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세아(이스라엘) (r5판)

편집일시 :

[ 펼치기 · 접기 ]
여로보암 왕조바아사 왕조시므리 왕조
초대제2대제3대제4대제5대
여로보암 1세나답바아사엘라지므리
비정통오므리 왕조
제6대제7대제8대제9대
디브니오므리아합아하시야여호람
예후 왕조
제10대제11대제12대제13대제14대
예후여호아하즈여호아스여로보암 2세즈가리야
살룸 왕조므나헴 왕조베가 왕조호세아 왕조
제15대제16대제17대제18대제19대
살룸므나헴브가히야베가호세아
이스라엘 판관 · 통일 이스라엘
남유다 · 바빌론 예후드 · 예후드 메디나타
하스몬 왕조 · 헤로데 왕조 · 유다이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Hosea_rex.jpg

이름호세아
생몰년도기원전 759년~기원전 714년
출생지이스라엘 왕국
재위년도기원전 731년~기원전 722년
약 9년
종교우상숭배
아버지엘라
이전 국왕베가


북이스라엘 왕국의 19대 왕이자 마지막 왕이다. 선왕 베가(이스라엘)를 시해하고 왕위에 올랐다. 치세 중 정치적으로 그나마 덜 악했지만[1] 아시리아를 견제하기 위해 이집트에 끼어 양다리를 걸치다 아시리아의 사르곤 2세에게 멸망하고 만다.

당시 아시리아는 정복군주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에 힘입어 최초로 오리엔트 전역을 통일할 기세였고, 호세아는 대세에 따라 티글라트 필레세르 3세의 아들 샬마네세르 5세에게 조공을 바치면서 나라를 유지한다. 하지만 조공 때문에 점점 나라 재정이 어려워지자 뒤로 이집트와 손을 잡고자 했으며 이를 알아차린 아시리아가 쳐들어와 3년간 사마리아를 포위공격했다. 포위 도중에 샬마네세르 5세가 사망했지만 뒤를 이은 사르곤 2세가 포위를 계속 이어가 수도 사마리아 공략에 성공, 결국 호세아는 아시리아로 끌려갔으며, 북이스라엘은 멸망하고 만다.

예언자 호세아와 이름이 같고 활동 시기도 겹치지만 다른 사람이다.
[1] 여기서 말하는 악행은 성경에선 세속적인 악행+야훼를 올바르게 섬기지 않은 걸 말한다. 열왕기에서는 호세아도 악했지만 그래도 전대의 이스라엘 왕만큼은 아니었다고 한다. 그래도 죄는 짓지 않았다고 평을 받는걸 보면 확실히 다른 왕들보다는 평이 좋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호세아 문서의 r63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호세아 문서의 r63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2-07-14 09:35:11에 나무위키 호세아(이스라엘)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