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우기성

덤프버전 :



대한민국의 독립유공자
선우기성
鮮于基聖
파일:선우기성 미한사.jpg
출생1909년 5월 13일
평안북도 정주군 남서면 하단리
사망1988년 11월 6일 (79세)
서울특별시 양천구 목동 목동아파트
묘소국립대전현충원 독립유공자 1묘역-85
[ 펼치기 · 접기 ]
본관태원 선우씨
배우자김봉도(金鳳道)
자녀3남 3녀
아들 선우연(鮮于演), 선우윤(鮮于潤)
딸 선우숙(鮮于叔)
숙부선우혁(鮮于爀), 선우훈(鮮于燻)[1]
학력오산고등보통학교 (퇴학)[2]
경력조선민주당 조직부장
평안청년회 부회장
서북청년회 중앙집행위원장
대동청년단 부위원장
대한국민당 선전부장
상훈건국훈장 애족장
[1] 둘 모두 독립운동가로 각각 건국훈장 국민장과 애족장에 추서되었다.#[2] 1985년 2월 13일 임창원, 신기복과 함께 오산고등학교로부터 명예졸업장을 수여받았다.#
1. 개요
2. 저서
3. 선거이력




1. 개요[편집]


한국의 독립운동가, 청년운동가, 정치인, 저술가. 1990년 12월 26일 건국훈장 애족장을 추서받았다.[1]


2. 저서[편집]


  • <한국청년운동사> (1973년, 금문사)
  • <어느 운동자의 일생> (1987년, 배영사)


3. 선거이력[편집]


연도선거 종류선거구소속 정당득표수 (득표율)당선 여부비고
1948제헌 국회의원 선거경기제4선거구[2]
[[무소속|
무소속
]]
6,389 (23.46%)낙선 (2위)
194906.10 보궐선거충남제19선거구[3]
[[서북청년회|
서북청년회
]]
? (?.??%)낙선 (?위)[4]
1950제2대 국회의원 선거서울제10선거구[5]
[[대한국민당(1949년)|
대한국민당
]]
974 (3.06%)낙선 (6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31 16:02:58에 나무위키 선우기성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광주학생항일운동의 공로로 훈장을 추서받았으나, 해방 이후 정치 테러와 민간인 학살 주도 등의 행적 탓에 훈장 박탈 여론 역시 거세다.[2] 고양군갑구[3] 천안군[4] 이병국 의원의 사망으로 치러진 보궐선거.[5] 서대문을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