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원 버스 3005

덤프버전 :


파일:창원 3005번.jpg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5. 시간표
6. 연계 철도역
7. 둘러보기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5번
기점경상남도 창원시 마산합포구 구산면 수정리(수정시내버스환승센터)종점경상남도 창원시 의창구 퇴촌동(창원대학교종점)
종점행첫차05:30기점행첫차05:30
막차22:00막차22:00
배차간격80~100분(1일 12회)
운수사명제일교통인가대수2대
노선수정시내버스환승센터 - 수정종점 - 구산면행정복지센터 - 구산로 - 덕동공영차고지 - 현동초등학교 - 현동중흥1차아파트 - 시립마산요양병원 - 고운초등학교 - 월영마린애시앙아파트 - 해운중학교 - 드림베이대로 - 마창대교 - 남해안대로 - 연덕로 - 창원병원 - 대호타워아파트 - 경창상가 - 창원중부경찰서 - 한국전력공사.조달청 - 경남지방병무청 - 현대썬앤빌(하나님의 교회) - 창원중앙역 - SM비즈타운 - 창원대동문 - 창원대학교종점


2. 개요[편집]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노선 중 하나. 왕복 운행거리는 60.8km다.


3. 역사[편집]


  • 2023년 6월 10일에 창원시 시내버스 노선 전면개편으로 신설되었다.


4. 특징[편집]


  • 구산면 지역은 해당 노선이 신설되기 전에는 그동안 지선, 읍면버스 노선만 다녔는데[1] 최초로 들어오는 급행좌석버스 노선이다.



  • 일부 구간은 무정차로 운행한다. 그 구간들 중에는 1999년부터 무려 24년이나 시내버스가 다니지 않았던 연덕로도 포함되어 있다.

  • 신설된 노선 중 선형이 비슷한 3004번과 함께 경쟁력이 애매한 노선이다. 마산 남부에서 창원 시내로 이동시 소요시간이 10~20분 정도밖에 차이나지 않고[2] 마산남부시외버스터미널경남대학교를 경유하지 않아 도보로 10~20분 정도를 소모해야 하고 창원 시내에서도 주요 상업 지역이 적은 상남로를 지나는데다 원이대로 및 상남시장, 상남상업지구와 가까운 수협경남금융본부 정류장에조차 정차하지 않으며,[3] 배차간격도 긴 편이라 마산 남부-창원 시내간 이동시 6000번 대비 별 메리트가 없는 노선이다.

  • 창원대학교로 갈 때는 730번의 와일드카드 노선처럼 취급될 수 있는데,[4] 이 노선이 10~15분 정도 빠르기에 730번이 먼저 들어오고 이 노선이 15분 이상 기다려야 한다면 730번을 타면 된다. 그러나 본인 집이 이 노선 연선이 아니라면 이용을 추천하지 않는다.

5. 시간표[편집]


파일:창원시 CI_White.svg 창원시 급행좌석버스 3005번 (평일,토,일,공휴일)시간표
수정환승센터발창원대학교종점발
105:30105:30
207:00207:00
308:30308:30
410:00409:50
511:30511:20
613:00612:50
714:30714:20
816:00815:50
917:30917:30
1019:101018:50
1120:301120:30
1222:001222:00

6. 연계 철도역[편집]


  • 파일:코레일_기본_로고.svg 일반 철도역 : 창원중앙역(KTX, SRT, ITX-새마을, 무궁화호, 남도해양관광열차)

7. 둘러보기[편집]


파일:창원시 CI.svg | 파일:창원대.png 창원대학교 경유버스
창원대학교 종점 (120505), 창원대학교입구(120503, 120504)
직행704752
간선100101
110122
150[정문]170[정문]
지선214
김해58[정문]59[정문]
97[정문]98[정문]
창원대동문 (108920), 창원중앙역(종점) (108913)
직행752
지선210211
220[중앙역]221[중앙역]
222[중앙역]
[정문] 창원대학교종점에서 정차 후 출발 / [중앙역] 창원중앙역에서 정차 후 출발
}}} ||


}}}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0-16 15:31:28에 나무위키 창원 버스 3005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801번이 잠깐 다니기는 했다.[2] 다만 마창대교는 잘 정체되지 않기에 RH시간대에는 시간 차이가 더 난다.[3] 그것도 상남로 연선의 다른 정류장에는 정차하면서 연선 정류장 중 가장 수요가 많은 여기만 통과한다.[4] 구산면을 제외하면 마산 남부에서 이 버스와 730번의 선형이 비슷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