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천군/정치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예천군

파일:나무위키+넘겨주기.png   관련 문서: 안동시·예천군

[ 펼치기 · 접기 ]
파일:경산시 CI.svg
경산시
파일:경주시 CI.svg
경주시
파일:구미시 CI.svg
구미시
파일:김천시 CI.svg
김천시
파일:문경시 CI.svg
문경시
파일:상주시 CI.svg
상주시
파일:안동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fff
]] 안동시
파일:영주시 CI.svg
영주시
파일:영천시 CI.svg
영천시
파일:포항시 CI.svg
[[경상북도청|

도청
도청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3px; padding: 2px 3px 2px 5px; border-radius: 0 3px 3px 0; background-image: linear-gradient(100deg, #0070BB 21%, #00B1EB 21%, #00a4da); font-size: 1em"
{{{#fff
]] 포항시



1. 선거구 정보
1.1. 군의회
2. 지역 특징
3. 역대 선거 결과
3.1. 지방선거
3.2. 총선


1. 선거구 정보[편집]


파일:예천군 CI.svg 경상북도 예천군 국회의원/도의원 선거구
구분선거구명지역
국회의원안동시·예천군예천군 전역 + 안동시 전역
도의원예천군1예천읍, 용문면, 감천면, 보문면, 유천면, 효자면, 은풍면
예천군2호명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

1.1. 군의회[편집]


파일:예천군 CI.svg예천군의회
원내 구성
[ 펼치기 · 접기 ]
제8대 의회
2018.7.1. ~ 2022.6.30.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svg

5석, 군수 소속 정당
무소속

1석
재적

6석
| 공석

3석



2. 지역 특징[편집]


여느 대구경북 지역답게 보수정당의 아성이 막강한 곳이다. 전국 평균보다 30% 가량 높은 보수정당 득표율을 항상 기록하는 곳이다. 선거구의 경우 15대 국회 이후부터 선거구가 항상 문경과 같이 묶였으나[1] 2016년 20대 국회에서는 문경-예천 선거구가 영주시와 통합되었다. 그러다가 21대 총선에서는 문경시는 상주시와 묶이고 경북도청신도시 때문인지 안동-예천으로 변경되었다.

2018년 예천군의회 폭행 및 성접대 요구 사건이 터지면서 아주 동네 망신을 단단히 시켰다. 게다가 주민소환한다고 해놓고 결국 인맥 때문에 주민소환 못하는 병크를 저지르면서 지역 망신을 넘어 분노만 샀다.

경북도청신도시가 있는 호명면은 점점 민주당 계열 쪽으로 가고 있던 중에 2022년 제8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는 예천군 최초로 더불어민주당의 이동화 후보가 군의회 의원으로 당선이 되었고 # 또한 경상북도 읍면동 중 유일하게 임미애 더불어민주당 경북지사 후보가 이철우 후보를 꺾고 승리하였다.[2]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파일:예천군 CI.svg 예천군 국회의원 선거 결과
예천군
13대
파일:민주정의당 글자.svg
유학성재선
14대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3선[3]
1993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반형식재선
문경시·예천군
15대
[[신한국당|
파일: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황병태[4]재선
1998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신영국재선
16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신영국3선
17대
[[무소속|
무소속
]]
신국환초선
18대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한성초선
19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재선
영주시·문경시·예천군
20대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최교일초선
안동시·예천군
21대
[[미래통합당|
파일:미래통합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형동초선

파일:예천군 CI.svg 역대 예천군수 선거 결과
19951998200220062010
무소속자유민주연합한나라당한나라당
권상국김수남이현준
201420182022
새누리당자유한국당국민의힘
이현준김학동
주요 후보 득표율
구분주요 후보 득표율
1995년1위:
[[무소속|
무소속
]]
권상국 50.38%

2위:
[[민주자유당|
파일:민주자유당 글자.svg
]]
김수남 49.61%
1998년1위:
[[자유민주연합|
파일:자유민주연합 흰색 로고타입.svg
]]
김수남 51.40%

2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권상국 40.61%
2002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1997~2004).svg
김수남 57.91%

2위:
[[무소속|
무소속
]]
권상국 35.06%
2006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김수남 58.60%

2위:
[[무소속|
무소속
]]
오창근 41.39%
2010년1위:
파일:한나라당 흰색 로고타입.svg
이현준 46.18%

2위:
[[무소속|
무소속
]]
김학동 32.38%
3위:
[[무소속|
무소속
]]
윤영식 21.43%
2014년1위:
[[새누리당|
파일:새누리당 흰색 로고타입.svg
]]
이현준 74.38%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원자 25.61%
2018년1위:
[[자유한국당|
파일:자유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김학동 53.28%

2위:
[[무소속|
무소속
]]
이현준 46.71%
2022년1위: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김학동 무투표 당선
[1] 생활권이 다르다고 할 수는 없다. 예천읍 서부 지역은 문경 점촌 생활권이며, 중앙고속도로가 생기기 전까지 예천에서 서울을 갈 땐 문경을 지나가야 했기에 지금도 상호 간에 교류가 많은 지역이다.[2] 이철우 49.5%, 임미애 50.5%[3] 93.3.31 의원직 사퇴[4] 97.12.26 의원직 상실(뇌물수수)


3.1. 지방선거[편집]


8회 지선 예천군 개표 결과
경상북도지사 선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임미애이철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8,371
(29.35%)
20,150
(70.64%)
-11,779
(▼41.29)
62.01%
예천읍26.96%73.03%▼40.6758.90
용문면18.13%81.86%▼63.7367.67
효자면19.11%80.88%▼61.7773.70
은풍면20.19%79.80%▼59.6175.47
감천면17.86%82.13%▼64.2770.10
보문면21.10%78.89%▼57.7967.86
호명면[A]50.50%[5]49.49%△1.01[6]48.26
유천면[B]17.97%82.02%▼64.0562.77
용궁면13.01%86.98%▼73.9767.95
개포면12.93%87.06%▼74.1364.24
지보면20.61%79.38%▼58.7762.98
풍양면16.24%83.75%▼67.5161.76
후보임미애이철우격차
거소투표16.47%83.52%▼67.05
관외사전투표38.30%61.69%▼23.39
국회의원
선거구별
임미애이철우격차투표율
안동·예천[C][지역구]27.28%72.71% ▼45.4253.29

20대 대선 예천군 개표 결과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파일:국민의힘 흰색 로고타입.svg
격차투표율
후보이재명윤석열(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9,147
(23.62%)
28,320
(73.14%)
- 19,173
(▼49.52)
39,128
(82.06%)
예천읍19.99%77.06%▼57.0878.55
용문면16.83%79.38%▼62.5581.04
은풍면15.20%82.55%▼67.3586.13
효자면16.16%80.09%▼63.9385.59
감천면16.79%79.37%▼62.5782.23
보문면16.22%81.80%▼65.5782.36
호명면[A]37.01%59.44%▼22.4378.79
유천면[B]17.61%78.04%▼60.4381.34
용궁면13.01%84.71%▼71.7082.68
개포면13.41%85.03%▼71.6281.26
지보면14.51%82.23%▼67.7280.87
풍양면13.50%84.00%▼70.5080.49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
거소·선상투표21.34%76.40%▼55.06
관외사전투표30.82%65.29%▼34.47
재외투표51.88%44.33%△7.55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안동·예천[C][지역구]26.90%70.14%▼43.2477.62
후보이재명윤석열격차투표율
읍 지역[7]19.99%77.06%▼57.0878.55
면 지역[8]15.16%81.76%▼66.6082.01
도청신도시[9]38.72%57.78%▼19.0680.51

3.2. 총선[편집]



3.2.1. 예천군[편집]



3.2.2. 문경시·예천군[편집]



3.2.3. 영주시·문경시·예천군[편집]



3.2.4. 안동시·예천군[편집]



21대 총선 예천군 개표 결과
국회의원 선거 (안동시·예천군)
정당
파일:더불어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무소속격차투표율
후보이삼걸김형동권택기(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6,968
(22.75%)
18,089
(59.07%)
3,830
(12.50%)
- 11,121
(▼36.32)
31,180
(65.96%)
[ 펼치기 · 접기 ]
예천읍16.79%63.54%14.75%▼46.7557.44
용문면12.97%68.66%12.28%▼55.6969.51
은풍면14.41%70.16%10.18%▼55.7577.59
효자면14.77%66.40%13.46%▼51.6375.82
감천면14.42%61.67%14.48%△47.1970.54
보문면12.18%68.40%13.83%△54.5773.37
호명면[A]42.45%39.33%13.54%△3.1258.16
유천면[B]16.43%67.36%10.26%▼50.9361.65
용궁면10.49%73.48%10.49%▼62.9973.09
개포면10.24%75.36%8.38%▼65.1168.00
지보면12.49%68.46%13.63%△54.8367.63
풍양면10.46%75.16%7.36%▼64.7070.20
후보이삼걸김형동권택기격차
거소·선상투표14.40%65.20%9.20%▼50.80
관외사전투표39.12%44.02%10.62%▼4.90
재외투표66.66%29.16%0△37.50

비례대표 선거
정당격차투표율
득표수
(득표율)
17,632
(59.85%)
4,245
(14.40%)
1,667
(5.65%)
1,556
(5.28%)
817
(2.77%)
+ 13,387
(△45.44)
31,204
(65.90%)
[ 펼치기 · 접기 ]
예천읍67.19%11.75%4.34%4.24%1.88%△55.4457.44
용문면66.19%9.61%4.06%2.73%1.70%△56.5869.51
은풍면67.05%9.74%3.70%5.08%1.37%△57.3177.59
효자면67.53%10.27%3.56%3.83%2.46%△57.2675.82
감천면63.23%10.86%5.68%2.84%1.70%△52.3770.54
보문면69.23%8.63%2.75%3.12%1.65%△60.6173.37
호명면[A]44.02%24.56%8.97%8.77%4.99%△19.4658.18
유천면[B]65.46%9.71%4.32%4.24%1.71%△55.7661.65
용궁면70.37%7.40%3.10%4.62%1.26%△62.9773.09
개포면67.84%6.76%3.54%2.66%2.99%△61.0968.00
지보면67.43%8.60%4.46%3.56%1.46%△58.8367.63
풍양면69.39%7.91%3.69%2.67%1.23%△61.4870.23
정당
[[미래한국당|
파일:미래한국당 흰색 로고타입.svg
]]

[[더불어시민당|
파일:더불어시민당 흰색 로고.svg
]]

[[정의당|
파일:정의당 로고타입.svg
]]

[[국민의당|
파일:국민의당(2020년) 흰색 로고타입.svg
]]

[[열린민주당|
파일:열린민주당 흰색 로고타입.svg
]]
격차
거소·선상투표63.24%12.39%2.99%0.42%3.84%△50.85
관외사전투표45.11%22.10%8.93%8.22%4.61%△23.01
재외투표26.19%33.33%7.14%4.76%9.52%▼7.14

[A] A B 경북도청신도시가 있는 동네[5] 경북 모든 읍면동 통틀어서 유일하게 임미애 후보가 승리한 곳이다.[6]62표 차이였다.[B] A B 예천공항제16전투비행단이 있는 동네[C] A B 관외투표 제외[지역구] A B 지역구 국회의원: 김형동 (미래통합당 → 국민의힘, 초선)[7] 예천읍[8] 용문면, 은풍면, 효자면, 감천면, 보문면, 호명면(제1투표소), 유천면, 용궁면, 개포면, 지보면, 풍양면[9] 호명면(제1투표소 제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