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일링 포인트(영화)

덤프버전 :

보일링 포인트 (2021)
Boiling Point
파일:보일링 포인트 포스터.jpg
장르
드라마
감독
필립 바랜티니
각본
필립 바랜티니, 제임스 커밍스
제작
헤스터 루오프, 바트 루스폴리
기획
필립 바랜티니, 가레스 존스, 앤소니 제이브리, 앵거스 헨더슨, 이언 커크, 레이 판타키
출연
스티븐 그레이엄, 비넷 로빈슨, 레이 판타키 외
촬영
매튜 루이스
음악
데이빗 리들리
편집
알렉스 파운틴
프로덕션 디자인
에이미 믹, 빌 밀러, 매튜 루이스
음향
제임스 드레이크, 롭 엔트위스틀, 키프 맥마누스
캐스팅
캐롤린 맥러드
제작사
파일:영국 국기.svg 어센던트 필름, 버튼 팍스 필름
수입사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놀미디어
배급사
파일:영국 국기.svg 버티고 릴리징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이놀미디어
개봉일
화면비
2.35:1
상영 시간
95분
월드 박스오피스
$1,426,916 (2022년 11월 27일 기준)
대한민국 총 관객 수
상영 등급
파일:미국 국기.svg 파일:R등급 로고.svg

1. 개요
2. 예고편
3. 시놉시스
4. 출연진
5. 설정
6. 줄거리
7. 사운드트랙
7.1. 엔딩곡
8. 수상
9. 평가
10. 흥행
11. 기타



1. 개요[편집]


영국의 2021년 드라마 영화. 감독은 필립 바랜티니이고, 스티븐 그레이엄, 비넷 로빈슨, 레이 판타키 등이 출연하였다.

영화 전체를 컷 없이 원 테이크로 찍은 것으로 화제가 되었다.

2. 예고편[편집]


전주국제영화제 공식 예고편30초 예고편
메인 예고편리뷰 예고편


3. 시놉시스[편집]


웰컴 투 헬’s 키친!

90분간 쉴 틈 없이 몰아치는 현장 스릴러!

365일 중 가장 바쁜 크리스마스, 런던의 고급 레스토랑.

셰프 ‘앤디’는 사고 없이 음식과 직원, 손님 모두를 살펴야 한다.

쏟아지는 주문으로 정신없는 가운데

반갑지 않은 위생 관리관의 급습과

입맛 까다로운 평론가의 눈치까지 보게 되고,

여기에 상황을 아는지 모르는지 직원들은 서로 싸우기까지 한다.

도저히 통제되지 않는 현장에

`앤디`는 점점 끓어오르기 시작하는데…

단 한 번의 테이크로 질주하는 키친 서스펜스를 경험하라!

출처: 다음 영화



4. 출연진[편집]


  • 스티븐 그레이엄 - 앤디 존스 역
  • 비넷 로빈슨 - 칼리 역
  • 말라치 커비 - 토니 역
  • 제이슨 플레밍 - 알리스터 스카이 역
  • 레이 판타키 - 프리맨 역


5. 설정[편집]


이 작품의 주무대가 되는 레스토랑 'Jones & Sons'는 런던 북부의 달스턴에 실제 있는 레스토랑이고, 이 레스토랑의 실제 주인인 앤디 존스는 감독 필립 바랜티니가 결혼하기 전에 같이 살았을 정도의 오랜 친구라고 한다. 주인공인 수석요리사 앤디 존스의 이름도 이 레스토랑의 주인의 이름에서 따왔다.#


6. 줄거리[편집]




7. 사운드트랙[편집]



7.1. 엔딩곡[편집]


샘 펜더(Sam Fender) - 'Poltergeists'


8. 수상[편집]


  • 2021년 영국독립영화상(BIFA) 4관왕
    • 여우조연상 - 비넷 로빈슨
    • 캐스팅상 - 캐롤린 맥러드
    • 미술상 - 매튜 루이스
    • 음향상 - 제임스 드레이크, 롭 엔트위스틀, 키프 맥마누스


9. 평가[편집]










[[IMDb|

파일:IMDb 로고.svg
]]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IMDb|

파일:IMDb 로고.svg
]]
(IMDb Top 250 등의 리스트명 순위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XXX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Letterboxd 로고 화이트.svg
( 순위위{{{-3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display:none; margin-left: 0.5em"
20XX-XX-XX 기준
)


































파일:네이버 로고 화이트.svg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네티즌 평점 / 10
]]

[[https://search.naver.com/search.naver?where=nexearch&query=영화++평점|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기자·평론가
{{{#!wiki style="display:inline-block"전문가평점 / 10
관람객
{{{#!wiki style="display:inline-block"관람객 평점 / 10
네티즌
{{{#!wiki style="display:inline-block"네티즌 평점 / 10
]]{{{#!wiki style="display:none; display:영화코드"
평점 관람객 평점 / 10



























10. 흥행[편집]


출처: 박스오피스 모조
국가개봉일총수입 (단위: 미국 달러)기준일
전 세계(최초개봉일)$(세계누적)(기준일자)
개별 국가 (개봉일 순, 전 세계 영화 시장 1, 2위인 북미, 중국은 볼드체)
북미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미정미개봉미정


10.1. 대한민국[편집]


대한민국 누적 관객 수
주차날짜일일 관람 인원주간 합계 인원순위일일 매출액주간 합계 매출액
개봉 전330명미집계3,568,000원
1주차2022-08-04. 1일차(목)451명2,589명14위4,358,200원26,736,260원
2022-08-05. 2일차(금)401명17위4,172,600원
2022-08-06. 3일차(토)644명16위7,133,800원
2022-08-07. 4일차(일)535명15위5,609,300원
2022-08-08. 5일차(월)206명16위2,052,000원
2022-08-09. 6일차(화)209명18위1,995,500원
2022-08-10. 7일차(수)143명20위1,414,860원
2주차2022-08-11. 8일차(목)136명1,077명28위1,246,800원10,691,293원
2022-08-12. 9일차(금)161명26위1,634,400원
2022-08-13. 10일차(토)141명23위1,465,499원
2022-08-14. 11일차(일)216명23위2,161,900원
2022-08-15. 12일차(월)195명22위2,081,096원
2022-08-16. 13일차(화)115명31위1,099,898원
2022-08-17. 14일차(수)113명32위1,001,700원
3주차2022-08-18. 15일차(목)19명199명61위171,700원1,941,000원
2022-08-19. 16일차(금)24명54위243,500원
2022-08-20. 17일차(토)45명46위501,300원
2022-08-21. 18일차(일)36명51위341,000원
2022-08-22. 19일차(월)14명53위122,000원
2022-08-23. 20일차(화)19명54위171,000원
2022-08-24. 21일차(수)42명44위390,500원
4주차2022-08-25. 22일차(목)3명45명93위16,000원367,000원
2022-08-26. 23일차(금)21명66위144,000원
2022-08-27. 24일차(토)16명94위170,000원
2022-08-28. 25일차(일)2명101위16,000원
2022-08-29. 26일차(월)-명-위-원
2022-08-30. 27일차(화)1명97위6,000원
2022-08-31. 28일차(수)2명103위15,000원
합계누적관객수 4,320명, 누적매출액 43,881,553원[1]


11. 기타[편집]


  • 원 테이크로 촬영했다. 촬영을 위해 식당 'Jones & Sons'에서 3주간 리허설을 가졌고, 3주 동안 출연진은 Jones & Sons와 근처 식당의 요리사들로부터 칼 쓰는 법이나 주방 업무 등을 익혔다.# 촬영은 4번만 했는데, 영화에 나온 것은 3번째이다.
  • 감독 필립 바랜티니는 과거 연기 활동을 하면서 요리사로 투잡을 뛰었는데, 런던의 두 군데 레스토랑에서 수석 요리사의 자리에 오른 적이 있다. 그는 이 이야기가 그가 경험한 여러 일을 하루 밤 사이에 압축해 보여준 것이라고 한다.#
  • 감독 필립 바랜티니는 과거 HBO 드라마 밴드 오브 브라더스웨인 A. "스키니" 시스크 역을 맡아 연기한 적이 있는데, 같은 작품에서 마이런 마이크 래니 역을 맡은 스티븐 그레이엄과 함께 연기한 인연이 있다.
  • 2022년 제23회 전주국제영화제에서 상영했다.


[1] ~ 2022/09/14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