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버스 성북01 (r1판)

편집일시 :

파일:성북구 CI.svg 서울특별시 성북구 마을버스
{{{#fff,#1f2023
[[틀:서울특별시의 공항버스|

{{{#white 공항
ㆍ[[틀:서울특별시의 광역버스|
광역
]]ㆍ[[틀:서울특별시의 간선버스|
>
간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지선버스|

지선
]]ㆍ[[틀:서울특별시의 순환버스|{{{#!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99d1c; font-size: 14px;"
순환
]]ㆍ[[틀:서울특별시의 심야버스|

심야
]]ㆍ[[틀:서울특별시의 마을버스|

마을
]]



파일:SAM_3705.jpg파일:SAM_3707.jpg
그린시티 차량NEW BS090 차량

1. 노선 정보
2. 개요
3. 역사
4. 특징
4.1. 일평균 승차인원
5. 연계 철도역



1. 노선 정보[편집]


파일:서울특별시 휘장_White.svg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01번
기점서울특별시 성북구 돈암동(동구마케팅고후문)종점서울특별시 성북구 삼선동4가(삼선동주민센터)
종점
첫차05:20기점
첫차06:10
막차23:55막차00:10
평일배차4~7분주말배차5~9분
운수사명아리랑교통인가대수8대
노선동구마케팅고후문 - 성북구민회관 - 한진아파트204동 - 스카이플라자 - 한신아파트105동 - 삼선교·한성대입구역 → 삼선교1~2시장 → 삼선동주민센터 → 돈암초등학교 → 삼선교·한성대입구역 → 이후 역순


2. 개요[편집]


아리랑교통에서 운행하는 마을버스 노선으로, 해오름한신한진아파트와 한성대입구역을 이어준다. 전체 정류장 목록


3. 역사[편집]


  • 성북구 1번 마을버스가 전신이다.

  • 2004년 대개편 때 번호만 성북01번으로 바뀌었다.

  • 현재 이 노선도 안내방송 시스템이 본시스템으로 교체되었다.


4. 특징[편집]


  • 한신/한진 아파트단지의 주민들이 한성대입구역 및 시내버스를 이용하기 위해 주로 이용하는 아파트 셔틀버스 역할을 한다. 아파트 규모 자체도 상당히 큰 편인데다, 지도에서 보이는 것과는 달리 아파트 단지가 꽤 높은 언덕 위[1]에 위치해 있어서 대로까지 걸어서 이동하기는 곤란하기 때문이다.

  • 한신/한진 아파트로 올라가게 되면 정류소가 잘 보이지 않아, 잘 보고 내려야 한다.

  • 한신/한진 아파트 201동에서 하차한 다음 길을 따라 위로 올라가면 구민회관이 나오는데 거기서 1162번을 탈 수 있다. 하지만 경사가 상당히 급하니 주의하자.

  • 배차는 4분 단위이나 잘 지켜지지 않는다고 봐야 한다. 노선이 통과하는 동소문로의 교통체증이 상당히 심하기 때문이다. 그러다보니 한신/한진 아파트단지 주민들의 불만이 많은데 이 노선의 수요 거의 대부분이 아파트단지~한성대입구역이기 때문이다.[2]

  • 그러다보니 회차지점을 구 혜화로터리나 대학로(혜화역 성균관대 셔틀버스 타는곳)으로 옮겨달라는 민원[3]이 가끔 제기되는데 서울시에서는 마을버스와 시내버스 중복정류소가 왕복 4개 이상일경우 불가능을 내세워 허가하지 않고 있다.

  • 다만 출퇴근시간에는 한꺼번에 2대씩 오기도 하며 그래도 버스를 타려는 줄이 너무 길어 다 못 타는 경우도 있다.

  • 언덕 위에 있는 아파트단지다 보니, 버스 기사들이 조금만 속도를 내도 언덕길에서 탄력이 붙기 때문에 롤러코스터를 타는 느낌마저 든다.

  • 위 사진을 봐도 알 수 있듯이 이 노선에 6414호가 2대 존재한다.


4.1. 일평균 승차인원[편집]


서울특별시 마을버스 성북01번
연도일평균 승차량전년대비 변동폭
2013년9,000명-
2014년8,759명▽ 241
2015년8,851명△ 92
2016년8,770명▽ 81
2017년8,557명▽ 213
2018년8,411명▽ 146
2019년8,262명▽ 149
2020년6,023명▽ 2,239
※ 하차 인원 미포함


5. 연계 철도역[편집]




[1] 산을 깎아서 만든 아파트단지다.[2] 전혀 막히지 않는 아파트단지 구간은 만차로 다니고 교통정체가 심한 구간은 거의 빈차로 다닌다.[3] 전자의 경우는 회차길이가 짧아지며 후자의 경우는 막히는것은 똑같지만 수요층이 많은 번화가를 지나게 되며 무엇보다 마을버스-일반버스간 환승이 쉬워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