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특별시교육감

덤프버전 :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휘장 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 펼치기 · 접기 ]
초대
김영훈
제2대
정의택
제3대
박현식
제4대
김원규
제5대
최복현
제6대
오경인
제7·8대
하점생
제9대
이창갑
제10대
구본석
제11대
최열곤
제12대
김상준
제13대
이준해
제14·15대}}}유인종
제16·17대}}}공정택
제18대
곽노현
제19대
문용린
제20-22대}}}조희연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슬로건.svg



파일:서울특별시교육청 휘장 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서울特別市敎育監
Superintendent of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파일:조희연2022.jpg
현직조희연 / 제20-22대
취임일2014년 7월 1일
정당
[[무소속|
무소속
]]
[1]
성향[[진보주의#s-11|
진보
]]

1. 개요
2. 역대 서울특별시교육감
3. 역대 선거 결과
4. 여담
5.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서울특별시교육청의 수장이다.

2. 역대 서울특별시교육감[편집]



3. 역대 선거 결과[편집]



3.1. 2010년[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성향득표율비고
이원희(李元熙)1,411,7522위
[[보수주의|
보수
]]

33.22%낙선
남승희(南承希)502,3964위
[[보수주의|
보수
]]

11.82%낙선
김성동(金成東)125,4576위
[[보수주의|
보수
]]

2.95%낙선
김영숙(金英淑)517,6403위
[[보수주의|
보수
]]

12.18%낙선
이상진(李相珍)53,7427위
[[보수주의|
보수
]]

1.26%낙선
곽노현(郭魯炫)1,459,5351위
[[진보주의#s-11|
진보
]]

34.34%당선
권영준(權泳俊)178,5925위
[[보수주의|
보수
]]

4.20%낙선
선거인 수8,211,461투표율
53.92%
투표 수4,427,504
무효표 수178,390

[서울특별시교육감 구별 개표 결과 보기]
서울특별시교육감 선거 개표 결과
성향[[보수주의|
보수
]]

[[진보주의#s-11|
진보
]]

격차투표율
후보이원희곽노현(1위/2위)(선거인/표수)
득표수
(득표율)
1,411,752
(33.22%)
1,459,535
(34.34%)
-47,783
(▼1.12)
53.92%
종로구33.86%35.21%▼1.3556.02%
중구34.20%31.17%△3.0355.75%
용산구36.08%31.27%△4.8153.05%
성동구32.50%33.27%▼0.7754.06%
광진구31.46%35.74%▼4.2852.73%
동대문구32.77%33.39%▼0.6254.02%
중랑구32.69%32.30%△0.3950.12%
성북구31.18%35.93%▼4.7553.38%
강북구31.52%33.28%▼1.7651.45%
도봉구31.79%34.62%▼2.8354.63%
노원구30.93%36.20%▼5.2756.16%
은평구31.21%35.70%▼4.4951.26%
서대문구31.25%36.39%▼5.1455.01%
마포구29.79%38.80%▼9.0155.14%
양천구31.85%35.58%▼3.7356.21%
강서구31.52%34.93%▼3.4153.35%
구로구32.37%34.16%▼1.7955.37%
금천구32.17%33.16%▼0.9952.62%
영등포구33.09%33.83%▼0.7454.76%
동작구31.36%36.61%▼5.2556.61%
관악구27.97%39.81%▼11.8453.93%
서초구42.63%29.52%△13.1154.45%
강남구44.27%27.56%16.7151.23%
송파구36.43%32.61%△3.8254.19%
강동구34.18%34.08%△0.1054.10%


3.2. 2012년[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성향득표율비고
이상면(李相勉)사퇴
[[보수주의|
보수
]]

문용린(文龍鱗)2,909,4351위
[[보수주의|
보수
]]

54.17%당선
최명복(崔明福)183,1654위
[[보수주의|
보수
]]

3.41%낙선
이수호(李秀浩)1,987,5342위
[[진보주의#s-11|
진보
]]

37.01%낙선
남승희(南承希)289,8213위
[[보수주의|
보수
]]

5.39%낙선
선거인 수8,384,917투표율
74.49%
투표 수6,246,564
무효표 수876,609

3.3. 2014년[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성향득표율비고
이상면(李相勉)290,9824위
[[보수주의|
보수
]]

6.00%낙선
고승덕(高承德)1,176,0603위
[[보수주의|
보수
]]

24.25%낙선
조희연(曺喜昖)1,894,8721위
[[진보주의#s-11|
진보
]]

39.08%당선
문용린(文龍鱗)1,486,1602위
[[보수주의|
보수
]]

30.65%낙선
선거인 수8,441,594투표율
58.62%
투표 수4,948,614
무효표 수100,540

3.4. 2018년[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성향득표율비고
조희연(曺喜昖)2,271,4131위
46.59%당선
조영달(曺永達)841,5993위
[[중도주의|

중도
]]
17.26%낙선
박선영(朴宣映)1,762,2582위
36.15%낙선
선거인 수8,380,944투표율
59.87%
투표 수5,018,295
무효표 수142,625

서울특별시에 최초 재선 교육감이 탄생했다. 특히 보수 후보끼리의 분산과 서로끼리의 공방전[2]으로 인해 신승했던 지난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때와 달리 보수 교육감 후보와 사실상 1:1 대결에서 낙승할 정도로 득표율이 올라갔다.

다만 강남3구에선 상대적으로 부진했는데 강남구와 서초구에선 박선영 후보가 넉넉히 승리했고, 송파구에선 다른 곳보다 격차가 적었다. 이는 자사고 폐지 관철이 강남3구의 유권자들을 자극한 것이 컸다.

3.5. 2022년[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교육감
기호이름득표수순위
성향득표율비고
강신만(姜信晩)사퇴[3]
박선영(朴宣映)978,9353위
23.10%낙선
윤호상(尹昊相)226,5635위
5.34%낙선
조영달(曺永達)281,0904위
6.63%낙선
조전혁(趙全赫)995,5182위
23.49%낙선
조희연(曺喜昖)1,614,5141위
38.10%당선
최보선(崔普善)140,0316위
3.30%낙선
선거인 수8,378,337투표율
53.16%
투표 수4,454,150
무효표 수217,449

제6회 전국동시지방선거 결과가 그대로 재현되었다. 심지어 조희연 후보의 득표율도 그때와 엇비슷한 상황.

4. 여담[편집]



5. 관련 문서[편집]




[1]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제24조에 의거 교육감은 정당을 가질 수 없다.[2] 문용린 vs 고승덕 구도가 있었다.[3] 조희연 후보 지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