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1항공단

덤프버전 :

파일:대한민국 육군 마크.svg파일:투명.png
[ 펼치기 · 접기 ]
지상작전사령부
직할단제1101공병단 · 지상정보단 · 연합사단협조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수도제10항공단 · 제10방공단 · 제100정보통신단 · 제1175공병단 · 군사경찰단
I제11항공단 · 제11방공단 · 제101정보통신단 · 군사경찰단
II제12항공단 · 제102정보통신단 · 군사경찰단
III제13항공단 · 제103정보통신단 · 군사경찰단
V제15항공단 · 제15방공단 · 제105정보통신단 · 군사경찰단
VI제106정보통신단
VII제17항공단 · 제107정보통신단
VIII제12포병단 · 제108정보통신단 · 제1170공병단
1군지사수도군수지원단 · 제6군수지원단 · 제7군수지원단 · 제8군수지원단
제2작전사령부
직할단제12정보통신단 · 제21항공단 · 제1115공병단 · 제1117공병단 · 근무지원단 · 군사경찰단
5군지사제51군수지원단 · 제52군수지원단 · 제53군수지원단
육군본부 직할부대
직할단제2경비단 · 지상군 페스티벌 지원단 · 중앙수사단 · 육군시험평가단 · 정보체계관리단 · 육군전력지원체계사업단 · 육군전투준비안전단 · 육군 아미 타이거 4.0 통합기획단 · 레바논 평화유지단 · UAE 군사훈련 협력단 · 남수단 재건지원단
수방사제1경비단 · 제55경비단 · 제122정보통신단 · 제1113공병단 · 군사경찰단
특전사제707특수임무단 · 국제평화지원단 · 특수작전 항공단
동원사동원자원호송단 · 제31동원지원단 · 제32동원지원단 · 제35동원지원단 · 제37동원지원단 · 제39동원지원단
제50동원지원단 · 제51동원지원단 · 제52동원지원단 · 제53동원지원단 · 제55동원지원단 · 제56동원지원단
교육사육군과학화전투훈련단 · 전투지휘훈련단 · 상무대 근무지원단
군수사군사경찰단
인사사육군기록정보관리단 · 주한 미8군 한국군지원단
육사근무지원단
3사근무지원단
{{{#fffffc {{{-2 ※ 편제·직제·병과별 둘러보기: 육군의 편제
| 포병단 | 정보통신단 | 공병단 | 군수지원단 | 항공단 | 방공단 | 경비단 | 특수임무단 | 동원지원단 | 근무지원단 |}}}}}}
독립단 · | 해체된 독립단 · 해체된 단





제21항공단
第21航空團
The 21st Aviation Group
파일:external/img.bemil.chosun.com/20121215010207.jpg
창설일1989년 00월 00일(제21항공단)
상징명칭21항공
소속대한민국 육군
명령 체계제2작전사령부[1]
종류
역할2작전사 항공지원
단장대령 이우판 (육사 00기)
위치경상북도 영천시


1. 개요
2. 상세
3. 예하부대
4. 출신인물
4.2. 장교/부사관
4.3. 병
5. 기타
5.1. 근무환경
5.2. 운용기종
6. 사건사고
7. 여담



1. 개요[편집]


제2작전사령부 직할 항공지원부대이다.[2]


2. 상세[편집]


제2작전사령부 직할부대로서 2작사 예하 각 지역방위사단 및 2작사 직할부대 항공지원을 하고 있다.

2018년 9월 말에 공식적으로 육군항공사령부에서 제2작전사령부 직할 부대로 변경되었다.


3. 예하부대[편집]


  • 제206항공대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비행장에 위치하고 있고 광주공항에 파견대를 운용하고 있다.
KUH-1 운용
  • 제207항공대대
경상북도 영천시 영천비행장에 위치하고 있다.
KUH-1 운용
  • 제506항공대대
전라북도 전주시 전주비행장에 위치하고 있다.
500MD 운용
  • 제507항공대대
대구광역시 대구 공군기지에 위치하고 있다.
500MD 운용


4. 출신인물[편집]



4.1. 단장[편집]


볼드체대장 진급이 된 단장.

역대 제21항공단장
역대이름계급임관비고기타
초대000예) 대령단장
00대김장식예) 대령3사 00기단장
00대송호달예) 대령3사 18기단장
00대이석태대령단장
00대이보령대령학사23기단장
00대황상혁대령육사51기단장


4.2. 장교/부사관[편집]




4.3. 병[편집]


후술할 근무환경 부분에도 적혀있지만 기본적으로 병사 인원이 적기 때문에 경계근무에 자주 들어가야 한다.

대대 기준으로 대대본부, 중대본부, 정비중대, 승무원들이 속한 비행중대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


5. 기타[편집]



5.1. 근무환경[편집]


항공 부대의 특성상 간부 대비 병 비율이 1:1에 가깝다고는 하지만, 부대 인원이 너무 적어 경계근무가 힘들다.

206, 507대대는 단본부와 분리되어 있기에 근무환경이 매우 다르며, 507대대의 경우 공군기지 내에 위치하기에 매우 시설이 좋다.

대한민국 육군 항공 참사의 한 페이지를 장식해 유명해진 영천의 207 대대는 단본부와 함께 주둔 중이므로, 본래 대대 소속이어야 할 운전병 인력이 통합 수송대 명목으로 단본부 소속으로 근무하기에 여타 예하 대대들보다 근무에 여유가 없으며, 단본부 기지 특성상 환경 미화 등 작업이 많다 보니 부대원들의 평시 피로도가 상대적으로 높은 편이다.

5.2. 운용기종[편집]


UH-1H : 베트남전을 상징하는 바로 그 휴이. 20X 대대는 중형 기동헬기 부대로서, 창설 당시부터 UH-1 계열 기동 헬리콥터를 운용했지만 90년대 말부터 기종 자체의 노후화에 따른 안전 관련 이슈가 자주 발생하던 와중 207 대대의 참사가 발생하였다.
KUH-1 수리온의 전력화 이후 UH-1H는 전량 퇴역하였다. 2000년 동해안 산불 당시 이 기체들이 밤비 버킷을 장착하고 소화 지원을 위해 투입되었다.

KUH-1 수리온 : 현 20X 대대가 운용중인 국산 중형 기동헬기

500MD : 50X 대대의 운용 기체로, 소형 기동헬기 및 경공격 헬리콥터로 유명한 MD 500.
일부 기체는 토우 대전차 미사일 발사기 및 조준 장비를 탑재한 대전차 공격형인 디펜더이다. 속칭'똥파리'

6. 사건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육군 21항공단 헬기추락 사건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7.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46:33에 나무위키 제21항공단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항공단 야전 군단, 2작전사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군단 및 2작사 직할부대로 변경.[2] 항공단 야전 군단, 2작사 직할 배치 계획에 따라 2작사 직할부대로 변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