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상기창

덤프버전 :



무예도보통지
[ 펼치기 · 접기 ]
1권
찌르는 무기
장창(長槍), 죽장창(竹長槍), 기창(旗槍), 당파(鐺鈀), 기창(騎槍), 낭선(狼先)
2권
베는 무기
쌍수도(雙手刀), 예도(銳刀), 왜검(倭劍), 교전(交戰)1
3권
제독검(提督劍), 본국검(本國劍), 쌍검(雙劍), 마상쌍검(馬上雙劍), 월도(月刀), 마상월도(馬上月刀), 협도(挾刀), 등패(藤牌)
4권
치는 무기
권법(拳法), 곤방(棍棒), 편곤(鞭棍), 마상편곤(馬上鞭棍), 격구(擊毬), 마상재(馬上才)
1:흔히들 왜검교전이라고 이야기하나 무예도보통지에는 '교전' 이라고만 되어 있다.



1. 소개



1. 소개[편집]



마상육기의 하나,본래 명칭은 기창(騎槍). 위키 분류 편의상 마상을 앞에 붙인다.

무예도보통지 1권에 나오는 기예이자 조선 초기부터 무과 시험의 주요한 과목이었다. 주요한 기법으로는 말위에서 전후좌우로 창을 휘둘러 적을 찌르는 기법이다. 전체적으로 기병(騎兵)무예 즉, 마상무예는 조선건국 초기 여진족을 비롯한 북방의 오랑캐들을 방어하고 공격하기 위해 중점적으로 연마되었던 기예다.

1411년 태종때 병조판서가 '마창법(馬槍法)'을 올린 것에서 그 기원이 시작되는 것으로 추측된다. 마창법은 갑을창(甲乙槍)이라하여 두 사람의 기수가 서로 백 보 정도의 거리를 두고 있다가 북을 울리면 맞붙어 겨루는 시험이었다. 이를 시발점으로 하여 마상창술의 체계화가 진행되었으리라 보고 있다.

기창이란 단어가 정식으로 등장한 때는 세종 13년(1431년)부터이다. 병조가 기창세(騎槍勢)와 보창세(步槍勢)의 법을 올리면서 등장하였다. 당시 기창세의 진행과정은 무예도보통지의 기창 투로와 유사하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22:35:17에 나무위키 마상기창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