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리나 비흐만

덤프버전 :

사리나 비흐만의 역임 직책


}}}||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
1972년 ~ 현재
||
||<width=20%><:>1대
플로이어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2대
바우테르서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3대
블록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4대
흐루네바우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width=20%><:>5대
더흐로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6대
판링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7대
뷔터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8대
판링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9대
데르크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10대
독터르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11대
더캇
파일:네덜란드 국기.svg||<:>12대
파우
파일:네덜란드 국기.svg||<:>13대
레이너르스
파일:네덜란드 국기.svg||<:>14대
판데르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15대
비흐만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bgcolor=#CFF><:>16대
파슨스
파일:잉글랜드 국기.svg||<-4>||
||<height=30><bgcolor=#eeeeee,#191919><-5> ||


파일:England W FA 2018.png
[ 펼치기 · 접기 ]

||<-5><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7f7f7,#191919><bgcolor=#e31e31> 1972년 ~ 현재 ||
||<(>
1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워딩턴
2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애덤스|
3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트랜터
4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심스 |
5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로딩 ||
||<(>
6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리건
7대
파일:웨일스 국기.svg 윌리엄스
8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빌턴
9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코플랜드
10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베이트 ||
||<(>
11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파월
12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힐스
13대
파일:웨일스 국기.svg 샘프슨
14대(대행)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말리
15대
파일:잉글랜드 국기.svg 네빌 ||
||
16대(대행)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리세 ||
||<bgcolor=#222222><color=#C8AB37><:> 현직 ||
||<bgcolor=#e0ffdb,#073300>
17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비흐만 ||
||<height=30><bgcolor=#eeeeee,#191919> ||



England Women's National Football Team
파일:Sarina Wiegman.jpg
이름 사리나 비흐만
Sarina Wiegman
본명 사리나 비흐만흘로츠바흐
Sarina Wiegman-Glotzbach
출생 1969년 10월 26일 (54세)
헤이그
국적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직업 축구 선수 (수비수 / 은퇴)
축구 감독
소속 선수 테르 레이더 (1994~2003)
감독 테르 레이더 (2006~2007)
ADO 덴하흐 프라우번 (2007~2014)
네덜란드 여자 대표팀 (2015 / 감독 대행)
네덜란드 여자 대표팀 (2017~2021)
잉글랜드 여자 대표팀 (2021~ )
코치 네덜란드 여자 대표팀 (2014~2016 / 수석 코치)
용 스파르타 로테르담[1] (2016 / 수석 코치)
네덜란드 여자 대표팀 (2016~2017 / 수석 코치)
국가대표 104경기 3골(네덜란드 / 1987~2001)

1. 개요
2. 지도자 경력
3. 기록
3.1. 대회 기록
3.2. 개인 수상
4. 둘러보기



1. 개요[편집]


네덜란드축구 선수 출신 감독. 선수 시절 포지션은 원래 미드필더였다가 나중에 수비수로 전환했다.


2. 지도자 경력[편집]


2017년부터 2021년까지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의 감독을 맡으며 UEFA 여자 유로 2017에서 우승했으며, 2022년에 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감독으로 임명되어 UEFA 여자 유로 2022에서 우승했다. 2017년에 조국인 네덜란드를 여자 유로 첫 정상으로 이끈 데 이어 5년 뒤에 잉글랜드마저 여자 유로 첫 정상에 올리면서 두 개최국을 나란히 여자 유로 정상으로 올리는 기록을 세웠다. 또한 네덜란드를 2019년에, 잉글랜드를 2023년 여자 월드컵 결승에 진출시켰고 준우승을 하였다.


3. 기록[편집]



3.1. 대회 기록[편집]





3.2. 개인 수상[편집]


  • UEFA 올해의 감독 여자 부문: 2022-23


4. 둘러보기[편집]


파일: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로고.svg
2023 FIFA 여자 월드컵 호주·뉴질랜드 참가 감독
[ 펼치기 · 접기 ]
A조[[뉴질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트카
클림코바
[[노르웨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헤게
리세
[[세네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앨런
스타이치치
[[스위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잉카
그링스
B조[[호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토니
구스타프손
[[아일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베라
포우
[[나이지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랜디
월드럼
[[캐나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비벌리
프리스트만
C조[[스페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호르헤
빌다

[[코스타리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아멜리아
발베르데


[[잠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브루스
음와페


[[일본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케다
후토시


D조[[잉글랜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사리나
비흐만

[[아이티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니콜라
들레핀


[[덴마크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라르스
쇠네르고르


[[중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쉐이칭샤

E조[[미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블라코
안도노브스키
[[베트남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마이득쫑
[[네덜란드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안드리스
용커르
[[포르투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프란시스코
네투
F조[[프랑스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에르베
르나르
[[자메이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도널드슨
[[브라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피아
순드하게
[[파나마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이그나시오
킨타나
G조[[스웨덴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페테르
예르하르손
[[남아프리카공화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데지레
엘리스
[[이탈리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밀레나
베르톨리니
[[아르헨티나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헤르만
포르타노바
H조[[독일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마르티나
포스테클렌부르크
[[모로코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레날
페드로스
[[콜롬비아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넬슨
아바디아
[[대한민국 여자 축구 국가대표팀|]]
콜린
역대 대회의 참가 감독
19911995199920032007
2011201520192023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2 04:08:46에 나무위키 사리나 비흐만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스파르타 로테르담의 리저브 구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