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와테현 제4구

덤프버전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폐지된 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이와테현 제4구>
岩手県第4区
선거인 수279,085명 (2014)
상위 도도부현이와테현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국회의원
오자와 이치로




1. 개요[편집]


2017년까지 이와테현의 남서부 내륙 지역을 관할했던 일본의 폐지된 중의원 선거구다.

당시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당 오자와 이치로였다.[1]


2. 상세[편집]


전통적으로 이 지역구는 오자와 이치로의 텃밭이었으며, 중선거구 시절인 1969년부터 16선의 당선을 이루고 있었다. 특히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까지는 자민당 후보도 오자와에 전혀 당해낼 수 없는 상황이었고,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오자와가 신진당 대표였던 탓인지 자민당 후보의 득표율은 10.39%로 저조한 득표율을 기록하는 등 이와테현 내 전체에서도 자민당 후보가 힘을 쓰지 못하는 지역이었다.

다만 오자와의 원래 정치적 기반은 3구인데, 자신은 지역구를 한 석이라도 더 확보하기 위해 이와테 4구에 출마하고, 3구에는 자신의 계파 정치인을 내보냈었다. 그게 바로 자유당 시절에도 자신과 함께 했던 기카와다 토오루 의원.

그러나 오자와 왕국이라고 불렀던 이 선거구에도 점차 변화의 바람이 불 조짐이 보였다. 오자와가 일본 미래당 으로 옮긴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당선되기는 했지만 전회보다 득표에서 약 6만표, 득표율도 17.1% 줄어든데다 자민당의 후지와라 다카시에게 비례 부활을 허용해 영향력 저하를 보였다.[2]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 에서는 민주당이 후보자를 공천하지 않아 오자와의 득표율이 다소 상승했지만 득표수에서는 더 감소세를 보인데다 후지와라는 지난번보다 1만여 표를 더 얹어 다시 비례 당선되는데 성공했다.

2017년 6월 9일 개정 공직선거법이 성립, 같은 해 7월 15일 시행되었으며 이와테현 제4구는 폐지되고 전역이 새로운 3구로 이행하였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와테현 제4구
미즈사와시, 하나마키시, 키타카미시, 오슈시, 히에누키군, 와가군, 이사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반전.png오자와 이치로
(小沢一郎)
125,619표1위

64.68%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사와후지 레이지로
(沢藤 礼次郎)
38,482표2위

19.81%낙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가타 코이치
(井形厚一)
20,179표3위

10.39%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에가시 나츠코
(八重樫奈都子)
9,933표4위

5.11%낙선
유효표 수194,213표투표율
선거인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와테현 제4구
미즈사와시, 하나마키시, 키타카미시, 오슈시, 히에누키군, 와가군, 이사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당.gif오자와 이치로
(小沢一郎)
119,099표1위

59.70%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기무라 유키히로
(木村幸弘)
37,417표2위

18.76%낙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가타 코이치
(井形厚一)
28,926표3위

14.5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카모토 요코
(坂本良子)
14,051표4위

7.04%낙선
유효표 수199,493표투표율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와테현 제4구
{{{#fff
미즈사와시, 하나마키시, 키타카미시, 오슈시, 히에누키군, 와가군, 이사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이치로
(小沢一郎)
128,458표1위

65.1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타마사와 도쿠이치로
(玉澤徳一郎)
37,251표2위

18.88%비례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쿠보 타카요시
(久保孝喜)
20,936표3위

10.6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고키
(高橋綱記)
10,642표4위

8.28%낙선
유효표 수197,287표투표율
69.87%
선거인 수286,442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와테현 제4구
{{{#fff
미즈사와시, 하나마키시, 키타카미시, 오슈시, 히에누키군, 와가군, 이사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이치로
(小沢一郎)
124,578표1위

59.95%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타마사와 도쿠이치로
(玉澤徳一郎)
48,093표2위

23.14%비례당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쿠보 타카요시
(久保孝喜)
23,727표3위
11.42%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고키
(高橋綱記)
11,420표4위
5.50%낙선
유효표 수207,818표투표율
73.36%
선거인 수286,595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와테현 제4구
{{{#fff
미즈사와시, 하나마키시, 키타카미시, 오슈시, 히에누키군, 와가군, 이사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자와 이치로
(小沢一郎)
133,978표1위
62.5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다카하시 요시노부
(高橋嘉信)
41,690표2위
19.47%낙선
파일:사민당 로고 하얀색.svg오하라 노부요시
(小原宣良)
28,925표3위
13.5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세가와 사다요시
(瀬川貞清)
8,288표4위
3.87%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야스나가 아키라
(安永陽)
1,280표5위
0.60%낙선
유효표 수214,161표투표율
76.18%
선거인 수284,534인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와테현 제4구
{{{#fff
미즈사와시, 하나마키시, 키타카미시, 오슈시, 히에누키군, 와가군, 이사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오자와 이치로
(小沢一郎)
78,057표1위
45.5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지와라 다카시
(藤原崇)
47,887표2위
27.91%비례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오이카와 토시아키
(及川敏章)
28,593표3위
16.67%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고키
(高橋綱記)
17,033표4위
9.93%낙선
유효표 수171,570표투표율
76.18%
선거인 수281,402인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이와테현 제4구
하나마키시, 키타카미시, 오슈시, 와가군, 이사와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생활의당 로고.png오자와 이치로
(小沢一郎)
75,293표1위
47.4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후지와라 다카시
(藤原崇)
57,824표2위
36.70%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다카하시 고키
(高橋綱記)
24,421표3위
15.50%낙선
유효표 수157,538표투표율
57.99%
선거인 수279,085인

두 현역 의원인 생활당 오자와 이치로와 자민당 후지와라 다카시의 2번째 대결이 치러진다. 지난 선거와 달리 민주당이 후보를 내지 않아 생활당, 자민당, 공산당 3파전으로 치러진다.

선거 결과 자민당 후지와라 다카시 후보는 첫 출마였던 지난 선거보다 약 9%p의 득표율을 끌어올리며 선전했지만 오자와 이치로라는 거물에게 또다시 패하고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생환, 재선 의원이 되었다.

5. 둘러보기[편집]





[1] 당시 소속은 자유당이었지만 제48대 중원선 출마 당시에는 공천을 받지 않았었다. 현재는 입헌민주당 소속.[2] 오자와가 신인 후보에게 비례 부활을 허용한 것은 소선거구제 도입 이래 처음이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