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월 미야기 해역 지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같은 해 2월에 발생한 본진에 대한 내용은 2021년 후쿠시마 해역 지진 문서
2021년 후쿠시마 해역 지진번 문단을
2021년 후쿠시마 해역 지진# 부분을
, 5월에 발생한 3차 강진에 대한 내용은 2021년 5월 미야기 해역 지진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이 지진의 본진에 대한 내용은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문서
#s-번 문단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2021년 미야기 해역 지진
令和3年(2021)宮城県沖地震
[1]
파일:521414_208536_3840.jpg
파일:Ew6W9qLVkAUccli.jpeg.jpg
긴급
지진속보
발령지역
도호쿠 지방[2]
발생2021-03-20 18:09:45.3
진앙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동쪽 74km 해역
진원 깊이59km[JMA], 57km[NIED], 54.0±4.7km[USGS]
규모Mj 6.9[3] / Mw 7.0
최대 진도5강[4][5]
미야기현 전역
해일
경보/주의보
해일주의보
미야기현 연안, 1m[해제][6]
여진 횟수
4. 18. 09:29
최대 여진: M 5.8, 진도 4
최대 진도 1 이상 46회
피해현황
3. 20.
사망0명
부상7명
재산피해5억 5천만 달러
각 도도부현의 최대진도 목록
5+미야기
5-이와테, 후쿠시마
4아오모리, 아키타, 야마가타, 이바라키, 도치기, 군마, 사이타마, 치바, 가나가와, 니가타, 야마나시, 나가노
3홋카이도, 도쿄, 시즈오카
2이시카와, 기후, 아이치, 미에, 시가
1도야마, 오사카, 효고

NHK 생방송
일본 지진 정보
1. 개요
2. 경과
3. 여진
4. 둘러보기


일본 NHK 방송의 실시간 긴급지진속보 방송 송출본

일본 NHK 방송의 실시간 긴급지진속보
(한국어 번역본)

1. 개요[편집]


2021년 3월 20일에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동쪽 74km 해역에서 발생한 지진.

일본 기상청은 3월 20일 밤 8시 20분 경 진행한 기자회견에서 이번 지진이 2011년에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여진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1주일 정도 진도 5강 수준의 지진을 주의해야 된다고 당부했고, 특히 사나흘 내에 큰 지진이 날 수 있다고 발표했다.

긴급지진속보 당시에 진도 6약 이상이 관측되었을 때 나오는 송출음이 나왔음에도 불구하고 최대 진도는 5강으로 발표되었다.


2. 경과[편집]


2월 13일 후쿠시마 해역 지진에 이은 두번째 강진. 최대 진도는 5강을 기록했으며 규모도 6.9로 큰 편에 속했다

센다이에서 큰 흔들림이 있었으며, 도쿄의 도심부에서도 진도 3 이상을 관측했다고 하니 꽤 파급력이 큰 지진이라고 할 수 있다.

이 지진으로 인해서 일본 기상청과 야후재팬이 몇 시간 가량 먹통이 되었다.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의 한 공장에서 화재가 발생했다. 이 지진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미야기현 연안에 쓰나미 주의보가 발령되었다. 해일의 높이는 1m로 예상됐다. # 7시 31분에 해제되었으며, 해일은 관측되지 않았다.# 피난 지시도 8시 3분 해제되었다.#

재래선, 도호쿠 구간의 신칸센이 운행 정지되었다.# 11시 32분에 도쿄~센다이 구간은 운행을 재개했다.#

미야기현의 400가구에서 정전이 일어났다.#

지진의 규모가 7.2에서 6.9로 하향수정 되었다. #



3. 여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2021년 후쿠시마 해역 지진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둘러보기[편집]


문서가 존재하는 2021년 지진
[[틀:지진/2020년|

2020
]]
>
>
2021
>
[[틀:지진/2022년|
>
2022
]]
[ 1월 ~ 8월 ]
발생일규모지진명
01. 15M 6.2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지진
02. 13M 7.3후쿠시마 해역 지진
03. 04M 7.4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
03. 05M 7.6
M 8.2
03. 18M 6.0알제리 지진
03. 20M 7.2미야기 해역 지진 (3월) [A]
04. 10M 6.1인도네시아 자바섬 남부 지진
04. 28M 6.4인도 아삼 지진
05. 01M 6.9미야기 해역 지진 (5월) [A]
05. 21M 6.4중국 윈난성 지진
05. 22M 7.4중국 칭하이성 지진
06. 16M 6.1인도네시아 말루쿠 주 지진
06. 23M 5.8페루 지진 (6월) [B]
07. 29M 8.2알래스카 지진
07. 30M 6.4페루 지진 (7월)
08. 05M 6.1대만 동부 군발지진
08. 06M 5.4
08. 12M 7.3필리핀 민다나오 섬 지진
08. 13M 7.8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M 8.1
08. 14M 7.3알래스카 지진 [C]
M 7.2아이티 지진
08. 16M 6.9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08. 18M 7.1바누아투 지진
08. 22M 6.6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08. 23M 7.1
08. 26M 5.8인도네시아 술라웨시 섬 중부 지진
08. 31M 6.5뉴질랜드 케르마덱 지진 [E]
[A] : 2월 13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유발지진.
[B] : 7월 30일 발생한 페루 지진과 문서 병합됨.
[C] :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D] :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E] : 3월 5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 9월 ~ 12월 ]
발생일규모지진명
09. 08M 7.1멕시코 지진
09. 16M 6.0중국 쓰촨성 지진
M 5.4이시카와현 군발지진
09. 22M 6.0호주 지진
09. 27M 6.0그리스 크레타 지진 [F]
10. 02M 7.3바누아투 지진 [G]
10. 04M 6.2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10. 06M 6.0이와테 해역 지진 (10월) [A]
10. 07M 6.1파키스탄 지진
M 6.1일본 치바현 지진
10. 08M 6.1사우스조지아 사우스샌드위치 제도 지진 [D]
10. 09M 7.0바누아투 지진 [G]
10. 11M 6.9알래스카 지진 [C]
10. 12M 6.4그리스 크레타 지진
10. 16M 5.1인도네시아 발리 섬 지진
10. 18M 6.1바누아투 지진 [G]
10. 24M 6.5대만 이란현 지진
11. 14M 6.4이란 남부 지진
M 6.3
11. 28M 7.5페루 지진 (11월)
[A] : 2월 13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유발지진.
[C] :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D] : 7월 29일에 발생한 지진의 여진.
[F] : 10월 12일에 발생한 지진의 전진.
[G] : 8월 18일에 발생한 바누아투 지진의 여진. (문서 병합됨)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7 03:51:40에 나무위키 2021년 3월 미야기 해역 지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규모 6.9로 하향[2] 미야기현, 이와테현, 후쿠시마현, 아오모리현, 아키타현, 야마가타현[JMA] [NIED] [USGS] [3] 기존 Mj 7.2에서 하향 조정되었다.[4] 긴급지진속보 발표 당시 6강으로 예측했으나 지진계에 관측된 최대진도는 5강에 그쳤다.[5] JMA 계측진도 5.4, J-RISQ 계측진도 5.8[해제] 현재는 해제되었다.[6] 분명 진앙지는 해역이었지만 해일은 관측되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