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uendo(노래)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곡이 수록된 동명의 음반에 대한 내용은 Innuendo 문서
Innuendo번 문단을
Innuendo#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Innuendo>
트랙 리스트
[ 펼치기 · 접기 ]
곡명작사 및 작곡리드 보컬러닝타임
1InnuendoQueen프레디 머큐리, 브라이언 메이6:29
2I'm Going Slightly Mad프레디 머큐리프레디 머큐리4:22
3Headlong브라이언 메이프레디 머큐리4:39
4I Can't Live Without You브라이언 메이프레디 머큐리4:35
5Don't Try So Hard프레디 머큐리프레디 머큐리3:39
6Ride the Wild Wind로저 테일러프레디 머큐리4:41
7All God's People프레디 머큐리, 마이크 모란프레디 머큐리4:19
8These Are the Days of Our Lives로저 테일러프레디 머큐리4:12
9Delilah프레디 머큐리프레디 머큐리3:32
10The Hitman프레디 머큐리프레디 머큐리4:52
11Bijou프레디 머큐리, 브라이언 메이프레디 머큐리3:37
12The Show Must Go On브라이언 메이프레디 머큐리4:24
관련 트랙
1Lost Opportunity브라이언 메이브라이언 메이3:53
파일:퀸(밴드) 로고.svg

Innuendo
파일:Innuendo 싱글.jpg
앨범 발매일1991년 2월 5일
수록 앨범
싱글 발매일1991년 1월 14일
싱글 B면Bijou
장르하드 록, 라가 록, 프로그레시브 록, 아트 록
작사/작곡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6:29
프로듀서
레이블파일:영국 국기.svg 팔로폰 레코드
파일:미국 국기.svg 할리우드 레코드

1. 개요
2. 상세
3. 뮤직비디오
4. 가사
5. 여담
6. 기타 트랙 리스트




1. 개요[편집]


1991년 발매 싱글이자, 동명의 정규 14집 Innuendo의 오프닝 타이틀 트랙이다.


2. 상세[편집]


1991년 1월 14일에 유럽에서 발매되어 UK 싱글차트 1위[1], 스위스 3위, 이탈리아, 네덜란드, 아일랜드 차트 4위, 독일 5위, 스페인 6위 등등 전 유럽에서 전작 The Miracle을 뛰어넘는 반응을 얻었다. 다만 유럽 및 호주에서만 싱글컷되었고, 미국에서는 이 곡이 아닌 Headlong을 타이틀곡으로 잡았다.

보통 후기 퀸 최고의 명곡으로 꼽히는 트랙이다. A-B-A 형식의 곡으로, 하드 록플라멩코, 오페라 등 다양한 장르를 조화시켜, 프로그레시브 록을 굉장히 잘 사용했다고 평가받는다.[2] 때문에 대중들에게 제 2의 Bohemian Rhapsody라는 말을 듣기도 한다. 앨범 전체에 흐르는 비장미를 집대성한 곡으로, 90년대 퀸의 어두운 이미지와 록의 강렬함이 철학적 은유가 섞인 가사와 어우러져 독특한 아우라를 발산한다.

이 곡 중간의 플라멩고 속주는 브라이언 메이가 녹음한 것이 아니라 예스의 기타리스트 스티브 하우가 연주했다. 퀸 멤버가 아닌 사람이 퀸 레코드에 기타를 연주한 처음이자 마지막 사례이다.[3]

이 곡은 레드 제플린의 대표곡인 Kashmir에 대해 존경의 의미를 담아 작곡한 것이라 하며, 또한 이 노래를 레드 제플린에게 바쳤다고 한다.[4] 그리고 프레디 사후 추모 콘서트 'Freddie Mercury Tribute Concert'에서 로버트 플랜트가 이 노래를 불렀다. 그러나 당시 로버트 플랜트가 감기에 걸리는 바람에 고음 부분을 제대로 소화하지 못했고, 결국 해당 퍼포먼스가 여러모로 아쉽게 되어 버렸다. 이 때문에 추모 공연 DVD에서는 빠졌다.


3. 뮤직비디오[편집]


Innuendo
M/V


4. 가사[편집]





{{{#!wiki style="display: inline; font-family:-apple-system, BlinkMacSystemFont, SF Pro Display, HelveticaNeue, Arial, sans serif" {{{#!wiki style="word-break: normal" One, two, three, four
하나, 둘, 셋, 넷
● ● ●
Ooh-ooh, ooh-ooh
● ● ●
While the sun hangs in the sky
하늘에 태양이 있고
And the desert has sand
사막에 모래가 있는 한
While the waves crash in the sea
파도가 바다에서 철썩여
And meet the land
땅으로 치는 한
While there's a wind and the stars
바람이 있고 별이 있으며
And the rainbow
무지개가 있는 한
'Till the mountains crumble into the plain
산들이 무너져 평지가 될 때까지
Oh yes, we'll keep on tryin'
우리는 계속해서 노력할 거야
Tread that fine line
그 좁은 길을 따라서
Oh, we'll keep on tryin', yeah
우리는 계속해서 노력할 거야
Just passin' our time
그저 시간을 보내면서
Ooh-ooh, ooh-ooh
● ● ●
While we live according to race
우리가 민족이나
Color or creed
인종, 종교에 따라 사는 한
While we rule by blind madness
우리가 눈먼 광기와
And pure greed
순수한 탐욕으로 지배하는 한
Our lives dictated by tradition
우리의 삶이 전통과
Superstition, false religion
미신, 거짓된 종교에 의해 정해지는 한
Through the eons, and on and on
영겁을 지나고, 계속해서, 계속해서
Oh yes, we'll keep on tryin'
우리는 계속해서 노력할 거야
We'll tread that fine line
그 좁은 길을 따라서
Oh, we'll keep on tryin'
우리는 계속해서 노력할 거야
'Till the end of time
삶이 끝나는 때까지
'Till the end of time
삶이 끝나는 때까지
● ● ●
Through the sorrow
슬픔을 넘어
All through our splendor
우리의 화려함을 넘어
Don't take offense at my innuendo
내 빈정거림을 기분 나쁘게 듣진 마
● ● ●
You can be anything you want to be
넌 되고 싶은 어떤 것이든 될 수 있어
Just turn yourself into anything
그저 자신을 바꾸면 돼
You think that you could ever be
네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하는 어떤 것으로든
Be free with your tempo
너 자신의 속도에 맞춰 자유로워져
Be free, be free
자유로워져, 자유로워져
Surrender your ego, be free
너의 자아를 버리고 자유로워져
Be free to yourself
네 자신에게 자유로워져
● ● ●
Ooh-ooh, ooh-ooh
Yeah
● ● ●
If there's a God, or any kind
신이 있거나, 어떤 종류의
Of justice under the sky
정의라도 하늘 아래에 있다면
If there's a point, if there's a reason
목적이 있다면
To live or die
살고 죽는 데 이유가 있다면
If there's an answer to the questions
답이 있다면, 우리가 그토록
We feel bound to ask
묻고 싶어하는 질문들에
Show yourself, destroy our fears
자신을 드러내, 공포를 파괴하고
Release your mask
가면을 벗어던져
Oh yes, we'll keep on tryin'
우리는 계속해서 노력할 거야
Hey, tread that fine line
그 좁은 길을 따라서
Yeah, we'll keep on smiling, yeah
우리는 계속해서 웃을 거야
Yeah, yeah, yeah, yeah
And whatever will be, will be
무슨 일이 생기든
Just keep on tryin'
계속해서 노력할 거야
Just keep on tryin'
계속해서 노력할 거야
'Till the end of time
삶이 끝나는 때까지
'Till the end of time
삶이 끝나는 때까지
'Till the end of time
삶이 끝나는 때까지
Written By: Queen


5. 여담[편집]


  • 뮤직비디오의 4분 25초 경에 등장하는 책은 알렌 프렌치의 'Felham and his Friend Tim'(428p)# 장편 소설이다. 단순 유머로 삽입되었는지는 알 수 없다.

  • 여담으로 곡에 나오는 웅장한 오케스트라 사운드는 KORG M1 신디사이저로 사용되었다고 한다.



6. 기타 트랙 리스트[편집]



[1] 1981년 발표한 Under Pressure 이후 10년만에 영국 싱글차트 1위를 차지했다.[2] 당시 1990년대의 프로그레시브 록은 멸종과도 같은 시기였는데, 이를 대중성과 작품성 모두 갖춘 것은 엄청난 일이 아닐수 없다.[3] 그 다음의 기타 솔로는 당연히 메이의 연주.[4] 퀸이 레드 제플린의 팬이라는 사실은 상당히 유명하다. 데뷔 앨범 Queen은 발매 당시 레드 제플린의 사운드와 상당히 유사하다는 평을 듣기도 했으며, 1986년 매직 투어의 베를린 공연에서는 Immigrant Song커버한 바 있다. 다만 이쪽도 프레디가 가사를 아예 숙지하지 않은 상태에서 어거지로 부른 것이었으므로 퀄리티는 그리 좋은 소리를 못 듣는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Innuendo 문서의 r126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Innuendo 문서의 r126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6-12 00:13:46에 나무위키 Innuendo(노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