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현역(도시철도) (r56판)

편집일시 :

峴驛 / Sinhyeon Station
신 현
파일:Seoulmetro7_icon.svg
다국어 표기
영어Sinhyeon
한자新峴
중국어新岘
일본어シンヒョン
주소
인천광역시 서구 염곡로 지하 270(신현동 290-22번지)
운영 기관
7호선파일:서울교통공사_Logo.svg
개업일
7호선2021년 5월 22일
역사 구조
지하 8층[1]
승강장 구조
복선 상대식 승강장

1. 개요
2. 역 정보
3. 역 주변 정보
4. 일평균 이용객
5. 승강장
6.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서울 지하철 7호선 762번. 인천광역시 서구 염곡로 지하 270(신현동 290-22번지). 서울교통공사가 운행. 2014년 10월 30일 착공식을 열었으며 2021년 5월 22일 개통했다.


2. 역 정보[편집]


지하역으로 8층 구조다. 수도권 전철 5호선 신금호역과 거의 맞먹는 수준이다. 인천광역시내에 있는 역 중에서는 가장 층 수가 많은 역.

대합실(지하 1층)과 승강장(지하 8층)을 연결하는 엘레베이터가 있는데 승강장이 비교적 깊은 편이어서 일반인들도 엘레베이터를 이용한다. 심도 길이가 무려 52.9m. 일명 병 주고 약 주는 역..

7호선 부평구청~가정 연장 구간의 하나뿐인 중간역이다. 이 역과 석남역 사이는 약 850m.. 역간 거리가 짧은 편. 이 역의 출구 수는 무려 7개.[2]

인천 도시철도 2호선 가정중앙시장역과 직선 거리가 약 800m, 도보 거리 약 1100m. 거리는 멀지않는 편. 이 역과 가정역 사이는 약 1100m.. 하지만 가정역이 더 가깝다.

2020년 3월 10일부터 3월 29일까지 역명 선호도 조사를 진행하였다. 후보는 독골사거리역, 신현역, 신석역 등. 조사 결과, 위 중에서 신현역이 가장 선호도가 높았고, 2020년 6월 3일 신현역으로 최종 확정되었다.


3. 역 주변 정보[편집]



  • 출구 정보
1석남도시녹지숲
2인천신석초등학교
3인천신현북초등학교
신현중학교 / 신현고등학교
신석도서관
인천서구청소년센터
4가정1동행정복지센터
5루원이편한세상하늘채아파트
정서진중앙시장
6인천신현초등학교
신현원창동행정복지센터
석남동우체국
강남시장
신촌공원
7석남1동행정복지센터
석남체육공원

인천신석초등학교, 석남동우체국, 인천신현초등학교, 신현중학교, 신현고등학교, 아파트단지 등이 있다.

역이 들어서는 염곡로 주변에 신현동 아파트단지, 석남동 주택단지로 구성되어 있다. 이 일대에 있는 신현초교주변주택재개발구역이 있어 실제 진행될 경우 수혜를 입을 가능성이 있다.


4. 일평균 이용객[편집]


연도
파일:Seoulmetro7_icon.svg비고
2021년8,970명
2022년14,550명

  • 개통일인 5월 22일부터 12월 31일까지 224일간(32주)의 집계를 반영한 것이다.
  • 출처: [[http://www.seoulmetro.co.kr/kr/board.do?menuIdx=548|서울교통공사 자료실

2022년 11월 기준 승하차량은 14,550명으로 신현동, 산곡동, 청천동에서 어느 정도 자리를 잡아 준수한 이용률을 보이고 있다. 출퇴근시간에 버스 환승객 또한 많으며, 온수 방향의 경우 이 역에서 앉지 못하면 최소한 가산디지털단지역까지는 계속 서서 가야 한다[3]. 석남 방향으로도 승차하는 승객이 다소 있다.


5. 승강장[편집]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으로 구성되었다. 지하 8층. 깊이는 지하 52.9m. 일명 병 주고 약 주는 역.

석남
가정


이 역과 가정역 스크린도어는 다른 5678호선 스크린도어와는 달리 개폐될 때 매우 낮은 톤의 목소리로 안전문이 열립니다(닫힙니다)라고만 나오고 출입문이 열리고 난 다음 스크린도어가 열린다.


6. 둘러보기[편집]







[1] 수도권 지하철들 중 최다층수인 역[2] 마곡역 출구 수와 똑같다.[3] 시간대에 따라 이 역부터 입석이 발생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