 장명등과 문인석을 세웠는데, 서울특별시 문화재위원회에서 없애는 것이 좋겠다고 하여 헐었다.

묘의 입구에는 목서흠의 일생과 업적이 적힌 신도비가 세워져있다. 목서흠이 예조에 재직했을 때의 동료 조경이 글을 짓고 이정영과, 조경의 조카인 조위명이 글씨를 썼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8 06:27:01에 나무위키 목서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1606년(선조 39년)에 신원 미상인 사람이 성균관 문묘의 벽에다 정부 고관들을 비방하는 낙서를 하여 성균관 유생들이 대거 투옥당한 사건이다.[2] 당시 나이 셈법인 세는나이를 적용한 기준이다. 만으로는 80 ~ 81세이다.[3] 첫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
두 번째 사진 출처 - 문화재청 국가문화유산포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