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lash Gordon(음반)

덤프버전 :

{{{#!wiki style="margin: 5px 10px -10px;" 파일:퀸(밴드) 심볼.svg

프레디 머큐리†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0 10px; padding: 5px 10px;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to bottom, transparent 45%, #000000 45%, #000000 55%, transparent 55%); width: 90%"

[ Studio Album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0%;"
[ Live Album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argin: -5px 0px -10px; min-width: 20%;"
[ Compilations ]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 25%;"
[ 관련 문서 ]




Flash Gordon
파일:Queen - Flash Gordon.png
발매일1980년 11월 10일
녹음일1980년 2월 - 3월 10월 - 11월
장르팝 록
재생 시간35:01
곡 수18곡
프로듀서브라이언 메이, 맥
레이블파일:영국 국기.svg EMI
파일:미국 국기.svg 엘렉트라 레코드

1. 개요
2. 트랙 리스트
2.1. 기타


1. 개요[편집]


1980년에 발매된 의 정규 9집 앨범.

장편영화 플래시 고든 의 OST이자 퀸의 9번째 정규앨범으로써 발매되었다. 당연히 2011년에 리마스터 되었다. 근본이 된 영화는 좋은 평가와는 별개로 흥행은 참패했고, OST앨범이라서 그런지 전체 18곡 중에서 가사가 있는 곡은 2곡 밖에 안된다.[1] 그래도 전작인 The Game의 영향인지 차트 성적은 좋아서 영국 10위, 미국 23위에 등극했다. 또 퀸 전체 앨범 중 수록곡이 가장 많은 앨범이기도 하다.[2]

이 앨범 관련 퀸 투어가 독립적으로 이루어졌다고 보기는 애매하지만 80년 유럽 Game 투어 공연부터 이 앨범의 수록곡[3]이 셋리스트에 들어갔기때문에 이후 공연들을 Flash Gordon 투어로 보기도 한다. 따라서 The Game/Flash Goron 투어로 칭하기도 한다.

퀸 다큐멘터리인 '우리들의 나날'에서 2부 오프닝때 플래시 고든을 패러디한 오프닝이 나온다. 영화 OST 앨범이지만 퀸 멤버들이 정규앨범 취급한다.

전작 The Game 에서 신디사이저를 앨범작업에 처음 사용해서인지 조심스럽고 간결하게 뽑아내어 사용한 느낌이라면 이 앨범에서는 모든 멤버가 물 만난 고기 마냥 당시 신디사이저에서 뽑아낼 수 있는 한계를 사용한 느낌을 준다. (SF영화 ost 라는 점도 작용했다) 하지만 모든 트랙이 신디사이저로만 채워진것은 절대 아닌데, 각 트랙마다 맴버들의 악기연주는 물론이고, 적절한 영화대사의 삽입,14번 트렉의 브라이언의 멋진 오케스트레이션을 감상할수있는 'The Wedding March' 도 수록되어 있다.
마지막 곡인 'The Hero' 는 앨범 녹음한 그해 싱글 발매를 염두에 두고 다시 재녹음되었으나 공개되지 않다가 2011년 40주년 리마스터 앨범에서 재녹음된 'Revisited' 버전이 처음 공개되었다.


2. 트랙 리스트[편집]


파일:Flash Gordon Logo.png
파일:Queen - Flash Gordon.png
발매일: 1980. 11. 10.
트랙이름곡 길이작곡가
1Flash's Theme3:30Brian May
2In The Space Capsule(The Love Theme)2:21Roger Taylor
3Ming's Theme (In the Court of Ming the Merciless)2:53Freddie Mercury
4The Ring (Hypnotic Seduction of Dale)0:58Freddie Mercury
5Football Fight2:59Freddie Mercury
6In The Death Cell(Love Theme Reprise)2:26Roger Taylor
7Execution of Flash1:06John Deacon
8The Kiss (Aura Resurrects Flash)[4]1:47Freddie Mercury,
Howard Blake
9Arboria (Planet of the Tree Men)[5]1:41John Deacon
10Escape from The Swamp1:44Roger Taylor
11Flash to the Rescue2:47Brian May
12Vultan's Theme (Attack of the Hawk Men)1:15Freddie Mercury
13Battle Theme2:20Brain May
14The Wedding March0:56Richard Wagner,
(Arr. Brian May)
15Marriage of Dale and Ming (And Flash Approaching)2:04Brain May,
Roger Taylor
16Crash Dive on Mingo City1:01Brian May
17Flash's Theme Reprise(Victory Celebrations)1:39Brian May
18The Hero3:31Brian May,
Howard Blake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3:30

자세한 내용은 항목 참조.


02. In The Space Capsule (The Love Theme)
작곡가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2:21

몽환적이고 신비로운 느낌을 주는 신디음이 주를 이루는 곡.

03. Ming's Theme (In The Court of Ming the Merciless)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2:53


04. The Ring (Hypnotic Seduction of Dale)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0:58


05. Football Fight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2:59

흥겨운 리프가 인상적인 록 트랙. 신디사이저가 쓰이지 않은 초기 버전에서는 이 리프가 피아노와 기타로만 연주되었다.

06. In The Death Cell (Love Theme Reprise)
작곡가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2:26


07. Execution of Flash
작곡가존 디콘
러닝 타임1:06


08. The Kiss (Aura Resurrects Flash)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Howard Blake
러닝 타임1:47

프레디의 아름다운 목소리를 마음껏 느낄 수 있는 곡. 가성으로 A5(3옥타브 라)를 너무도 부드럽게 내는 것을 들을 수 있다. 곡 후반부에는 오케스트라 음과 비슷한 신디사이저 소리가 들어가 있다.

09. Arboria (Planet of the Tree Man)
작곡가존 디콘
러닝 타임1:41


10. Escape from The Swamp
작곡가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1:44

사족으로 이 곡은 퀸 전체 앨범 수록곡을 나열했을 때 100번째 곡이라고 한다.

11. Flash to the Rescue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2:47


12. Vultan's Theme (Attack of the Hawk Men)
작곡가프레디 머큐리
러닝 타임1:15


13. Battle Theme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2:20


14. The Wedding March
원곡자리하르트 바그너
편곡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0:56

본 앨범에서 가장 짧은 곡이지만, 기타로 오케스트라 사운드를 구현해 내는 브라이언의 솜씨를 느낄 수 있는 매력적인 곡이다.

15. Marriage of Dale and Ming (And Flash Approaching)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로저 테일러
러닝 타임2:04


16. Crash Dive on Mingo City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1:01


17. Flash's Theme Reprise (Victory Celebrations)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러닝 타임1:39


18. The Hero
작곡가브라이언 메이, Howard Blake
러닝 타임3:31

'Battle Theme'으로 시작하는 앨범에서 두 번째로 유명한 곡으로, 1980년부터 1982년까지 라이브에서 연주되었다. 프레디의 파워풀한 고음을 들을 수 있는 곡이지만, 라이브에서는 원래의 A Maj 키에서 E Maj 키로 낮춰 부른다.[6][7]

2.1. 기타[편집]


이 앨범 수록곡 중 'Flash's Theme', 'Football Fight', 'Battle Theme', 'The Hero'가 19곰 테드에 사용되었다.

여담으로, 일본 애니메이션 The Big-O의 1기 오프닝 테마가 이 앨범에 수록된 'Flash's Theme'과 비슷해서 논란이 있었다. 이는 작곡가 나가이 루이가 퀸의 팬이었다보니 해당 노래를 오마쥬한 것이었는데 문제는 오마쥬라고 치기에는 너무나도 비슷하였던 것. 결국 나가이 루이가 1기 오프닝 노래의 저작권을 퀸의 멤버이자 'Flash's Theme'의 작곡자인 브라이언 메이에게 넘겨주는 것으로 일단락 되었고 해당 오프닝은 이후 DVD에서 삭제되었다.#
빅 오의 1기 오프닝

We Will Rock You만큼은 아니지만, 굉장히 선동적인 초반부 Flash! 아↗아↘~ 반복때문에 광고 BGM으로 적지 않게 사용된다. 구글의 Pixel 3 광고나, 2016년 클래시 로얄의 광고 음악으로도 사용되었다. Flash 와 Clash의 유사성을 이용한 언어유희적 선택으로 보인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플래시 고든 문서의 r12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플래시 고든 문서의 r12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5 13:00:33에 나무위키 Flash Gordon(음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Flash's Theme'과 'The Hero' 이다.[2] 다만 곡 길이가 대부분 전체적으로 짧다.[3] Flash, The Hero, Battle Theme, Football Fight, Vultan's Theme 등[4] Side One의 마지막 곡[5] Side Two의 첫 곡[6] 인트로에서 A - D/A - A 코드로 진행되는 기타 리프는 여전하지만, 원곡에선 전조 없이 기타 리프의 네번째 박에서 가사가 시작되는 반면 라이브에선 E 코드를 연주하며 E Maj 키로 전조가 되고 네번째 박에서 가사가 시작되며 E Maj 키의 딸림 화음인 B 코드를 연주한다.[7] 원곡에서는 3옥 도# 음을 스크래치까지 섞어가며 발성하는데, 프레디 머큐리는 어지간한 컨디션이 아니면 라이브에서 3옥 도 이상의 음을 찍는 일이 거의 없었다. The Hero의 라이브 버전은 최고음이 2옥 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