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웅교실/애니메이션

덤프버전 :




(2023)
教{{{#747eff,#747eff 室
파일:영웅교실 한글 키비주얼.png

1. 개요
2. 공개 정보
2.1. PV
2.1.1. 본편
2.1.2. 캐릭터
2.1.3. CM
2.2. 키 비주얼
3. 줄거리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
5. 주제가
5.1. OP
5.2. ED
6. 회차 목록
7. 평가
7.1. 방영 전
7.2. 방영 후
8. 기타



1. 개요[편집]


일본의 라이트 노벨 영웅교실을 원작으로 하는 TV 애니메이션. 감독은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방영 시기는 2023년 7월.

액터스프린세스 프린서플 TVA 이후 6년만에 제작하는 TV 애니메이션이다.

여담으로 아라키 신의 작품 중 2번째로 애니화된 작품이다.[1] GJ부 이후 무려 10년만에 그의 작품이 애니화되었다.


2. 공개 정보[편집]


원작 12권이 발매되면서 띠지에 TV 애니메이션화 기획중이라는 발표가 실렸다.#


2.1. PV[편집]



2.1.1. 본편[편집]


PV 제1탄

PV 제2탄

2.1.2. 캐릭터[편집]


캐릭터 소개 PV


2.1.3. CM[편집]


선전 PV

선전 CM


2.2. 키 비주얼[편집]


파일:영웅교실_애니티저비주얼.jpg
파일:영웅교실_애니키비주얼2.jpg
티저 비주얼키 비주얼 2탄


3. 줄거리[편집]


세계를 고통에 신음하게 만든 강대한 마왕과

호각으로 싸운 끝에 무승부가 나며 인류를 구한 용사가 있었다.

그의 이름은 블레이드.

어렸을 때부터 용사로서의 소질을 인정받아, 모두가 동경해 마지않은 존재였다.

하지만 블레이드는 마왕과의 싸움 후에, 대미지로 인해 힘이 감퇴하는 가운데 이렇게 생각했다.

'이로써 드디어 일반인이 될 수 있다!'라고.

그리고 블레이드는 지인에게 부탁해 로즈우드 학교에 입학했고,

'평범'한 학생으로서 친구들을 만들고 평화로우면서 즐거운 학교생활을 구가하려고 했다.

하지만 개성 강한 동급생들과 갖가지 사건사고들이 끊이지 않은 데다,

영웅을 육성하는 엘리트 학교인 로즈우드 학교 자체가 절대로 평범할 리가 없었는데.

목표는, 평범함. 만끽하고 싶은, 청춘.

하지만 평범한 청춘이란 대체 뭔데?!

애니플러스



4. 등장인물 및 주요 성우진[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영웅교실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주제가[편집]



5.1. OP[편집]


OP
Bravery? Naturally?
TV ver.
MV ver.
Full ver.
노래히구치 카에데
작사RUCCA
작곡미츠마스 하지메(光増ハジメ)
편곡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카와구치 케이이치로
연출나카노 히데아키(中野英明)
작화 감독카와무라 코스케(川村幸祐)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5.2. ED[편집]


ED
Another Self
TV ver.
MV ver.
Full ver.
노래쿠마다 아카네
작사유우키 아이라
작곡쿠보타 신고(久保田真悟)
쿠리하라 사토루(栗原 暁)
마에다 유우(前田 佑)
편곡쿠보타 신고(久保田真悟)
마에다 유우(前田 佑)
주제가 애니메이션 정보 ▼
콘티나카노 히데아키(中野英明)
연출
작화 감독카와무라 코스케(川村幸祐)
원화지츠하라 노보루(実原 登)
가사 ▼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원어 발음)
(한국어 가사)
원어 가사 출처:


6. 회차 목록[편집]


회차제목[2]콘티연출작화 감독총작화 감독방영일
본편
제1화アーネスト
어니스트
카와구치 케이이치로호죠 마스미
(北條真純)
카와무라 코스케
(川村幸祐)
日: 2023.07.09.
韓: 2023.07.10.
하이라이트
제2화ソフィ
소피
나카노 히데아키
(中野英明)
무라카미 나오키
(村上直紀)
와타나베 켄이치
(渡辺健一)
시바타 유지
(柴田ユウジ)
요시다 하지메
(𠮷田 肇)
시마다 히데아키
(しまだひであき)
이카이 카즈유키
핫토리 켄지
日: 2023.07.16.
韓: 2023.07.17.
하이라이트
제3화クーフーリン
쿠 훌린
타카다 준우스이 타카히코
(臼井貴彦)
타나카 카츠노리
(田中克憲)
시노하라 켄지
(篠原健二)
호죠 마스미
히네노 유코
(日根野優子)
지츠하라 노보루
(実原 登)
니시오 키미타케
(西尾公伯)
이토 타케시
(伊藤岳史)
타니구치 고
(谷口ごー)
胡啓年
皮程越
盧雯琳
王晶
張礼珍
孫悦
日: 2023.07.23.
韓: 2023.07.24.
하이라이트
제4화ローズウッド学園の訓練
로즈우드 학교의 훈련
시마즈 히로유키쿠도 히로아키
(工藤寛顕)
코지마 에리
(小島えり)
日: 2023.07.30.
韓: 2023.07.31.
하이라이트
제5화魔王の娘
마왕의 딸
카와구치 케이이치로
타카다 준
요시모토 마사카즈
(吉本雅一)
코지마 에리
Triple A
코지마 에리
카와무라 코스케
日: 2023.08.06.
韓: 2023.08.07.
하이라이트
제6화将軍と怪鳥
장군과 괴조
시마즈 히로유키오오쿠보 료
(大久保 亮)
나카노 히데아키
이스루기 진
(石動 仁)
칸다 타케시
(神田 岳)
고토 준지
시미즈 카츠유키
(清水勝祐)
와타나베 하루카
(渡辺はるか)
谢雨朦
王佳涵
鑫月
카와무라 코스케日: 2023.08.13.
韓: 2023.08.14.
하이라이트
제7화ローズウッド学園の青春
로즈우드 학교의 청춘
나카노 히데아키시모토리 코스케
(霜鳥孝介)
타카하시 아키라
엔도 카오리
(遠藤 香)
日: 2023.08.20.
韓: 2023.08.21.
하이라이트
제8화人間未満
인간 미만
우스이 타카히코타나카 카츠노리
호죠 마스미
카와구치 히로아키
(川口弘明)
후지타니 나미
(藤谷奈美)
히가키 아키코
(檜垣彰子)
니시오 키미타케
日: 2023.08.27.
韓: 2023.08.28.
하이라이트
제9화超生物討伐委員会
초생물 토벌 위원회
나카노 히데아키사가 사토시
(嵯峨 敏)
Zearth Sato
콘노 미스미
(紺野みすみ)
야마네 아오이
(山根あおい)
아베 카나코
(阿部可奈子)
이와사키 준페이
(岩崎準平)
츠키노 무아
(月乃むあ)
시라이 에이지
(白井英治)
이시다 케이이치
(石田啓一)
성월동화
(星月動画)
寧波麦冬動画
鬼塚塵葬
萩原 旭
日: 2023.09.03.
韓: 2023.09.04.
제10화俺よりうまいものに遭いに行く
나보다 맛있는 것을 만나러 간다
오오히라 나오키
(大平直樹)
쿠도 히로아키지츠하라 노보루
타나카 카츠노리
요네다 유야
(米田雄哉)
이스루기 진
칸다 타케시
고토 준지
시미즈 카츠유키

와타나베 하루카
Triple A
STUDIO CAT
日: 2023.09.10.
韓: 2023.09.11.
제11화ソフィシリーズ(前編)
소피 시리즈(전편)
요시모토 마사카즈요네다 유야
코지마 에리
코지마 에리
카와무라 코스케
日: 2023.09.17.
韓: 2023.09.18.
제12화ソフィシリーズ(後編)
소피 시리즈(후편)
카와구치 케이이치로나카노 히데아키니시오 키미타케
호죠 마스미
타나카 카츠노리
나카자와 아코
(中澤あこ)
지츠하라 노보루
핫토리 켄지
카와무라 코스케日: 2023.09.24.
韓: 202309.25.
OVA
OVA日: 2024.01.26.


7.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7.1. 방영 전[편집]


제작진에서 우려가 깊은 상황이다. 먼저 감독 카와구치 케이이치로는 단편 옴니버스 구성을 제외하면 구조적인 내러티브가 필요한 장편 서사물에는 모두 나사빠진 스토리 지적을 받으며 약한 모습을 보여왔고, 이는 전작 섀도우버스 FLAME스파이 교실에서 여실히 드러났기 때문이다.[3] 또 본작의 시리즈 구성은 하야시 나오키로 배정되었는데, 이 사람은 Key시나리오 라이터 출신으로 나키게의 선구자로서 명성이 있지만 애니메이션에서는 쓰르라미 울 적에 업, 쓰르라미 울 적에 졸의 시리즈 구성을 담당하며 카와구치 감독과 함께 함량 미달의 스토리 구성으로 비판을 받은 적이 있다. 일단 카와구치 감독이 작화 퀄리티는 높게 뽑는 만큼 작화는 보장이 되겠지만 스토리적인 면에서 기대를 버리는 반응이 많다.


7.2. 방영 후[편집]


방영 전의 우려가 현실화되었다는 혹평이 우세하다. 작화는 평균 이상을 보여줬던 감독 카와구치 케이이치로와 캐릭터 디자이너 카와무라 코스케답게 고퀄리티로 유지되고 있으나 메인인 액션을 비롯한 전반적인 연출이 어색하고, 무엇보다 대하 서사물에 약한 카와구치 감독의 단점이 이번에도 드러나 생략된 전개가 많고 스토리의 이음새가 자연스럽지 않아 원작을 보지 않으면 도통 무슨 말을 하는지 알아먹을 수 없다는 반응이 많다.


8. 기타[편집]





[1] 첫번째는 2013년에 애니화된 GJ부.[2] 한국어 번역 제목은 정식 방영사인 애니플러스 방영판을 기준으로 한다.[3] 특히 스파이 교실은 시나리오의 시계열을 바꾸는 과정에서 세세한 설정들의 시계열 변화를 거의 고려하지 않는 바람에 스토리 상 과거 시점임에도 인간관계는 회차에 따라 진행되는 모순을 그대로 연출해버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