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인

덤프버전 :

1. 중국 명말청초 때의 화승
2. 아메리카 원주민을 부르던 명칭
3. 백인을 달리 표현하는 말
3.1. 단어에 대한 비판
4. 한국의 배우



1. 중국 명말청초 때의 화승[편집]


弘仁 (1610년-1663년)

명말청초 때의 화승(畫僧).[1] 본명은 강도(江韜). 자는 점강(漸江) 또는 육기(六奇)이다.


2. 아메리카 원주민을 부르던 명칭[편집]


아메리카 원주민 문서 참고. 코카소이드를 백인, 네그로이드를 흑인, 몽골로이드를 황인으로 부르는 것처럼 아메리카 인종을 피부색에 빗대어 부르는 명칭이다.

명칭의 기원에 대해서는 주로 야외활동이 많았던 이들의 피부가 붉게 익어 보였던 것에서 유래한다는 설과 위장을 위해 피부를 붉게 칠했던 것에서 유래한다는 설이 존재한다.

오늘날에는 인종차별적 단어로 자리잡히고, 이들 인종을 구분하는 명칭으로 아메리카 원주민, 히스패닉과 같은 단어가 대중적으로 자리잡으면서 쓰이지 않는 추세이다. 동양인을 황인이라고 부르는 것이 정서적으로 엄격하게 금지되는 것 역시 이와 같은 맥락. 일례로 클리블랜드 인디언스의 로고도 빨간 얼굴을 한 인디언을 쓰다가 2018년부터 사용하지 않기로 결정하고 c자로 바꾸었우며, 워싱턴 레드스킨스도 2020년 7월 13일에 인종 차별 반대 여론을 의식하여 워싱턴 풋볼팀으로, 2022년에는 워싱턴 커맨더스로 명칭을 변경했다.


3. 백인을 달리 표현하는 말[편집]


백인들은 색소가 적은 피부에 피부 두께가 얇기 때문에, 피부 속의 붉은 혈색이 돋보이는 편이고 피부가 약하기에 쉽게 안면홍조가 생기며 햇빛에 그을리면 황갈색으로 변하는 게 아니라 붉게 달아오른다. 그래서인지 아토피성 피부염도 많고 햇빛에 약해 주근깨도 많다. 이를 두고 백인을 까는 사람들이 상기된 아메리카 원주민 관련 홍인 드립도 의식해서 '이들은 백인이 아니라 (자기들이 멸시하던) 홍인이다'라는 식으로 쓰면서 퍼지게 되었다. 즉, 피부가 연약하고 쉽게 붉어지는 백인의 특성을 비꼬는 말이다. #

동아시아인들이 서양인들의 피부를 하얗다기보다는 붉은 기운이 돈다고 생각하는 관념은 현대에 갑자기 나타난 것은 아니다. 일본의 얼굴이 붉은 요괴 텐구는 서양인들의 모습을 모티브로 했다고 여겨지며, 또한 근대 일본에서도 러시아 출신의 백인을 보고 일본인들이 '붉은' 아이누라 불렀다고 한다. 조선의 기록에서도 서양인들의 외모를 묘사할 때 면철(面鐵)을 지녔다고 한다. 즉, 얼굴이 철빛이라는 것. 이 철빛이라는 것은 은색이라는 뜻이 아니라, 녹슨 산화철의 붉은 색을 뜻한다.

재미있는 점은 상술했듯 아메리카 대륙에 진출한 백인들이 아메리카 원주민들을 탄압하며 그들을 가리켜 쓴 멸칭이 홍인이었는데 오히려 현대 동양권의 일부 네티즌들에겐 백인들이 그 소리를 듣고 있는 것. 아무튼 이러한 주장에 근거해 '백인:유색인종'의 대립에서 인종차별이 생긴 경우 이에 대한 반발로 '홍인'이라는 지칭이 쓰이고 있다. 자신들을 "백인종" 그 외 사람들을 "유색인종(Colored)"이라고 분류하는 것에 대해 "너희 소위 백인이라 불리는 서양인들도 딱히 피부 흰 거 아니다"라는 반발인 것. 역으로 자기 피부색을 사랑하라며 미백에 부정적인 일부 비백인계 인종한테도 애초에 백인 따라하는 거 아니다라는 일종의 설득용으로 활용 가능하다.[2]


3.1. 단어에 대한 비판[편집]


문제는 해당 단어가 대부분의 경우에 백인들에 대한 비하 또는 경멸의 맥락으로 사용된다는 점에 있다. 홍인이라는 단어를 사용하는 사람들은 이를 정당화하는 근거로 피부가 완전한 '까만색'이 아닌 사람들이 흑인이라 불리고, 피부가 '노란색'이 아닌데도 황인이라는 점을 드는데, 이 전제부터 문제가 있다. 전자의 경우, 대부분의 흑인들은 black이라고 불리는 것에 괘념치 않으며, 오히려 즐겨 사용하는 편이다. 아무래도 흑인들은 사람마다 차이는 있지만 타 인종에 비해 피부가 검다는 것이 사실이라서 그런 것도 있다.

또한 황인이라는 단어는 현재 동양권에서나 쓰이는 말로, 영어권 국가에서는 이미 동양인을 황인(yellow)이라고 지칭하는 것이 인종차별이라는 인식이 뿌리내려서 아시아인/동아시아인(Asian/East Asian)으로 대체된 지 오래다. 아메리카 원주민을 홍인(Red)이라고 부르는 것 역시 인종차별적 용어로 여겨져 현재는 거의 쓰이지 않는다. 이는 동양인과 아메리카 원주민의 경우는 외모적/신체적 특징만 백인들과 차이가 있지 피부색은 백인들과 별 차이가 없기 때문이다.

결국 백인들의 혈색이 붉게 보인다는 이유만으로 홍인이라고 부른다면, 백인들이 자신들의 피부색을 기준으로 동양인을 싸잡아 황인이라고 불렀던 것과 크게 다를 바가 없다.

4. 한국의 배우[편집]


1983년 1월 10일 서울특별시 출생의 남자 배우. 서울예술대학 영화과를 졸업했다.

2002년 영화 턴 잇 업에서 단역을 맡은 것을 시작으로 연기 생활을 한 것으로 보인다. 전체적인 커리어는 드라마, 영화 모두 확실한 주연을 맡은 적은 없는 듯하고 대부분 조연, 단역이었다. 2000년대에는 다수의 뮤지컬에도 출연한 경력이 있다.

2019년말부터 2020년 초까지 방영된 SBS 드라마 스토브리그에서 재송그룹 권일도 회장의 아들 권경준 역할을 맡았다. 김영채 역을 맡은 걸스데이소진과 함께 드라마 내내 굉장히 얄미운 밉상 역할[3]을 잘 소화하며 드라마 종료 후 특별편에서 최고 밉상(...)을 수상했다. 건방진 모습을 강조하기 위해서 대본이 없는 애드리브를 오정세에게 리허설 때 양해를 구하고 시전했다고 한다. 같은 장면에 주로 출연하는 전국환, 오정세에게 누를 끼치지 말자는 자세로 녹화에 임했다고 한다. 악역을 맡아 리얼하게 소화해 팬들의 많은 질책을 받으면서 '내가 역할을 잘 소화했구나'하는 안심이 들었다고...

2020년 MBC 더 게임: 0시를 향하여에 출연했다.

2021년 tvN 어느 날 우리 집 현관으로 멸망이 들어왔다에 출연했다.

영화 '조선 마술사', '해적', '밀정', '공조', '불한당', 드라마 '나의 아저씨', '모두의 거짓말', '배드파파' 등에 매번 다른 캐릭터 소화력을 보이며 존재감을 드러냈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6 20:10:29에 나무위키 홍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불화를 전문적으로 그리거나 회화 작업에 종사하는 승려. 출처: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2] 한국은 한반도에 서양인이 들어오기 훨씬 전 예부터 하얀 피부를 미의 기준 중 하나라고 여기고있다. 위치가 가까운 중국과 일본 등의 동양국가도 그러하다.[3] 작은아버지와 그 아들인 권경민을 대놓고 무시한다. 심지어 권경민이 형임에도 불구하고 쪼인트를 까고 배를 때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