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광주직할시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




1. 개요[편집]


항목제13대 국회의원 선거광주직할시 지역구 선거 결과를 정리하는 항목이다. 선거구는 가나다순이 아니라 지역 선거관리위원회가 설치된 순서로 한다. 이는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쓰는 공식 발표법이기 때문이다.


2. 결과[편집]



2.1. 동구[편집]


동구
광주 동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고귀남(高貴南)9,512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0.72%낙선
2신기하(辛基夏)78,093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88.05%당선
3안광양(安光洋)1,0863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22%낙선
선거인 수115,994투표율
77.01%
투표 수89,329
무효표 수638

선거 벽보
[ 펼치기 · 접기 ]
파일:신기하 13대.jpg

88년 당시에 광주 동구광주시청, 전라남도청, 기타 여러 행정기관 및 금융기관이 위치한 광주의 중심지였다.

3년 전 제12대 국회의원 선거신민당 돌풍을 일으키며 처음 당선된 평민당 신기하 후보가 예상대로 압승했다.


2.2. 서구 갑[편집]


서구 갑
양동, 양3동, 농성1동, 농성2동, 광천동,
유덕동, 치평동, 상무1동, 화정1동, 화정2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이영일(李榮一)8,705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0.56%낙선
2장기언(張基彦)5934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0.72%낙선
3정상용(鄭祥容)71,349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86.63%당선
4이필선(李必善)1,7103위

[[무소속|
무소속
]]
2.07%낙선
선거인 수105,477투표율
78.53%
투표 수82,828
무효표 수471

5.18 민주화운동의 주역이자 수감자 중 한 명이었던 평민당 정상용 후보가 당선되었다.

이때 낙선한 민주정의당이영일 후보는 정상용 후보와 광주일고 동문 선후배 사이였다. 이 후보는 이후 이종찬 의원을 따라 새한국당 - 민주당 - 새정치국민회의에 합류, 1997년 신기하 의원의 사망으로 공석이 된 광주 동구 선거구에서 마침내 무투표 당선되는 영광을 안게된다. 15대 총선에서 정상용 후보가 낙선하며 사실상 정계를 떠난것과 정 반대의 상황이 일어난것이다.

2.3. 서구 을[편집]


서구 을
양림동, 방림1동, 방림2동, 사구동, 서1동, 서2동, 월산1동,
월산2동, 월산3동, 월산4동, 월산5동, 백운1동,
백운2동, 주월1동, 주월2동, 효덕동, 송암동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정현채(鄭賢采)6,724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7.00%낙선
2박종태(朴鍾泰)86,941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90.62%당선
3최순자(崔順子)1,0374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08%낙선
4강도석(姜度錫)1,2293위

[[무소속|
무소속
]]
1.28%낙선
선거인 수126,468투표율
76.30%
투표 수96,499
무효표 수568

박종태 전 의원은 민주공화당에서 정치를 시작했지만, 1969년 박정희 대통령의 3선 개헌에 반대하여 당에서 제명되었고, 이후 야당정치인으로 변신한다. 하지만 제7대 국회를 마지막으로 정계의 야인으로 활동하게 된다.

박종태 전 의원은 제13대 총선때 평민당의 텃밭인 광주 서구 을에 공천을 받아 당선되었고, 17년 만에 국회에 복귀한다.

당시 이 지역구에 속한 지역은 대부분 이후 신설된 남구에 편입된다.


2.4. 북구[편집]


북구
광주 북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지대섭(池大燮)10,211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7.31%낙선
2정길성(丁吉聲)1,3213위

[[통일민주당|
파일:통일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0.94%낙선
3정웅(鄭雄)127,579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91.45%당선
4신금남(申金男)3944위

파일:한통당글자.png
0.28%낙선
선거인 수180,221투표율
78.02%
투표 수140,604
무효표 수1,099

정웅 예비역 소장은 5.18 민주화운동 당시 제31향토사단 사단장으로 재직 중이었는데, 강경진압을 막다가 신군부에 의해 반강제로 예편되었다. 이러한 행적을 높이 산 평민당이, 총선 직전에 정웅 전 사단장을 전격 영입해 광주에 공천했다.

평민당 정웅 후보는, 13대 총선 지역구 전국 최고 득표로 당선되었다.


2.5. 광산구[편집]


광산구
광산구 일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정당득표율비고
1김재완(金在浣)10,5382위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16.17%낙선
2조홍규(趙洪奎)53,7051위

[[평화민주당|
파일:평화민주당 글자.svg
]]
82.43%당선
3정원섭(鄭源燮)9023위

[[신민주공화당|
파일:신민주공화당 글자.svg
]]
1.38%낙선
선거인 수81,418투표율
80.91%
투표 수65,875
무효표 수730

송정시광산군이 광주에 편입된 직후 치러진 첫 국회의원 선거이다.

평민당의 텃밭답게 조홍규 후보가 압승을 거두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2:51:03에 나무위키 제13대 국회의원 선거/지역구 국회의원/광주직할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