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chinarium

덤프버전 :

>
파일:Amanita_Design_Logo2.png
{{{#2e2e2e,#e5e5e5
[ 펼치기 · 접기 ]
파일:Machinarium-logo.png파일:botanicula-logo.png파일:Samorost-logo-new.png파일:chuchel-logo.png
파일:Pilgrims-logo.png파일:Creaks-logo.png파일:HappyGame-logo.png파일:Phonopolis-logo.png



머시나리움
Machinarium
파일:Machinarium.jpg
개발Amanita Design
유통
플랫폼파일:Windows 로고.svg[[파일:Windows 로고 화이트.svg | 파일:macOS 로고.svg[[파일:macOS 로고 화이트.svg | 파일:Linux 로고.svg[[파일:Linux 로고 화이트.svg | 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svg[[파일:안드로이드(운영체제) 로고 컬러 화이트.svg | 파일:iOS 로고.svg[[파일:iOS 로고 화이트.svg | 파일:PlayStation 3 로고.svg[[파일:PlayStation 3 로고 화이트.svg | 파일:PlayStation Vita 로고.svg[[파일:PlayStation Vita 로고 화이트.svg | 파일:PlayStation 4 로고.svg[[파일:PlayStation 4 로고 화이트.svg | 파일:Nintendo Switch 로고 가로형.svg | 파일:Xbox One 로고.svg[[파일:Xbox One 로고 화이트.svg
ESD파일:스팀 로고.svg[[파일:스팀 로고 화이트.svg | 파일:GOG.com 로고.svg[[파일:GOG.com 로고 화이트.svg | 파일:itch.io 로고.svg | 파일:Google Play 로고.svg[[파일:Google Play 로고 화이트.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svg[[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로고 화이트.svg | 파일:닌텐도 e숍 로고.svg | 파일:Microsoft Store 로고 다크.svg[[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
장르어드벤처, 인디
출시
[펼치기/접기]
PC
파일:세계 지도.svg 2009년 10월 17일
iOS
파일:세계 지도.svg 2011년 9월 8일
PS3
파일:세계 지도.svg 2012년 10월 9일
PS Vita
파일:세계 지도.svg 2013년 3월 26일
PS4
파일:세계 지도.svg 2016년 9월 21일
NS
파일:세계 지도.svg 2018년 11월 1일
XBO
파일:세계 지도.svg 2020년 4월 16일
한국어 지원자막 지원
심의 등급파일:게관위_15세이용가.svg 15세 이용가[1]
파일:게관위_12세이용가.svg 12세 이용가[2]
해외 등급파일:ESRB Everyone 10+.svg ESRB E10+
파일:PEGI 7.svg PEGI 7
관련 사이트파일:홈페이지 아이콘.svg
상점 페이지파일:스팀 아이콘.svg | 파일:GOG.com 로고.svg[[파일:GOG.com 로고 화이트.svg | 파일:itch.io 아이콘.svg | 파일:Google Play 아이콘.svg | 파일:App Store 아이콘.svg | 파일:플레이스테이션 스토어 아이콘.svg | 파일:닌텐도 e숍 아이콘.svg | 파일:Microsoft Store 로고.svg

1. 개요
2. 시스템 요구 사항
3. 특징
4. 등장인물
4.1. 주연
4.2. 블랙햇 형제단
4.3. 주민
5. 도전 과제
6. OST
7. 평가
8. 기타



1. 개요[편집]


체코의 게임 회사 Amanita Design에서 제작한 플래시 인디 게임.

공식 홈페이지에서 체험판을 플레이할 수 있으며, 스팀 등에서 정식판을 구매할 수 있다.[3]


2. 시스템 요구 사항[편집]


시스템 요구 사항
구분최소 사양
Windows
운영체제Microsoft® Windows® XP/Vista/7/8/10
프로세서1.8 Ghz Processor
메모리1GB
저장 공간1GB
macOS
운영체제OS X version 10.11 El Capitan or later
프로세서Intel Mac 1.8 Ghz
메모리1GB
저장 공간1GB


3. 특징[편집]


온통 고철과 폐허만이 굴러다니는 거대한 쓰레기장스러운 스팀펑크 세계관을 배경으로 블랙햇 집단이라는 악역 로봇들에게 당해 쓰레기장에 버려진 주인공 조셉을 조종하는 어드벤처 게임이다. 게임의 무대는 거대한 로봇 도시이며, 주인공 포함 모든 캐릭터가 로봇이다. 식물 빼고는 살아 있는 생명체는 하나도 나오지 않는다는 것이 특이 사항. 심지어 쥐나 고양이, 새 같은 것도 전부 로봇이다.

스토리 라인은 단순하다. 쓰레기장에서 도시로 돌아가 검은모자 형제단이 벌여놓은 깡패짓을 수습하는 것. 도중에 여친도 구하고 딱히 상관없는 캐릭터도 도와주고... 마지막에 검은모자 형제단을 처리하고 주인공과 여친은 도시를 탈출한다. 참고로 검은모자 형제단이 폭탄 테러를 벌이려고 한 이유는 잘 설명되지 않는다. 맥락만 대충 보여주고 슬슬 넘어가는 정도.

아이템을 모아 조합해 스테이지를 돌파하는 상당히 고전적인 타입. 플래시 게임이라고는 하나, 조잡하게 플래시 툴을 써서 그린 수준이 아닌 일러스트 수준의 디자인을 보여준다. 덕분에 인디 게임 페스티벌에서 디자인상을 수상하기도 했다.

대사는 한마디도 나오지 않으며, 모든 것이 그림과 웅얼거림, 행동으로 보여진다. 따라서 언어권에 따른 플레이의 어려움은 없는 게임. 진행하다 막히는 부분은 오른쪽 상단에 있는 두 개의 힌트로 보여준다. 하나는 단순히 지금 해야 할 일의 짧은 힌트이고, 다른 하나는 미니 게임을 진행하면 해당 구간의 해답을 얻을 수 있는 공략 책이다.


4. 등장인물[편집]


이 문서에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 문서가 설명하는 작품이나 인물 등에 대한 줄거리, 결말, 반전 요소 등을 직·간접적으로 포함하고 있습니다.




4.1. 주연[편집]


  • 조셉
파일:머쉬나리움 주인공 조셉.png
블랙햇 집단에게 당해 쓰레기장에 버려진 주인공 로봇. 원래 도시의 최정상에서 청소부로 일하고 있는 듯했으나, 블랙햇 집단에게 도시 밖 쓰레기장으로 쫓겨난다.
  • 베르타
파일:Berta.jpg
블랙햇 집단의 협박으로 작은방 옆 방에서 요리를 하는 로봇. 이 게임 주인공인 조셉의 여자친구이다.


4.2. 블랙햇 형제단[편집]


파일:캡처_2020_02_19_04_22_52_676.png

작중 등장하는 동네 건달 집단. 총 3명의 로봇들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 녀석들 때문에 조셉이 여러모로 피해를 보았다. 일반 로봇들의 돈을 갈취하거나 납치하여 몸 값을 갈취 하는 등으로 돈을 번다. 폭행, 약탈, 살인미수, 테러, 납치 등 흉악 범죄를 거리낌없이 자행하는 집단이다. 이놈들의 최종 목표는 도시를 폭파시켜 가루를 만드는 것. 그러나 조셉의 방해와 활약으로 모두 실패해 카드 게임하던 방에서 물벼락을 맞고 물속에 갇혀있다가 하수구로 퇴출당한다.

검은 모자 형제단의 테마인 The Black Cap Brotherhood는 악역 테마곡에 걸맞게 악랄함과 퇴폐미가 진하게 묻어나오는 명곡이다. 엔딩 크레딧에서도 이 곡이 나올 정도.

  • 큰형
파일:형/두목.png
블랙햇 현제단의 두목. 하는 짓이 딱 조폭이다. 뚫어뻥 총을 가지고 다닌다.

  • 비비탄 블랙햇
파일:캡처_2020_02_19_01_25_09_938.png
비비탄 총으로 감옥을 지키는 빨간 로봇.

  • 뚱뚱한 블랙햇
파일:막내 로봇.png
선글라스를 끼고 다니는 뚱뚱한 로봇. 본작의 메인 빌런. 살벌해 보이는 두목과 달리 뭔가 좀 부족하고 허술해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형/두목 문서의 r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단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형/두목 문서의 r30 (이전 역사)
막내 로봇 문서의 r11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4.3. 주민[편집]


  • 오목 아저씨
  • 술집 주인 (바텐더)
블랙햇 집단을 숨겨준다.[4][5]

  • 버스킹 로봇
파일:버스킹 로봇들.png
블랙햇 집단이 악기들을 전부 망가뜨려서 연주를 못한 로봇. 나중에 조셉에 의해 다시 연주를 하게 된다.
  • 디저리두봇 (didgeribot)[6]
  • 색소폰봇 (saxbot)
  • 드럼봇 (drumbot)

  • 죄수 로봇
이유 없이 블랙햇 집단의 아지트 감옥에 갇혀 있는 로봇들. 담배 피는 걸 좋아하는 골초 로봇이며 온몸이 상당히 부식된 모습이다.


5. 도전 과제[편집]


스테이지를 진행하면서 자연스럽게 클리어되므로 따로 공략이 필요 없다.

아이콘도전 과제명
파일:Mach1.jpg생존자
쓰레기장을 탈출
파일:Mach2.jpg백 인 타운
머시나리움에 입장
파일:Mach3.jpg감옥 탈출
감옥 동료들과 함께 탈출
파일:Mach4.jpg애완동물 돌려주기
강아지를 숙녀에게 데려다주기
파일:Mach5.jpg보드 게임 마스터
틱택토 게임에서 승리
파일:Mach6.jpg음악 애호가
음악가들을 돕기
파일:Mach7.jpg비디오게이머
모든 콘솔 게임에서 승리
파일:Mach8.jpg배관공
블랙햇을 넘쳐나게 하기
파일:Mach9.jpg디액티베이터
폭탄을 끄기
파일:Mach10.jpg디버거
두뇌를 수리
파일:Mach11.jpg구조전문가
베르타를 구출
파일:Mach12.jpg도망의 달인
머시나리움에서 도망치기


6. OST[편집]



파일:Machinarium ost.jpg
Disc 1
순서곡명러닝타임
01The Bottom05:30
02The Sea03:54
03Clockwise Operetta03:53
04Nanorobot Tune03:06
05The Mezzanine02:14
06Mr. Handagote03:17
07Gameboy Tune04:37
08The Furnace02:58
09The Black Cap Brotherhood Theme01:49
10The Prison02:34
11The Glasshouse With Butterfly03:35
12The Castle03:36
13The Elevator07:13
14The End (Prague Radio)02:38
Disc 2
순서곡명러닝타임
1The Robot Band Tune01:47
2Pipe Wrench Dubstep02:36
3Game In The Brain02:56
4Defusing The Bomb02:07
5By The Wall05:04

스팀펑크 세계관에 잘 어울리는 앰비언트 풍의 노래들로 이루어져 있다. OST는 별도로 판매 중이다.


7. 평가[편집]


파일:메타크리틱 로고.svg
플랫폼메타스코어유저 평점


[[https://www.metacritic.com/game/pc/machinarium|
85

]]



[[https://www.metacritic.com/game/pc/machinarium/user-reviews|
8.7

]]



[[https://www.metacritic.com/game/ios/machinarium|
88

]]



[[https://www.metacritic.com/game/ios/machinarium/user-reviews|
7.8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3/machinarium|
78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3/machinarium/user-reviews|
8.3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vita/machinarium|
88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vita/machinarium/user-reviews|
8.5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machinarium|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playstation-4/machinarium/user-reviews|
7.0

]]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machinarium|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switch/machinarium/user-reviews|
7.9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machinarium|
리뷰 부족

]]



[[https://www.metacritic.com/game/xbox-one/machinarium/user-reviews|
리뷰 부족

]]


게임에 어떠한 대사도 없고 그림과 행동으로만 퍼즐이 주어지며, 게임을 진행할수록 상상을 초월하는 방식의 퍼즐이 나오기 때문에 난이도가 어렵다는 평이 많다. 이럴 경우 해답을 보여주는 미니 게임에 손이 많이 가게 되는데, 이마저도 쉬운 편이 아니며 오래 걸린다. 일부 유저들은 힌트를 얻기 위해 미니 게임을 하는 건지, 게임을 진행하기 위해 어쩔 수 없이 미니 게임을 하는 건지 헷갈릴 것이다.


8. 기타[편집]


  • 중후반부에 로봇 저택의 2층으로 올라가면 동일한 개발사의 작품인 사모로스트 2편에 나왔던 문지기 로봇이 전시되어 있는 걸 볼 수 있다. 거꾸로 사모로스트에서도 머시나리움의 이스터 에그가 나온다.[7]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30 22:30:42에 나무위키 Machinarium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PS4, XBO 한정.[2] NS 한정.[3] 본래 $19.99에 판매하다가 $9.99로 가격이 인하되었다. 서너 시간이면 엔딩을 볼 수 있는 게임치고 너무 비싸기는 했다.[4] 술집 작은방에서 검은모자 형제단이 카드 게임을 하고 있다.[5] 그래서 그런지 다른 로봇의 부탁을 들어주고 그에 따른 변화로 퍼즐을 해결한 다른 퍼즐들과 달리 이 로봇에게는 요구대로 돈을 주고 기름을 얻긴 커녕 파리로 골탕을 먹이고 기름을 훔쳐갔다.[6] 공식 디스코드 서버 이모지 명칭 기준[7] 엔딩 이후 주인공의 집으로 돌아가 침대에 누우면 나오는 꿈에 조셉이 찬조 출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