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영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동명이인에 대한 내용은 차영현(동명이인) 문서
차영현(동명이인)번 문단을
차영현(동명이인)#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차영현
Cha Young-hyun
파일:차영현3.jpg
출생2003년 9월 24일 (20세)
서울특별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금신초등학교 (전학)
일산초등학교 (졸업)
대화중학교 (졸업)
화정고등학교 (졸업)
고려대학교 세종캠퍼스 (국제스포츠학 / 재학)
종목피겨 스케이팅
신체173cm
코치최형경,김민석
랭킹67위[1]
가족아버지 차창호[2], 어머니, 동생 2명[3]
국가대표2019년 ~ 2023년 (4시즌)
링크파일:유튜브 아이콘.svg
1. 개요
2. 선수 경력
2.1. 2017-18 시즌
2.2. 2018-19 시즌
2.3. 2019-20 시즌
2.4. 2020-21 시즌
2.5. 2021-22 시즌
2.6. 2022-23 시즌
2.7. 2023-24 시즌
3. 기록
4. ISU 공인 최고점수
5. 프로그램
6. 커리어
6.1. 대회 별 상세 점수
7. 기타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남자 싱글 피겨 스케이팅 선수이다.


2. 선수 경력[편집]



2.1. 2017-18 시즌[편집]


주니어 데뷔가 가능한 나이가 되어,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 참가하여 총점 170.35점을 받아 안건형과 이시형에 이은 3위를 기록하며 첫 출전 만에 출전권 두장을 따냈다. 그러나 빙상연맹의 처사에 따라 한 개 대회만 연맹의 지원을 받고, 나머지 한 대회는 자비로 출전해야 하는 상황에 처했다. 결국 선수 본인은 연맹 지원을 받아 한 대회에만 출전하기로 하고, 나머지 출전권 한 장은 그냥 버렸다. 빙신연맹

주니어 그랑프리 7차 대회 2017 JGP 이탈리아에 출전하며 주니어 데뷔를 하였다. 총점 151.36점으로 16위를 기록하며 첫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를 마쳤다.

2018 종합선수권에서 5위를 기록했다. 2018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총점 174.13점으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19위를 기록했다.


2.2. 2018-19 시즌[편집]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서 총점 178.69점으로 1위를 차지하며 출전권 두장을 따냈다. 주니어 그랑프리 2차 대회 2018 JGP 오스트리아에서 8위를 기록했고, 6차 대회 2018 JGP 슬로베니아에서는 총점 183.99점으로 모두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최종 7위를 기록했다.

2018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총점 193.14점으로 동메달을 차지하며 첫 포디움에 성공했다. 2019 종합선수권에서도 4위를 기록하며 랭킹대회와 종합선수권의 점수 합산 결과 상위 4명에게 주어지는 국가대표에 선발되었다. 또한 2019 동계 유소년 아시아 대회2019 주니어 세계선수권 출전 자격을 얻었다.

2019 동계 유소년 아시아 대회에서 쟁쟁한 선수들과 겨뤄 동메달을 따냈다. 2019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는 함께 출전한 이시형충격의 프리컷을 당한 가운데 본인마저 20위에 그치면서 다음 시즌 한국의 남자 싱글 출전권은 한 장으로 줄었다.


2.3. 2019-20 시즌[편집]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에서 이시형에 이은 2위를 기록하며 4차 대회와 7차 대회를 선택했다. 또한 트리플 악셀을 구성에 넣어왔다.

주니어 그랑프리 4차 2019 JGP 러시아 대회에서는 계획한 트리플 악셀을 성공하지는 못했으나 5위에 오르며 본인의 주니어 그랑프리 최고 순위를 기록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7차 2019 JGP 이탈리아 대회 역시 트리플 악셀을 실패했지만, 본인의 개인 최고기록을 경신하며 최종 11위를 기록했다.

2020 사대륙선수권 참가를 위한 기술점 확보를 목적으로 챌린저 시리즈 아시안 트로피에 출전해 7위를 기록했다. 2020 종합선수권에서는 4위를 하며 국가대표를 유지했다.

2020 로잔 청소년 동계올림픽에서는 쇼트는 클린, 프리에서 더블 악셀을 왈츠 점프로 뛰는 실수가 있었음에도 플랜 B를 착실히 수행하였다. 모든 부문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5위에 올랐다. 프리 경기만 진행하는 단체전에도 참가하여 트리플 러츠에서 스텝아웃을 한 실수를 제외하고 클린하며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2.4. 2020-21 시즌[편집]


코로나로 인하여 주니어 그랑프리 시리즈 대회가 전부 취소되어, 시즌 첫 대회로 2021 종합선수권에 참가해 3위를 기록했다. 전 시즌에 시도하던 트리플 악셀을 다시 넣었는데, 쇼트에서는 넘어졌고 프리에서는 회전 부족 판정을 받았다. 회장배 랭킹대회서는 쇼트에서 트리플 악셀을 두 발로 착지했고 연결 트리플 토룹을 싱글로 처리했다. 단독 트리플 러츠마저 랜딩이 기울면서 점수가 많이 낮았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을 구성에서 제외하였으며 트리플 플립과 연결 트리플 살코에 쿼터 판정을 받아 최종 4위를 기록하며 국가대표 자격을 유지했다. 종별선수권에서도 우승하며 시즌을 마무리했다.


2.5. 2021-22 시즌[편집]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4]에 참가하여, 쇼트와 프리 모두 1위를 기록하며 우승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3차 2021 JGP 슬로바키아에서는 7위를 차지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5차 2021 JGP 슬로베니아에서는 쇼트에서 2위에 오르며 첫 메달 기대감을 높였으나 프리에서 크게 부진하며 최종 4위를 기록했다.

2021 회장배 랭킹대회에서 5위, 2022 종합선수권에서는 4위를 기록했다. 당시에는 랭킹과 종합 합산 성적에서 밀려 국가대표 자격을 잃었으나, 이후 국가대표 선수 중 1명이 부상으로 국가대표 자리를 내려놓으면서 후보 1순위였던 차영현 선수가 국가대표 자리를 승계받았다. 시즌 마지막 대회로 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에서 19위를 기록했다.


2.6. 2022-23 시즌[편집]


주니어 마지막 시즌. 2023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유니버시아드 선발전 겸 주니어 그랑프리 선발전 대회에 참가하며 시즌을 시작했다. 두 대회 모두 2위로 티켓 확보에 성공했다.

주니어 그랑프리 1차 2022 JGP 프랑스 대회 쇼트에서 70.25점을 기록하며 개인 첫 쇼트 70점을 돌파했다. 프리에서는 자잘한 실수들이 있었지만 최종 2위를 차지하며 자신의 첫 주니어 그랑프리 메달인 은메달을 획득했다. 이후 갈라쇼에도 초청되어 우리나라 전통의상을 입은 무대를 선보였다.

시니어 국제대회로 2022 CS 네벨혼 트로피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53.94점으로 다소 부진하였으나 프리에서 129.15점을 받고 총점 183.09점으로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두번째 주니어 그랑프리 대회인 2022 JGP 폴란드 I에서는 쇼트에서 7위로 조금 쳐졌으나 프리에서 준클린을 해내며 133.46점을 획득, 총점 199.18점으로 프리와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경신하며 최종 순위를 4위로 끌어올렸다.

두번째 시니어 국제대회로 2022 CS 아이스 챌린지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59.27점을 받아 14위로 쳐졌으나 프리에서 점프를 모두 클린하고 비점프 요소는 레벨 3~4를 받아 136.74점을 받으며 개인 최고점을 경신했다. 총점 196.01점으로 최종 10위를 기록했다.

회장배 랭킹대회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69.24점을 받았다. 프리에서는 134.96점을 받아 총점 204.20점으로 최종 6위를 기록했고, 시니어 5위를 기록하며 사대륙선수권 출전권을 얻지 못했다. 2023 종합선수권에서는 쇼트 9위, 프리 6위로 최종 6위를 기록했다. 두 대회의 합산 결과 상위 4명에게 주어지는 국가대표 자격을 얻지 못하였다.

2023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유니버시아드에 출전하여, 쇼트에서 67.13점으로 10위에 올랐다. 프리에서는 트리플 악셀에 다운 그레이드 판정을 받은 것 외에 클린하며 140.90점으로 프리 순위 7위에 올랐으며, 총점 208.03으로 최종 7위로 대회를 마무리하였다. 또한 비공인 기록이지만 프리와 총점에서 개인 최고점을 기록했다.


2.7. 2023-24 시즌[편집]


시즌 처음으로 참가한 비공인 대회인 2023 아시안 오픈 트로피에서는 2위를 기록했다. 그 다음으로 출전한 2023 CS 핀란디아 트로피에서는 7위를 기록했다. 또한 이 대회에서 세계선수권 기술점을 획득했다.

2023 회장배 랭킹대회에서는 쇼트 64.63점, 프리 143.70점, 총점 208.33점으로 7위를 기록했다. 시니어 선수들 중에서는 4순위를 기록하여 원래는 3순위까지만 주어지는 사대륙선수권 출전권을 얻지 못하나, 상위 선수 중 한 선수가 타 대회에 출전하면서 그 다음 순위로 승계받아 출전권을 획득하였다.

3. 기록[편집]


  • 주니어 그랑프리 메달을 획득한 다섯번째 한국 남자 선수[5]
  • 쇼트 70점을 돌파한 다섯번째 한국 남자 선수[6]
  • 총점 210점을 넘은 8번째 한국 남자 선수[7]


4. ISU 공인 최고점수[편집]


ISU 공인 최고점수
쇼트70.25(2022 JGP 프랑스)
프리142.38(2023 CS 핀란디아 트로피)
총점211.15(2023 CS 핀란디아 트로피)


5. 프로그램[편집]


시즌쇼트(SP)프리(FS)갈라(EX)
2023-2024마왕
by 프란츠 슈베르트 (김영아 편곡)
OST
by 한스 짐머
2022-2023방황-이경섭
2021-2022대부 OST
by 니노 로타
오페라의 유령 OST
by 앤드루 로이드 웨버
2020-2021
2019-2020볼레로(Je Me Souviens De Nous)Minnie The Moocher
(The Blues Brothers OST)
2018-2019그랜드 부다페스트 호텔 OST
빌리 엘리어트 OST
달타냥 (D'Artagnan) 방황-이경섭
2017-2018볼레로(Je Me Souviens De Nous)
2016-2017Don't Stop Me Now
by
카사블랑카 OST
by 막스 스타이너
2015-2016방황-이경섭방황-이경섭
2014-2015쿵푸팬더 OST
by 한스 짐머, 존 파웰
모던 타임즈 OST
by 찰리 채플린
2013-2014닌자 어쌔신(Ninja Assassin)
by 앤디 브라운
2012-2013아리랑
2011-2012아리랑


6. 커리어[편집]


국제대회:시니어
대회16–1717–1818–1919–2020–2121–2222-2323-24
CS 핀란디아 트로피7th
CS 아이스 챌린지10th
CS 네벨혼 트로피10th
CS 아시안 오픈 트로피7th
아시안 오픈 트로피2nd
유니버시아드7th
국제대회:주니어
청소년 올림픽5th
주니어 세계선수권19th20th19th
JGP 폴란드 I4th
JGP 프랑스2nd
JGP 슬로바키아7th
JGP 러시아5th
JGP 슬로베니아7th4th
JGP 오스트리아8th
JGP 이탈리아16th11th
동계 유소년 아시아 대회3rd J
국내대회
종합선수권1st J5th4th4th3rd4th6th
회장배 랭킹대회2nd J5th3rd4th4th5th6th7th
동계체전1st J1st1st1st1st3rd
종별선수권1st J1st1st1st1st1st
JGP 선발전3rd1st2nd1st2nd
단체전
청소년 올림픽4th T
3rd P
CS=챌린저 시리즈, JGP=주니어 그랑프리, J=주니어, T=팀 결과, P=개인 결과

6.1. 대회 별 상세 점수[편집]


  • 시니어
2023–24 시즌
날짜대회쇼트프리합계
2023.10.04-082023 CS 핀란디아 트로피9
68.77
6
142.38
7
211.15
2023.08.16-192023 아시안 오픈 트로피2
64.84
1
127.53
2
192.37
  • 주니어
2022–23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23.01.13-152023 레이크플래시드 동계 유니버시아드시니어10
67.13
7
140.90
7
208.03
2023.01.07-082023 종합선수권시니어9
69.90
6
142.57
6
212.47
2022.12.03-042022 회장배 랭킹대회시니어8
69.24
6
134.96
6
204.20
2022.09.21-242022 CS 아이스 챌린지시니어14
59.27
6
136.74
10
196.01
2022.10.28-302022 JGP 폴란드 I주니어7
65.72
3
133.46
4
199.18
2022.09.21-242022 CS 네벨혼 트로피시니어14
53.94
6
129.15
10
183.09
2022.08.24-272022 JGP 프랑스주니어2
70.25
2
125.90
2
196.15
2021–22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22.04.13-172022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19
60.32
18
115.31
19
175.63
2022.01.07-092022 종합선수권시니어3
69.47
4
138.98
4
208.45
2021.09.01-042021 JGP 슬로바키아주니어9
58.84
5
123.45
7
182.29
2020–21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21.02.24-262021 종합선수권시니어5
61.90
3
131.54
3
193.44
2019–20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20.01.10-152020 로잔 청소년 동계올림픽 단체전주니어-3
133.13
4T/3P
2020.01.10-152020 로잔 청소년 동계올림픽 개인전주니어5
69.61
5
129.51
5
199.12
2020.01.03-052020 종합선수권시니어5
64.31
4
133.49
4
197.80
2019.10.30-11.032019 CS 아시안 오픈 트로피시니어7
64.64
7
116.31
7
180.95
2019.10.02-052019 JGP 이탈리아주니어12
60.85
9
125.16
11
186.01
2019.09.11-142019 JGP 러시아주니어8
61.05
4
122.56
5
183.61
2018–19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9.03.04-102019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21
61.75
19
115.47
20
177.22
2019.02.13-152019 동계 유소년 아시아 대회주니어4
64.39
3
128.99
3
193.38
2019.01.11-132019 종합선수권시니어2
67.42
5
115.95
4
183.37
2018.10.03-062018 JGP 슬로베니아주니어8
62.39
7
121.60
7
183.99
2018.08.29-09.012018 JGP 오스트리아주니어11
56.08
7
117.74
8
173.82
2017–18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8.03.05-112018 주니어 세계선수권주니어23
57.57
16
116.56
19
174.13
2018.01.05-072018 종합선수권시니어7
61.23
5
134.19
5
195.42
2017.10.11-142017 JGP 이탈리아주니어15
50.35
15
101.01
16
151.36
2016–17 시즌
날짜대회레벨쇼트프리합계
2017.01.06-082017 종합선수권주니어1
49.95
1
112.91
1
162.86

7.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8 07:55:44에 나무위키 차영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2023년 2월 14일 기준 ISU World Standings 2022/2023 Men[2] 중요무형문화재 제3호 남사당놀이 이수자이다.[3] 모두 피겨 스케이팅을 배우고 있다고 한다.[4] 코로나 4차 유행 방역 지침에 따라 비대면 영상 제출로 평가했다.[5] 이준형 - 김진서 - 차준환 - 이시형 - 본인 순.[6] 김진서 - 차준환 - 이준형 - 이시형 - 본인 순.[7] 차준환 - 이준형 - 이시형 - 경재석 - 김현겸 - 서민규 - 임주헌 - 본인 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