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치현 제6구

덤프버전 :


도카이 지방 국회의원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중의원 의원 ]
기후 1구기후 2구기후 3구기후 4구기후 5구
노다 세이코다나하시 야스후미무토 요지가네코 슌페이후루야 게이지
시즈오카 1구시즈오카 2구시즈오카 3구시즈오카 4구시즈오카 5구
가미카와 요코이바야시 다쓰노리고야마 노부히로후카자와 요이치호소노 고시
시즈오카 6구시즈오카 7구시즈오카 8구아이치 1구아이치 2구
가쓰마타 다카아키기우치 미노루겐마 겐타로구마다 히로미치후루카와 모토히사
아이치 3구아이치 4구아이치 5구아이치 6구아이치 7구
곤도 쇼이치구도 쇼조간다 겐지니와 히데키스즈키 준지
아이치 8구아이치 9구아이치 10구아이치 11구아이치 12구
이토 다다히코나가사카 야스마사에사키 데쓰마야기 데쓰야시게토쿠 가즈히코
아이치 13구아이치 14구아이치 15구아이치 16구미에 1구
오니시 겐스케이마에다 소이치로네모토 유키노리공석1다무라 노리히사
미에 2구미에 3구미에 4구
가와사키 히데토오카다 가쓰야스즈키 에이케이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아오야마 슈헤이반노 유타카이시 타쿠미야자와 히로유키오구치 요시노리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가와 마사하루스기모토 카즈미이케다 요시타카시오노야 류요시다 츠네히코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나카가와 타카모토모토무라 노부코이토 와타루다나카 켄와타나베 슈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시하라 마사타카마사키 마키요시카와 타케루마키 요시오야마모토 사콘
비례 21
나카가와 야스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아이치현 제6구>
愛知県第6区
파일:shuinsen_Aichi6.svg
선거인 수435,949명 (2021)
상위 도도부현아이치현
하위 행정구역세토시, 카스가이시
국회의원
니와 히데키




1. 개요[편집]


아이치현의 북부 지역인 세토시, 카스가이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니와 히데키.


2. 상세[편집]


공장, 운송기지가 많은 곳이며, 나고야시로 통근, 통학하는 사람들이 많이 거주하는 곳이다. 또한 도메이고속도로 코마키 분기점이 위치한 교통 요충지이기도 하다.

야권이 전체적으로 우세한 아이치현답게, 이 선거구도 초창기에는 민주당이 근소하게 우세한 선거구였다. 2003년 제43회 총선에서부터 출마한 자민당 니와 히데키 의원도, 정치인 가문 출신임에도 불구하고 2005년 제44회 총선에서만 이기고 나머지 두번의 총선 (제43회 총선, 제45회 총선)에서는 큰 표차로 패배했다.

하지만 2009년 제45회 총선에서 당선된 이시다 요시히로 전 의원이 임기중에 나고야시 시장 출마를 위해 의원직을 사퇴했고,[1] 이때 민주당이 민심을 크게 잃어서인지 니와 히데키가 큰 표차로 재보궐선거에서 이겼다. 이때부터 자민당 니와 후보가 큰 표차로 계속 승리중이며, 아이치현에서 자민당이 가장 우세한 선거구로 탈바꿈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파일:Japan_gov_logo.png 아이치현 제6구 역대 국회의원
선거연도의원명소속정당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1996년구사카와 쇼조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0년마에다 유키치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3년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5년니와 히데키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09년이시다 요시히로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2011년니와 히데키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2년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4년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17년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2021년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카스가이시, 코마키시, 니시카스가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쿠사가와 쇼조90,812표1위

39.7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이토 가쓰토59,631표2위

26.08%낙선
파일:민주당(일본 1996년) 로고.svg아미오카 유우49,074표3위

21.4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타나베 마스미25,815표4위

11.29%낙선
国民하라다 이사무1,107표5위
'''
국민당
'''
0.48%낙선
文化무라마츠 요코966표6위
'''
문화포럼
'''
0.42%낙선
카사하라 키미오776표7위

[[무소속|
무소속
]]
0.34%낙선
政事마스다 미치카즈450표8위
'''
정사공단태평회
'''
0.20%낙선
유효표 수257,363투표율
유권자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카스가이시, 코마키시, 니시카스가이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에다 유키치97,714표1위

38.97%당선
파일:공명당 로고만 하얀색.svg쿠사가와 쇼조92,321표2위

36.82%낙선[2]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츠지 가즈유키29,491표3위

11.76%낙선
無所会이토 겐이치22,617표4위
9.02%낙선
파일:덕주회.png호타 레이코6,971표5위
2.78%낙선
헨미 마사오1,630표6위
0.58%낙선
유효표 수274,095표투표율
59.04%
선거인 수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카스가이시, 이누야마시, 코마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에다 유키치97,766표1위
44.21%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와 히데키80,700표2위
36.50%낙선
파일:보수신당 로고.png미사와 준22,131표3위
10.01%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나기사와 케사미20,524표4위
9.28%낙선
유효표 수289,173표투표율
56.26%
선거인 수402,824인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카스가이시, 이누야마시, 코마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와 히데키126,670표1위
48.03%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마에다 유키치113,467표2위
43.03%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나기사와 케사미23,576표3위
8.94%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66.01%
선거인 수407,653인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카스가이시, 이누야마시, 코마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시다 요시히로167,697표1위
58.8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와 히데키102,252표2위
35.86%낙선
하세가와 코지6,736표3위
2.36%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후쿠하라 마유미5,970표4위
2.10%낙선
이나가키 히로유키2,243표5위
0.79%낙선
유효표 수149,909표투표율
69.90%
선거인 수416,933인

4.6.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보궐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카스가이시, 이누야마시, 코마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와 히데키104,328표1위
61.45%당선
파일:감세일본.svg가와무라 마사요39,308표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6e6edc,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감세일본)]23.1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가와에 아케미14,369표3위
8.46%낙선
파일:행복실현당 심볼.svg후쿠하라 마유미7,932표4위
4.67%낙선
메가타 후미오3,842표5위
2.26%낙선
유효표 수240,376표투표율
41.94%
선거인 수418,455인

4.7.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카스가이시, 이누야마시, 코마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와 히데키113,991표1위
49.13%당선[공]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아마노 미사키56,644표2위
24.11%낙선[3]
파일:일본 미래당 로고.png미즈노 토모히코37,200표3위
16.03%낙선[4]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나기사와 케사미24,203표4위
10.43%낙선
유효표 수174,668표투표율
57.37%
선거인 수419,927인


4.8.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카스가이시, 이누야마시, 코마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와 히데키106,887표1위
[공]52.01%당선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모리모토 가즈요시66,037표2위
32.13%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야나기사와 케사미32,607표3위
15.86%낙선
유효표 수232,764표투표율
50.28%
선거인 수422,007인


4.9.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세토시 일부(짓켄가 투표소에 속한 지역), 카스가이시, 이누야마시, 코마키시
이름소속정당득표수
(득표율)
순위당선 여부비고
니와 히데키
(丹羽秀樹)
자유민주당114,894
(50.8%)
1위당선공명당 추천
모리모토 카즈요시
(森本和義)
희망의 당75,069
(33.2%)
2위낙선
타가미 미쓰노리
(田上光徳)
일본 공산당23,499
(10.4%)
3위낙선
히라야마 료헤이
(平山良平)
사회민주당12,764
(5.6%)
4위낙선
유효표 수226,266투표율 53.20%
유권자 수436,625

자민당 니와 히데키 후보가 큰 표차로 당선되었다. 야권 분열의 원인도 있지만, 아이치현 제14구와 함께 자민당이 과반 득표를 한 아이치현의 두 선거구 중 하나이다.


4.10.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6구
세토시 일부, 카스가이시, 이누야마시, 코마키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니와 히데키136,168표1위
58.3%당선
파일:입헌민주당(2020년) 로고 하얀색 CDP 포함.svg마쓰다 이자오76,912표2위
33.0%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우치다 겐20,299표3위
8.7%낙선
유효표 수233,379표투표율
54.83%
선거인 수435,949인

현역 자민당 니와 히데키 의원이 재출마한다.

입헌민주당은 지난 총선에서 도카이 블록 비례대표로 처음 중의원의원에 당선된 마쓰다 이와오 후보를 공천했다. 중의원 선거에 출마하기 이전에는 11년간 키타나고야시의회 의원을 지냈다. 다만, 기타나고야시는 이곳이 아닌 5구에 속해있다.

공산당은 우치다 겐 전 카스가이시의회 의원을 공천했고, 사회민주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히라야마 료헤이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하지만 이후 사민당은 공천을 철회했다. 최종적으로는 자민, 입헌민주, 공산등 3개 정당의 후보가 출마한다.

투표 결과, 자민당 니와 히데키 후보가 압승했다. 지난 총선에 비해 득표율이 7.5%나 올라갔다. 야권은 현역 의원을 투입하고도 또다시 참패했다.

4.11.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의 중의원 선거구가 1석 늘어나면서 관할 구역이 대폭 조정되었다. 이누야마시와 코마키시가 신설되는 16구로 옮겨졌으며, 대신 아주 작게 갖고 있던 세토시를 7구에서 관할하는 구역까지 갖고 와 세토시의 경계 분할을 해소했다.

자유민주당에서는 현직인 니와 히데키 의원의 재출마가 유력하다.

입헌민주당에서는 마쓰다 이사오 전 의원이 본인의 기반인 기타나고야시가 포함된 16구로 이동하며 새 후보를 찾아야한다.

사회민주당에서는 오니시 마사토 후보가 출마한다.

[1] 나고야 시장 선거 본선에서 현직 카와무라 타카시 시장에게 패배했다.[2]
,
추천
[공] A B 추천[3] 추천[4] 추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