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희준 마가

덤프버전 :

최초의 한인 사제
김희준 마가
金熙俊 | Mark Kim Hee-jun


파일:Anglican_ordination_1914.jpg 마크 트롤로프 주교 옆 성장을 쥐고 선 이가 김희준 마가 신부이다.

출생
1869년 12월 22일
경기도 강화군 부내면 관청리 250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강화읍 관청길 22)
사망
1946년 5월 11일 (향년 76세)
경기도 강화군
(現 인천광역시 강화군)
재임기간
강화성당 관할사제
1925년 5월 ~ 1934년 9월 30일
기념일
12월 21일 (첫 한인 사제 김희준 서품 기념일)

[ 펼치기 · 접기 ]
학력
성 미카엘 신학원 (성직과정 / 수료)
종교
성공회
가족
부친 김석구[1], 모친 주씨[2]
아내 배안나[3], 장녀 루시[4], 장남 연성[5], 차남 연화[6], 차녀 유시[7]
부제서품
1914년 6월 7일
장림성당
마크 네이피어 트롤로프 주교 주례
사제서품
1915년 12월 21일
장림성당
마크 네이피어 트롤로프 주교 주례

1. 개요
2. 생애
3. 기타



1. 개요[편집]


김희준(金熙俊, Fr. Mark Kim Hee-jun)는 한국인 최초의 성공회 사제로, 신명은 마가[1]이다. 동시에 성공회 한국인 첫 영세자이자 견진자로, 한국인 최초의 영세신자, 견진신자, 전도사, 부제, 사제라는 전무후무한 기록을 보유한 인물이다.


2. 생애[편집]


1869년 12월 22일, 조선국 경기도 강화군 부내면 관청리 250 에서 김해 김씨 김석구와 부인 주씨 사이에서 태어났다.

성인이 된 그는 인천 지역에서 상업에 종사하다가 1893년 7월, 당시 조선선교부 소속이었던 레너드 오틀리 워너(왕란도, Leonard Ottley Warner) 신부와 만나게 된다. 1896년 워너 신부가 떠난 강화지역에 후에 조선교구의 제3대 교구장으로 승좌하는 마크 트롤로프 당시 신부가 존 코프 주교의 명을 받들어 오게 된다. 이때 마크 트롤로프 신부는 전임 워너 신부와 친분이 있었던 김희준의 가정과 함께 기거하며 살게 되었다. 그리고 그 이듬해 11월 7일 김희준은 내동성당에서 영세를 받게 되니, 조선인 최초의 영세자였다.

이후 1901년 마크 트롤로프 신부는 그에게 전도사로서 강화 내리로 갈 것을 명했고 그는 그 명에 따라 내리에서 1908년 까지 사목했고, 1908년 2월부터는 백천전도구로 파견되어 배천교회에서 사목하였고, 특히 그 해 10월 성당을 축성하는 업적을 이루기도 했다.

1914년 1월 1일, 강화 성 미카엘 신학원에 입학하여 성직서품을 위한 신학교육을 받기 시작했고[2], 그해 6월 7일 조선인 최초로 부제품을 받게 된다. 이들의 성직서품이 불과 6개월 만에 성사된 까닭은 교구장 마크 트롤로프 주교가 아래와 같이 밝히고 있다.

후보자들이 서품을 받게 된 것은, 그들의 오랜 노력과 유능하다는 인정, 그리고 교회를 위한 실질적인 봉사의 결과였다. 그래서 성직고시라던가 신학원의 교육과정 등 앞으로는 성직지망자들에게 늘상 부과될 그런 조건들을 요구하지는 않았다. 이렇게 조치를 취하는 데는 위험이 따르는 일이기 때문에 오랫동안 지켜보지 않을 수가 없었다. 그러나, 이렇게 서품을 베풀게 된 것은 장래 한국 교회의 선교를 담당할 한국인들을 기꺼이 받아들인다는 신중한 우리의 의지를 밝히는 뜻에서 이번 조치를 취하게 된 것이다.

"The Bishop's Letter", MC, Vol. 25, No. 141(July, 1914), p. 73.


위와 같은 이유와 더불어 김희준(마가)와 구건조(바나바)는 이미 10년 넘게 전도사로서 지방 곳곳에서 사목한 전력이 있으며, 신학교에서 신학생 겸 교수로 재직할 정도로 신학에 깊은 조예가 이미 있었기에 가능한 일이었다.[3]

부제서품 후 첫 부임지로 진천전도구로 발령받아 1년 정도 사목하다가[4], 1915년 12월 21일, 장림성당에서 조선인 최초로 사제품을 받게 된다. 사제수품 후 첫 부임지는 음성전도구 관할사제였다. 음성지역에서 3년여간 봉직한 후 1918년 4월 29일에는 진천전도구 관할사제가 되었으나, 8개월 정도 봉직하다가, 1919년 2월 21일, 그의 고향인 강화의 강화남부전도구(온수리성당 등 12개 성당) 관할사제로 발령받아 3년여간 봉직한 후, 다시 이번엔 천안전도구 관할사제로 발령받아 1년 반 정도 봉직하다가, 1925년 5월, 고향 강화로 다시 돌아오게 되니 강화북부전도구(강화성당 등 8개 성당) 관할사제 발령이었다. 강화북부전도구에서 근 10년간 봉직하다가, 1934년 10월 1일 부로 직위교체되어 강화북부전도구 보좌사제로서 봉직하게 된다.[5] 그리고 1938년 6월 30일, 사제로서의 소임을 다하고 은퇴하였다. 이후 1946년 5월 11일, 향년 77세를 일기로 별세하였다.


3. 기타[편집]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08:18:47에 나무위키 김희준 마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대에 와서는 '마르코'로 그 명칭이 수정되었다.[2] 성 미카엘 신학원의 공식 설립일은 1914년 4월 30일이나, 1914년 1월 1일부터 김희준(마가)와 구건조(바나바) 두 전도사의 성직서품을 위한 교육이 강화 수도원에서 시작되었다.[3] 신학교에서 김희준 신부의 과목은 '교회사'였다.[4] 그러나 그는 이 곳에서 큰 슬픔을 당하니, 바로 그의 아내 배씨의 죽음이었다.[5] 다만 이는 징계성 인사가 아니고 그의 나이를 고려한 배려이다. 당시 그의 나이 65세로, 당시의 평균 수명을 고려했을 때 이미 고령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