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리카 엘레오노라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해당 인물의 어머니에 대한 내용은 울리케 엘레오노레 문서
울리케 엘레오노레번 문단을
울리케 엘레오노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문쇠 왕조스텐실 왕조
에이리크 6세올로프 3세아눈드 3세에문드 2세스텐실
스텐실 왕조
에리크 7세할스텐 스텐실손아눈드 4세호칸 뢰데잉에 1세
에리크 8세
블로트 스벤잉에 1세필리프 할스텐손잉에 2세랑발드
스텐실 왕조스베르케르 왕조에리크 왕조스텐실 왕조스베르케르 왕조
망누스 1세스베르케르 1세에리크 9세망누스 2세칼 7세
에리크 왕조스베르케르 왕조에리크 왕조스베르케르 왕조에리크 왕조
크누트 1세스베르케르 2세에리크 10세요한 1세에리크 11세
스베르케르 왕조에리크 왕조폴쿵 왕조
크누트 2세에리크 11세발데마르망누스 3세비르예르 망누손
폴쿵 왕조메클렌부르크 왕조칼마르 동맹
망누스 4세알브렉트마르가레타에리크 13세크리스토페르
에리크 12세
호칸
칼마르 동맹바사 왕조
칼 8세 크누트손크리스티안 1세요한 2세크리스티안 2세구스타브 1세 바사
바사 왕조
에리크 14세요한 3세시기스문드칼 9세구스타브 2세 아돌프
바사 왕조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크리스티나 여왕칼 10세 구스타브칼 11세칼 12세울리카 엘레오노라
헤센카셀 왕조홀슈타인고토르프 왕조
프레드리크 1세아돌프 프레드리크구스타브 3세구스타브 4세 아돌프칼 13세
베르나도테 왕조
칼 14세 요한오스카르 1세칼 15세오스카르 2세구스타프 5세
구스타프 6세 아돌프칼 16세 구스타프


스웨덴 팔츠츠바이브뤼켄 왕조 제4대 국왕
울리카 엘레오노라
Ulrika Eleonora
파일:Ulrika_Eleonora_d.y._1688-1741,_drottning_av_Sverige_(Martin_van_Meytens_d.y.)_-_Nationalmuseum_-_15071.tif.jpg
이름울리카 엘레오노라
(Ulrika Eleonora)
출생1688년 1월 23일
스웨덴 스톡홀름 트레 크로노르[1]
사망1741년 11월 24일 (53세)
스웨덴 스톡홀름
재위스웨덴의 여왕
1718년 12월 5일 ~ 1720년 2월 29일
배우자프레드리크 1세 (1715년 결혼)
아버지칼 11세
어머니덴마크의 울리케 엘레오노레
형제헤드비그 소피아, 칼 12세
종교루터교회
1. 개요
2. 생애



1. 개요[편집]


울리카 엘레오노라는 스웨덴의 국왕으로,[2] 칼 11세의 둘째 딸이자 칼 12세의 여동생이다.

2. 생애[편집]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David_von_Krafft_%28atelj%C3%A9%29_-_Drottning_Ulrika_Eleonora_dy.jpg

1715년 헤센-카셀의 프리드리히와 결혼하였으며 자녀는 없었다. 평범한 왕족 여성으로 살 수 있었으나 1718년 11월 30일 오빠 칼 12세대북방전쟁에서 노르웨이 침공 중 전사하자 조카인 홀슈타인-고토로프 공작 카를 프리드리히[3](1700 ~ 1739)와 사촌 팔츠츠바이브뤼켄 후작(Fürst) 구스타프 자무엘 레오폴트와 왕위를 놓고 분쟁을 벌인 끝에 아르비드 호른이 이끄는 스웨덴 의회의 지지를 받아 1718년 즉위했다. 본래 언니의 아들이기에 카를 프리드리히의 계승권이 더 앞섰으나 카를 프리드리히가 외증조할머니이자 울리케 엘레오노레의 할머니에게 응석받이로 키워져서 워낙 성격이 오만방자한 탓에 스웨덴 정치권이 하도 질린 나머지 울리카 엘레오노라의 손을 들어준 것. 카를 프리드리히는 본인에게 더 가까웠던 스웨덴의 왕위를 이어받지 못한 것은 물론 무능함으로 인해 그나마 본인이 소유하고 있던 홀슈타인고토르프 영지마저 거의 다 잃어서 그 아들인 표트르 3세는 친척집을 오가며 떠도는 불우한 어린시절을 보내야 했다.

2년뒤 남편에게 왕위를 물려주었으며 남편은 1720년프레드리크 1세로 즉위했다. 이후 여왕이 아닌 남편 프레드리크 1세의 왕비로 살다가 1741년 11월 24일에 천연두로 사망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1 06:13:51에 나무위키 울리카 엘레오노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현재 스톡홀름 왕궁의 전신.[2] 다만 여왕으로 살아간 기간보다 이후 왕비로 살아간 기간이 더 길다.[3] 언니 헤드비그 소피아와 홀슈타인-고토르프 공작 프리드리히 4세의 외아들. 스웨덴 왕위 계승 분쟁에서 밀려난 후 러시아 제국의 힘을 빌려 스웨덴 국왕으로 즉위하고자 표트르 1세의 장녀 안나와 결혼했다. 안나와의 사이에서 얻은 외아들이 훗날 러시아 제국 황제가 되는 표트르 3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