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치현 제11구

덤프버전 :


도카이 지방 국회의원
기후현, 시즈오카현, 아이치현, 미에현
[ 중의원 의원 ]
기후 1구기후 2구기후 3구기후 4구기후 5구
노다 세이코다나하시 야스후미무토 요지가네코 슌페이후루야 게이지
시즈오카 1구시즈오카 2구시즈오카 3구시즈오카 4구시즈오카 5구
가미카와 요코이바야시 다쓰노리고야마 노부히로후카자와 요이치호소노 고시
시즈오카 6구시즈오카 7구시즈오카 8구아이치 1구아이치 2구
가쓰마타 다카아키기우치 미노루겐마 겐타로구마다 히로미치후루카와 모토히사
아이치 3구아이치 4구아이치 5구아이치 6구아이치 7구
곤도 쇼이치구도 쇼조간다 겐지니와 히데키스즈키 준지
아이치 8구아이치 9구아이치 10구아이치 11구아이치 12구
이토 다다히코나가사카 야스마사에사키 데쓰마야기 데쓰야시게토쿠 가즈히코
아이치 13구아이치 14구아이치 15구아이치 16구미에 1구
오니시 겐스케이마에다 소이치로네모토 유키노리공석1다무라 노리히사
미에 2구미에 3구미에 4구
가와사키 히데토오카다 가쓰야스즈키 에이케이
비례 1비례 2비례 3비례 4비례 5
아오야마 슈헤이반노 유타카이시 타쿠미야자와 히로유키오구치 요시노리
비례 6비례 7비례 8비례 9비례 10
나카가와 마사하루스기모토 카즈미이케다 요시타카시오노야 류요시다 츠네히코
비례 11비례 12비례 13비례 14비례 15
나카가와 타카모토모토무라 노부코이토 와타루다나카 켄와타나베 슈
비례 16비례 17비례 18비례 19비례 20
이시하라 마사타카마사키 마키요시카와 타케루마키 요시오야마모토 사콘
비례 21
나카가와 야스히로
일본 공산당의 당색은 #db001c이나, 자민당과의 구별을 위해 #9f001c로 표기함.
[1] 2022년에 공직선거법 개정안이 통과되어 신설된 지역구임.
{{{-1 {{{#fff 홋카이도 · 도호쿠 · 기타칸토 · 미나미칸토 · 도쿄 · 호쿠리쿠신에쓰 · 도카이 · 긴키 · 주고쿠 · 시코쿠 · 규슈-오키나와
}}}}}}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선거구
파일:일본국 내각총리대신 심볼.svg
아이치현 제11구>
愛知県第11区
파일:shuinsen_Aichi11.svg
선거인 수383,834명 (2021)
상위 도도부현아이치현
하위 행정구역토요타시, 미요시시
국회의원
야기 데쓰야




1. 개요[편집]


아이치현토요타시, 미요시시를 관할하는 일본의 중의원 선거구다.

현재 지역구 국회의원은 자유민주당 소속 야기 데쓰야.


2. 상세[편집]


토요타의 본사 등이 위치한 토요타시가 속한 선거구로, 토요타의 영향으로 자동차 산업 종사자들이 많은 곳이다. 때문에 소선거구제 도입 이후 이 지역구에서 당선된 의원들은 모두 토요타 노조(전토요타노동조합) 출신일 정도로, 토요타 노조의 영향력이 강하다. 그리고 이런 영향으로 민주당 계열이 매우 우세를 보이는 지역구지만, 자동차노조와 전력노조가 탈원전, 재생 에너지 정책에 반기를 들면서 전기자동차 전환에도 소극적인 태도를 취하는 등[1] 일본 노동조합 중에서도 독보적으로 보수적인 성향을 보이는 까닭에 의원성향 또한 자민당에 가까운 편. 이 때문에 일본 공산당 및 혁신계열, 심지어 일본노동조합총연합회에서도 어용노조계 의원을 배출한다고 까인다.

자동차노조와 전력노조가 보수적 색채를 띄고 아주 강하게 공산당을 싫어하기 때문에, 후루모토 신이치로 전 의원도 야권 통합시 공산당과의 연대의사를 밝힌 입헌민주당에 합류하지 않고 무소속으로 남았다. 사실 이 지역구는 정당보다도 노조의 조직력이 더 절대적인 영향력을 갖기 때문에, 굳이 정당 소속으로 활동할 필요도 없다.

한국으로 치면 울산 북구와 비슷한 성격의 선거구다. 거대 자동차 메인 공장을 끼고 있고 자동차 산업 종사자들이 많으며 자동차 회사 노조의 영향력이 매우 강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후 토요타 노조가 친자민당 행보를 보이면서, 후루모토 신이치로는 노조의 뜻을 따라 불출마를 선언했다.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에서는 자민당 야기 데쓰야 후보가 압승했다.


3. 역대 국회의원[편집]



4. 역대 선거 결과[편집]



4.1. 제41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 니시카모군, 히가시카모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신진당 로고 white.svg이토 에이세이123,404표1위

55.48%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우라노 야스오키85,766표2위

38.56%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오무라 요시노리13,260표3위

5.96%낙선
유효표 수257,363투표율
유권자 수

4.2. 제42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 니시카모군, 히가시카모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이토 에이세이130,473표1위

57.56%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마나카 아키코79,910표2위

35.25%낙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사토 요시아츠13,862표3위

6.12%낙선
파일:덕주회.png시오자와 이사무2,422표4위

자유연합
1.07%낙선
유효표 수149,909표투표율
선거인 수

이 선거에서 낙선한 자민당 야마나카 후보는 이후 지역구를 치바현 제2구로 옮긴뒤 당선되었다.

4.3. 제43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 니시카모군, 히가시카모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루모토 신이치로181,7471위

89.56%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쿠시다 신고21,1792위

10.44%낙선
합계유효표 수202,926투표율
67.25%
유권자 수338,755

현직 의원인 이토 에이세이는 2003년 3월 24일 불출마 및 정계 은퇴를 표명했다. 이 지역구에서 강한 영향력을 가진 토요타 노조는 후루모토 신이치로를 후보로 옹립했다.

자민당이 후보를 내지 않아 민주당과 공산당간 1:1 매치가 되었고, 토요타 노조의 영향력이 강한 지역구인 만큼, 후루모토 신이치로가 89.56%라는 높은 득표율로 첫 당선에 성공했다.


4.4. 제44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 니시카모군, 히가시카모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루모토 신이치로132,7301위

52.2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이 마사키105,631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41.62%당선(석패율제)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모토무라 노부코15,4683위

6.09%낙선
합계유효표 수253,829투표율
75.0%
유권자 수346,484


4.5. 제45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 니시카모군, 히가시카모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루모토 신이치로177,3501위

64.02%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도이 마사키91,334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32.97%낙선
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나카네 히로미8,3263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1.21%낙선
합계유효표 수277,010투표율
78.13%
유권자 수362,700


4.6. 제46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 니시카모군, 히가시카모군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루모토 신이치로126,4981위

52.59%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기 데쓰야91,164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37.31%당선(석패율제)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와타나베 히로시14,6703위

6.00%낙선
파일:행복실현당 로고.svg나카네 히로미11,8074위
[[행복실현당|

행복실현당
]]
4.83%낙선
합계유효표 수244,365투표율
69.75%
유권자 수367,599

자민당은 45회 중원선에서 패배한 도이 마사키 후보를 대신해 토요타시 시의회 의장을 역임한 야기 데쓰야 후보를 공천했다. 야기 데쓰야 후보는 토요타 노조의 지원을 받는 후루모토 신이치로 후보를 이기진 못했지만 석패율제 비례대표로 당선되었다.


4.7. 제47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옛 이나부초 지역 제외), 미요시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민주당(일본 1998년) 로고.svg후루모토 신이치로134,6981위
53.8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기 데쓰야97,1672위
[include(틀:글배경br, 배경색=#3CA324, 사이즈=.9em, 글자색=#ffffff, 내용=자유민주당)]40.39%비례당선
(석패율제)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마키타 미쓰오16,8833위
7.02%낙선
합계유효표 수240,548투표율
66.95%
유권자 수369,434


4.8. 제48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 일부(옛 이나부초 지역을 제외한 전역), 미요시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희망의당(2017년) 로고 하얀색.svg후루모토 신이치로134,698표1위
53.80%당선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기 데쓰야96,978표2위
38.74%비례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혼다 노부히로18,685표3위
7.46%낙선
유효표 수250,361표투표율
66.54%
선거인 수384,438인


4.9. 제49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아이치현 제11구
토요타시 일부, 미요시시
후보득표수비고
정당득표율당락
파일:자유민주당(일본) 흰색 로고.svg야기 데쓰야158,018표1위
69.1%당선
파일:일본공산당 로고 white 상하.svg혼다 노부히로36,788표2위
16.1%낙선
우메무라 다다시33,990표3위
14.9%낙선
유효표 수228,796표투표율
62.80%
선거인 수383,834인

현역 무소속 후루모토 신이치로 의원의 재출마가 예상되었으나, 불출마 선언하였다. 그동안 후루모토 의원을 지원해온 토요타 노련이 자민당과의 대립을 피하기 위해 불출마를 요청한 경위가 있어, 향후 토요타 노조의 영향력이 큰 아이치현 전체에서 큰 파문이 일 것으로 보인다.

자민당의 경우, 현역 야기 테츠야 의원이 2020년 10월 불출마를 선언했으나, 이후 입장을 바꾸어 2021년 5월 다시 차기 총선에 출마하겠다고 선언했다. 야기 의원은 1947년 8월 10일생으로(만 74세), 만 73세를 넘겨서 다음 총선에서는 비례대표 의원으로 중복 출마하지 못한다. 야당 초강세 지역이라 선거구 패배가 100% 확실한 상황에서, 비례대표로 등록도 못하기에 낙선을 피할 수 없는지라 불출마를 선언했으나, 지역 자민당 조직이 더 나은 대체 후보를 구하지 못해 재출마를 요청한 것으로 추측된다.

그러나 현역 후루모토 의원이 갑자기 불출마를 선언하고 토요타 노련이 기시다 총리 당선 이후 친자민당 행보[2]를 하면서 당선이 거의 확실시되고 있다. 게다가 후보 등록 직전에 사퇴하는 바람에 입헌민주당등 야권은 대체후보를 구할 여유도 없다. 얼마전까지만 해도 낙선이 100% 확실한 가운데 대체후보가 없어 울며 겨자먹기로 출마를 결심했는데, 뜻밖의 행운을 잡은 것이다.

공산당은 지난 총선에 출마한 혼다 노부히로 후보를 다시 공천했다. 의사인 무소속 우메무라 타다시 후보도 출마한다.

투표 결과, 자민당 야기 테츠야 후보가 69.1% 이라는 압도적인 득표율로 당선되었다. 당초 낙선이 100% 확실한 상황이었는데, 노조의 야권 지지 철회라는 예상 밖 변수덕분에 노력하지 않고도 승리했다.

4.10. 제50회 일본 중의원 의원 총선거[편집]


토요타시 북동부 쪽에 14구에서 관할 지역이 이 곳으로 넘어오면서 시 경계 분할을 해소시켰다.

자유민주당에서는 야기 데쓰야 의원이 재출마한다.

야권에선 국민민주당에서 후보를 냈다. TV 프로그램 캐스터와 라디오 진행자를 맡았던 단노 미도리가 출마한다.

[1] 전토요타의 상급 산별노조인 자동차총련에서도 '전기차로의 전환은 가시밭길'이라고 할 정도로 일본 자동차업계는 경쟁 국가인 한국, 중국과 다르게 전기차 전환에 부정적인 편이다.[2] 이는 기시다 총리가 예전부터 자동차 산업에 관심이 많고, 기시다 총리의 부인이 마쓰다 임원 비서로 일했던 경력이 있는 것도 이유로 꼽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