Femme Fatale(나카모리 아키나)

덤프버전 :


Femme Fatale
파일:attachment/akinafatale2.jpg
열 세 번째 앨범
발매일1988년 8월 3일
레이블워너 파이오니아
초동106,530장
판매량268,820장
최고 순위1위
연간 순위30위


1. 개요
2. 비고
3. 트랙리스트
4. 가사
4.1. Reversion
4.2. Heartbreak
4.3. 抱きしめていて
4.4. Femme Fatale
4.5. I Know 孤独のせい
4.6. La Liberté
4.7. So Mad
4.8. Paradise Lost
4.9. Move Me
4.10. Jive


1. 개요[편집]


TAKE UP A NEW FASHION!! 댄서블한 비트감이 넘쳐흐르는 13th Album[1]

캐치프레이즈

1988년 발매된 일본의 여가수 나카모리 아키나의 13번째 정규앨범으로, Stock으로부터 5개월 만에 발매되었으며 1987년의 앨범 Cross My Palm과 비슷하게 해외의 음악가를 기용한 다수 기용한 작품이다.


2. 비고[편집]


  • 'Femme Fatale'는 프랑스어로, 익히 알려진 '팜(므) 파탈'의 뜻 그대로이다.(파멸적인 여성, 요부).
  • 오리콘 앨범 차트에 주간 2위로 첫등장한 후, 그 다음주에 1위를 기록하였다. 전작 《Stock》에서 놓친 1위를 다시 기록하였으나, 판매량 자체는 《Stock》보다 약 12만장 가량 떨어졌다. 연간 기록은 30위.
  • 작곡가 다수가 해외의 뮤지션들로, 녹음 또한 로스앤젤레스에서 이루어졌다. 87년의 정규앨범 《Cross My Palm》과 유사한 면이 많은데, 이 앨범 역시 외국의 음악가들이 참여하였고 뉴욕에서 녹음되었다.
  • 작가진 중 세키네 안리는 이 해 5월의 싱글 <TATTOO>[2], Qumico Fucci는 이 해 11월의 싱글 <I MISSED THE SHOCK>[3]의 작곡가이기도 하다.
  • 전작 《Stock》과 이 앨범으로 콘서트 투어 'Femme Fatale'을 개최하였다. 수록곡 중 <So Mad>, <La Liberté>, <抱きしめていて (Love Is My Favorite Lesson)>는 음악방송 '밤의 히트 스튜디오'와 '뮤직 스테이션'에서 선보이기도 하였다.
  • 2번 트랙 <Heartbreak>는 1988년 홍콩 댄스그룹 초맹(Grasshopper)이 '紅唇的吻(홍입적문)'라는 이름으로 번안했다.
  • 5번 트랙 <I Know 孤独のせい>의 제목은 말장난이다. (I= 아이 =愛= 사랑), (Know= 노= の= 의). 합쳐보면 제목의 정확한 의미는 '사랑의 고독 때문에'이다.
  • 6번 트랙 <La Liberté>는 프랑스어자유라는 뜻. 이 노래와 <Femme Fatale>은 프랑스어로 된 제목이고, 나머지는 다 영어(일본어) 제목이다.

3. 트랙리스트[편집]


트랙제목작사 작곡편곡
01Reversion미치유키 메구미Dina Miller
Allan Gorrie
Scott Wilk[S]
02Heartbreak아오키 쿠미코쿠즈구치 마사유키Jon Lind[S]
03抱きしめていて (Love’s My Favorite Lesson)
(안고 있어줘)
후유모리 카요코Julie MorrisonMark Goldenberg[S]
04Femme Fatale아오키 쿠미코Nick WoodJon Lind[S]
05I Know 孤独のせい (고독 때문에)Qumico FucciMark Goldenberg[S]
06La Liberté (When You Touch Me)모리 유리코Joey CarboneJoey Carbone[S]
07So Mad후유모리 카요코세키네 안리Scott Wilk[S]
08Paradise Lost (Love Is In Fashion)모리 유키코Robert Etoll
Michael Des Barres
Mark Goldenberg[S]
09Move Me (Strictly Confidential)츠타다 요시코Robert Etoll
Peter Bliss
Scott Wilk[S]
10JiveQumico Fucci츠시미 타카시미야케 준


4. 가사[편집]



4.1. Reversion[편집]


Full Ver
【 Reversion - 가사/펼치기】



4.2. Heartbreak[편집]


Full Ver
【 Heartbreak - 가사/펼치기】



4.3. 抱きしめていて[편집]


Full Ver
【 안고 있어줘 - 가사/펼치기】



4.4. Femme Fatale[편집]


Full Ver
【 Femme Fatale - 가사/펼치기】



4.5. I Know 孤独のせい[편집]


Full Ver
【 I Know 고독 때문에 - 가사/펼치기】



4.6. La Liberté[편집]


Full Ver
【 La Liberté - 가사/펼치기】



4.7. So Mad[편집]


Full Ver
【 So Mad - 가사/펼치기】



4.8. Paradise Lost[편집]


Full Ver
【 Paradise Lost - 가사/펼치기】



4.9. Move Me[편집]


Full Ver
【 Move Me - 가사/펼치기】



4.10. Jive[편집]


Full Ver
【 Jive - 가사/펼치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26 05:08:40에 나무위키 Femme Fatale(나카모리 아키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TAKE UP A NEW FASHION!! ダンサブルでビート感溢れる13th Album[2] 세키네 안리는 86년도의 앨범 《불가사의》에 참여했던 밴드 'EUROX'의 멤버이다.[3] Qumico Fucci의 본명은 福士 久美子(후쿠시 쿠미코)로, <I MISSED "THE SHOCK">의 작사와 작곡을 모두 맡았다. 1995년에는 비주얼계 밴드 쿠로유메Feminism 앨범에 코러스로 참가하기도 했다.[S] A B C D E F G H I 1~9번 전 트랙 코러스 편곡 : 시이나 카즈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