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장벌레(스타크래프트 2) (r1판)

편집일시 :

 스타크래프트 II 저그의 유닛, 건물 목록 
[ 펼치기 · 접기 ]
부화장
번식지
군락
비생산 유닛
기타 건물추출장산란못진화장바퀴 소굴맹독충 둥지가시 촉수포자 촉수히드라​리스크 굴
둥지탑가시​지옥 굴감염 구덩이땅굴망땅굴​벌레거대 둥지탑울트라​리스크 동굴점막 종양
[ 펼치기 · 접기 ]
캠페인, 협동전 임무 전용
유닛낙하주머니변형체갈귀수호군주포식귀파멸충브루탈리스크피갈리스크
오메가리스크추적 도살자거대괴수감염된 테란군단 여왕무리어미랩터군단충
쌍독충사냥꾼송장벌레고름관통 촉수땅무지날벌레독성
토라스크퀼고르라바사우르스역병전파자폭발성 감염체감염된 공성 전차감염된 밴시감염된 건설로봇
감염된 해병 / 감염된 부대원감염된 코브라감염된 해방선무리 여왕알렉산더아포칼리스크왕저글링폭독충
혀감염충부식군주구리구리스크원시 일벌레원시 저글링원시 바퀴원시 점화자원시 수호군주
원시 히드라리스크원시 뮤탈리스크원시 숙주땅무지 숙주원시 울트라리스크티라노조르
건물초월체 촉수바이로파지포자 주둥이자동 추출장갈귀 둥지관통 군체관통 촉수 굴부패 주둥이
감염된 고치지하 군체오메가망오메가벌레독성 둥지감염된 사령부감염된 거주민 수용소감염된 정제소
감염된 보급고감염된 병영감염된 군수공장감염된 우주공항감염된 벙커감염된 미사일 포탑감염된 공학 연구소감염된 기술실
원시 군락원시 감시자데하카의 굴글레빅의 굴다크룬의 굴멀바르의 굴원시 벌레 / 거대 원시 벌레제루스 가시벌레
감염된 주점
미구현 데이터






1. 개요
3. 성능
4. 기타



1. 개요[편집]


Corpser. 스타크래프트 2: 군단의 심장에 등장하는 바퀴의 변종.


2. 진화 임무[편집]


스캔티피드 정수 수집함. 스캔티피드 자체는 특별하지 않음. 안에 있는 기생충이 더 흥미로움. 이 유전자를 이용하면, 바퀴가 상대에게 미세 기생충 주입 가능. 산성 타액은 살을 녹임. 기생충은 이렇게 생긴 구멍을 통해 숙주 안에 잠복해 있다가 부화함. 숙주가 죽으면, 애바퀴 나옴. 뚫린 곳이라면 어디서든 튀어나옴. 극도로 효율적.


실험 장소는 칸타르 행성.


3. 성능[편집]


  • 특징: 바퀴에게 공격당한 적이 일정 시간 내에 죽으면 시체[1]에서 애바퀴[2] 2마리가 나온다.

같은 사의 다른 게임인 워크래프트 3다크 레인저나 나가 세이렌 등을 연상케 하는 능력을 가지고 있다.

설정상 스캔티피드의 표본으로 만든 바퀴의 변종으로 고름과 송장벌레 중 하나를 선택해야 한다.

적을 죽이면 애바퀴 2마리가 튀어나오며, 애바퀴의 능력치는 생명력 45, 공격력 2, 공격주기 0.65, 경장갑이고 그 외의 능력치는 캠페인에 등장하는 일반 바퀴와 같다. 일단 요오드화 담즙 변이를 찍으면 해병 같은 약한 경장갑 유닛에게 극상성이 된다. 적 하나를 처치할 때마다 애바퀴 2마리가 나오므로 최대한 많은 적을 처치해야 유리한데, 해병은 많은 양이 등장하고 유리몸이라 금방 애바퀴로 전환되기 때문. 시체에서 나오는 애바퀴의 능력 자체는 공생충보다도 못하지만 생명력이 45나 되어 90짜리 방패가 앞에 생기는 것이나 마찬가지니 바퀴가 주로 담당하는 탱커 역할을 분담하기엔 제격이다. 그리고 바퀴가 직접 죽일 필요가 없이 한 대 때리기만 해도 다른 유닛으로 마무리 하면 애바퀴가 나오니 바퀴 수만 어느정도 유지되고 적을 계속 죽인다면 끊임없이 애바퀴들이 나오는 것을 볼 수 있다.

만약 케리건의 감염 공생충-연쇄반응 콤보와 조합하면 애바퀴와 공생충이 미친 듯이 불어나는 꼴을 볼 수도 있다. 다만 분산공격을 아예 못할만큼 손가락이 어지간히 느린 게 아니라면 고름의 효율이 거의 모든 미션들에서 압도적으로 좋고 탱킹은 울트라에게 맡기면 오케이기 때문에 땡바퀴(…)를 쓸게 아닌 한 특별히 추천할 정도까지는 아니다. 자신을 보호해 줄 근접 유닛이 적더라도 금방 고기방패를 만들어 프리딜링을 가하기 쉽다는 장점이 있지만 고름에게 근접 유닛을 상당수 붙여서 한타 초기 안정적인 딜링을 뽑기 어렵다는 약점을 보완하고 나오면 송장벌레를 한참 뛰어넘는 공포스러운 효율을 보여준다. 아주어려움 난이도의 경우 인공지능의 향상으로 바퀴와 애바퀴만 있을 때 어그로사 바퀴 본체에 끌려, 실질적인 탱킹 분담의 효율이 급감한다.

그리고 자날과 달리 애바퀴의 역할군과 겹치는 유닛이 상당히 많은 것도 흠이다. 당장에 바퀴진화 전에 얻을수 있는 군단충 변종, 대상이 없어도 생산 가능한 군단숙주, 자체 데미지도 주는 무리군주, 케리건 자체 패시브로 생성할수있는 공생충 등 너무 많은 경쟁상대가 있으며 몇몇은 진화임무 특성상 배제되더라도 식충이 우뚝 버티고 서있기까지 하니.. 그리고 같이 등장한 고름바퀴의 디버프가 너무 오버벨런스로 나온것도 한몫한다. 스타크래프트를 모르는 유저가 둘다 성능을 보여주고 둘 중 하나를 고르라하면 송장벌레보다 고름바퀴를 선택하는 경우가 허다할 정도이니.

비교적 물량이 적고 강력한 유닛과의 교전(토르, 거신, 울트라리스크 등)에는 특성의 효율이 극도로 떨어지는 편. 거기다가 무리군주가 쓰는 공생충이나 군단 숙주식충처럼 애바퀴의 제한시간이 있어서 한타 상황이 아니면 유용하게 쓰기는 힘든 편. 고름이 보이지 않게 도움을 준다면 송장벌레는 애바퀴가 늘어나고 딜이 분산되는게 체감되도록 도움을 준다.


4. 기타[편집]


이스터 에그로 진화 임무에서 바퀴가 진화한 뒤 나오는 방 안에서 '멀록' 해병과 디아블로가 춤을 추고 있다.

히어로즈 오브 더 스톰에선 자가라의 스킬로 낙하주머니에서 애바퀴가 나온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송장벌레 문서의 r52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송장벌레 문서의 r52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4 08:18:00에 나무위키 송장벌레(스타크래프트 2)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기계 유닛(파수기, 거신 등)을 파괴해도 나온다. 건물 파괴시에는 애바퀴가 나오지 않는다.[2] Roachling. HP 45, 공격력 2. 오로지 근접공격만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