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장주

덤프버전 :

음양사 식신 목록
등급, 출시일 순서로 정렬함.


  [ SSR등급 ]   







파일:음양사_SSR등급.png
백장주
白蔵主 / 白藏主 / Hakuzosu
파일:SSR백장주_기본.png파일:SSR백장주_각성.png
기본각성
CV: 코바야시 다이키 / 강시현
공격체력방어력속도치명타
D(79) → D(1822)S(1227) → S(14241)B(73) → A(472)B(101) → S(111)B(5%) → B(5%)
각성 시 추가효과한국 서버 출시일
스킬 강화 [몽산호영]2018년 10월 11일

1. 개요
2. 스킬
2.1. 염영
2.2. 서약 수호
2.3. 몽산호영
3. 성능
4. 기타
5. 스킨
6. 대사
7. 스토리
7.1. 일
7.2. 이
7.3. 삼
7.4. 식신 소개 영상
8. 두루마리
9.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유메산에 살고 있는 흰 여우.

준수한 미모와 호기심 가득한 맑은 눈을 가진 소년.

심성이 착하고 순진하다.

인간에 대해 무한한 신뢰를 가지고 있지만 그들에게 배신을 당한다.

인간의 마음은 대체 어떤것인가?


모바일 게임 음양사에 등장하는 SSR급 식신.

세이메이의 식신 코하쿠의 플레이어블 버전이다.

모티프는 하쿠조즈.

2. 스킬[편집]




2.1. 염영[편집]


파일:백장주 스킬1.png난 피하지 않을거야.

적에게 공격력 100%의 피해를 입히며, 100%의 기초확률로 1턴간 잔염 부여합니다.

잔염
【디버프, 상태】 공격력 10% 감소
기초확률
해당 확률은 효과적중 속성의 영향을 받습니다.
Lv.2피해 105%로 증가
Lv.3피해 110%로 증가
Lv.4피해 115%로 증가
Lv.5피해 125%로 증가


2.2. 서약 수호[편집]


파일:백장주 스킬2.png모두에게 상처주지 마!

유니크 효과.
턴 종료 후, 아군 전체에게 호영·수 부여하며, 다음 턴 시작 시 종료됩니다.
* 패시브 스킬

호영·수
【버프, 인장】 피해를 입을 경우, 그 중 20%를 흡수하며 흡수량은 백장주 최대 HP 10%와 동등합니다.
유니크 효과
동일한 식신이 여러 명 있을 경우, 그중 한 명의 스킬만 효력을 발휘합니다.
Lv.2호영·수 흡수 효과 30%까지 증가
Lv.3호영·수 격파당할 때, 백장주의 행동이 제어받지 않았을 경우 시전자에게 반격을 가해 최대 HP 10%의 피해를 입히며, 100%의 기초확률로 1턴간 치명타 30% 감소시킵니다(해당 효과 중첩 불가). 동시에 호영·수 여러 개 격파당할 때, 피해는 중첩되지 않습니다.
Lv.4호영·수 흡수 효과 40%까지 증가
Lv.5영구적으로 자신의 속도 60, 효과 저항 60%를 증가시키며, 호영·수 보유 아군 1명당, 해당 효과의 속도 10과 효과저항을 10%씩 감소시킵니다.


2.3. 몽산호영[편집]


파일:백장주 스킬3.png코하쿠만 있으면 아무 문제 없어!

1턴간 호영 결계를 생성하여 임의 아군이 단일 피해 및 간접 피해 받을 시, 해당 피해를 35% 감소시킵니다.
* 도깨비불 3개 소모
* 각성 시 추가효과: 매 턴(적아 불문) 시작 시 자신의 행동이 제어를 받지 않았을 경우, 해당 턴에서 HP 최저치인 아군을 대신하여 모든 피해를 받습니다.

간접 피해
피해 유형 중 하나로, 어혼 효과를 발동할 수 없으며, 방어력이 0인 적에게 치명타를 가합니다.
Lv.2피해 감소 40%까지 증가
Lv.3피해 감소 45%까지 증가
Lv.4피해 감소 50%까지 증가
Lv.5지속 시간 2턴까지 증가


3. 성능[편집]


대부분의 후턴 조합에서 사용할 수 있는 아군 보호에 특화된 식신.

오니키리가 출시 이후 지나칠 정도로 강력한 성능을 보이자 이를 견제하기 위해 나온 식신으로 스킬 구성이 극단적으로 아군 보호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다.[1] 일단 상대에게 공격받기 전에 먼저 [몽산호영]을 시전한다면 할 일을 다 한 셈이지만 그러려면 상당한 수준의 속도 세팅이 필요하다. 이때 백장주의 특장점인 패시브가 빛나는데 스킬작을 끝냈다면 이 패시브가 속도를 무려 60이나 올려주기 때문이다. 전투 시작 후 한 라운드가 돌고나면 효과가 감소하지만 최초에는 60이라는 수치를 온전히 적용받기 때문에 백장주의 기본 속도는 사실상 171(111+60)이나 된다. 따라서 속도의 최종 세팅을 200~220 정도로 맞추면 멘레이키, 낫족제비 등 일반적인 속도잡이들에게는 대부분 우위를 점할 수 있다. 만약 220 이상의 속도를 맞춘다면 속도를 극한으로 끌어올린 염라가 아니고선 백장주를 앞설 수 없다.

이렇게 해서 [몽산호영]이 시전되면 이후에는 자동으로 현재 가장 체력이 낮은 아군 식신이 받는 피해를 백장주가 대신 받아주는데 이런 조건에 해당하는 식신은 대개 딜러이므로 일단 상대의 선공에 아군 딜러 하나가 잘린 채 게임이 그대로 끝나는걸 방지할 수 있다. 그런데다 스킬 자체에 피해 감소가 50%까지 붙어있으니 백장주의 보호 대상인 식신을 직접 공격해 죽이기는 거의 불가능하다 할 수 있다. 또 추가로 백장주의 패시브에는 자신의 다음 턴이 올 때까지 아군 전체에게 피해를 최대 40%까지 흡수해주는 효과[2]까지 있어 그런대로 광역 피해에 대한 보호까지 가능하다. 한 마디로 아군 보호에 있어서는 끝판왕인 것.

다만 백장주에게도 약점이 하나 있는데 바로 제어효과 디버프에 취약하다는 것이다. 단순히 취약한 정도가 아니라 기절, 빙결, 도발, 수면, 침묵, 혼란, 변형 등에 걸리면 [몽산호영]이 시전되어 있어도 아군의 피해를 대신 받아주지 못하고, 패시브 효과 중 하나인 반격도 못하기 때문에 아군 보호 및 견제라는 본래의 역할과 기능을 전혀 수행할 수 없게 된다. 이런 이유로 백장주는 속도와 효과 저항, 체력을 모두 잡아야 하는 상당한 난이도의 세팅이 필요하다.

그래서 백장주를 상대할 때는 갑옷무사, 바쿠, 설녀, 성웅동자 등 제어효과 디버프를 가진 식신을 기용하는 것이 가장 좋지만 디버퍼가 없다면 위의 메커니즘을 고려해 사전 작업을 해두어야 한다. 예를 들어 어떤 특정한 딜러를 제거할 생각인데 백장주의 보호 대상일 확률이 높아보인다면 먼저 다른 식신 하나를 충분히 공격해서 해당 딜러의 체력보다 충분히 낮춰 백장주가 이 식신을 보호하도록 만든 후 원래 제거하려고 했던 딜러를 한 번에 몰아붙여야 한다.

어혼은 백장주가 아군은 보호해도 스스로를 보호할 방법은 딱히 없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지장상을 선호하게 된다. 하지만 위에서 언급했듯 백장주는 적당한 속도와 효과 저항, 체력이 모두 갖춰져야 장점을 발휘하는 식신이므로 먼저 이러한 조건을 갖출 수 있을 때 지상상의 사용을 고려하는게 좋다. 지장상의 세팅이 어려울 경우 대안이 될 수 있는 어혼으로는 조개정령, 거울공주, 반혼향, 치혼, 열반의 불 정도가 있다.

백장주의 세팅은 크게 속저체 또는 속체체로 나뉘게 된다. 속저체는 속도, 효과 저항, 체력을 골고루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4번 자리에 체력 대신 효과 저항을 챙긴만큼 스스로의 내구성과 보호자로서의 지속성은 조금 떨어진다 할 수 있다. 반면 속체체는 내구성과 지속성을 챙긴대신 그만큼 효과 저항이 낮아 디버프에 취약해지므로 위험한 상황이 유발될 수 있다. 세팅에는 정답이 없으므로 성향에 맞춰 사용하면 된다.


4. 기타[편집]


중국에서 2주년때 나왔다.

세이메이의 성향을 보여주는 식신이다. 과거의 세이메이는 백장주가 사람을 죽이는걸 막기위해 조종하던 음양사를 처치하는 흑세이메이스러운 모습[3]까지 보였지만, 음양분리 후 온건파로 돌아선 현재의 백장주는 방어일색이며, 이는 강경파인 요리미츠오니키리가 공격몰빵인 것과 대비된다. 또한 요리미츠의 야망을 막으려는 세이메이처럼 백장주는 오니키리의 카운터 식신이기도 하다.

일본어 보이스는 1인칭이 코하쿠와 마찬가지로 '코하쿠'인데 한국어는 어째서인지 '저'다.

음양사에서 체력이 가장 높은 식신이며 기본 체력, 40레벨 체력 모두 가장 높다. 그 뒤로는 화조풍월충요사가 있다. 반면 공격력은 인면수 다음으로 두 번째로 낮은데 이 둘만 40레벨 기준 공격력이 2000도 넘지 못한다.

인터뷰

5. 스킨[편집]


파일:SSR백장주_스킨1.png파일:SSR백장주_스킨2.png
칠색부적 (七彩织梦)호영백수 (狐影白狩)
획득방법: 스킨 상점 구입획득방법: 화합전 이벤트
파일:SSR백장주_스킨3.webp
암야완호(暗夜顽狐)
획득방법: 이벤트


칠색부적은 중국 서버 기준으로 정확히 백장주 출시 1주년에 나왔다고 한다.

호영백수는 7번째 화합전 스킨이다.
백장주 화합전 스토리

[ 화합전 이벤트 스킨 (탈리스만 패스) ]
음양사 화합전 스킨 (탈리스만 패스) 출시일 순서로 정렬함.
[ 2020년 ]
1월2월3월
파일:일목련화합전.png파일:멘레이키화합전.jpg파일:시라누이화합전.jpg
일목련
CN : 2020년 1월 20일 ~ 2월 19일
TW/JP/GL : 2020년 2월 12일 ~ 3월 11일
멘레이키
CN : 2020년 2월 19일 ~ 3월 18일
TW/JP/GL : 2020년 3월 11일 ~ 4월 8일
시라누이
CN : 2020년 3월 18일 ~ 4월 15일
TW/JP/GL : 2020년 4월 8일 ~ 5월 13일
4월5월6월
파일:슾텐구화합전.jpg파일:흑무상화합전.jpg파일:오오타케마루화합전.jpg
소년 다이텐구
CN : 2020년 4월 15일 ~ 5월 13일
TW/JP/GL : 2020년 5월 13일 ~ 6월 10일
흑무상
CN : 2020년 5월 13일 ~ 6월 10일
TW/JP/GL : 2020년 6월 10일 ~ 7월 8일
오오타케마루
CN : 2020년 6월 10일 ~ 7월 8일
TW/JP/GL : 2020년 7월 8일 ~ 8월 5일
7월8월9월
파일:매요화합전.png파일:백장주화합전.jpg파일:슾요도화합전.jpg
매요
CN : 2020년 7월 8일 ~ 8월 5일
TW/JP/GL : 2020년 8월 5일 ~ 9월 2일
백장주
CN : 2020년 8월 5일 ~ 9월 2일
TW/JP/GL : 2020년 9월 2일 ~ 9월 30일
적영 요도히메
CN : 2020년 9월 9일 ~ 10월 7일
TW/JP/GL : 2020년 9월 30일 ~ 10월 28일
10월11월12월
파일:쿠지라화합전.jpg파일:엔무스비화합전.png파일:운외경화합전.jpg
쿠지라
CN : 2020년 10월 7일 ~ 11월 4일
TW/JP/GL : 2020년 10월 28일 ~ 11월 25일
엔무스비노카미
CN : 2020년 11월 4일 ~ 12월 2일
TW/JP/GL : 2020년 11월 25일 ~ 12월 30일
운외경
CN : 2020년 12월 2일 ~ 12월 30일
TW/JP/GL : 2020년 12월 30일 ~ 2021년 1월 27일
[ 2021년 ]
1월2월3월
파일:타키야샤히메화합전.jpg파일:키도마루화합전.jpg파일:슾킨교화합전.jpg
타키야샤히메
CN : 2020년 12월 30일 ~ 2021년 2월 3일
TW/JP/GL : 2021년 1월 27일 ~ 3월 3일
키도마루
CN : 2021년 2월 3일 ~ 3월 3일
TW/JP/GL : 2021년 3월 3일 ~ 3월 31일
영해 킨교히메
CN : 2021년 3월 10일 ~ 4월 7일
TW/JP/GL : 2021년 3월 31일 ~ 4월 28일
4월5월6월
파일:긴나라화합전.jpg파일:요도히메화합전.jpg파일:카구야히메화합전.jpg
긴나라
CN : 2021년 4월 7일 ~ 5월 7일
TW/JP/GL : 2021년 4월 28일 ~ 5월 26일
요도히메
CN : 2021년 5월 7일 ~ 6월 2일
TW/JP/GL : 2021년 5월 26일 ~ 6월 30일
카구야히메
CN : 2021년 6월 4일 ~ 7월 7일
TW/JP/GL : 2021년 6월 30일 ~ 8월 4일
7월8월9월
파일:슾오니화합전.jpg파일:슾키요화합전.jpg파일:센히메화합전.jpg
천검 오니키리
CN : 2021년 7월 8일 ~ 8월 5일
TW/JP/GL : 2021년 8월 4일 ~ 9월 1일
박골 키요히메
CN : 2021년 8월 4일 ~ 9월 1일
TW/JP/GL : 2021년 9월 1일 ~ 10월 8일
센히메
CN : 2021년 9월 1일 ~ 10월 6일
TW/JP/GL : 2021년 10월 8일 ~ 11월 3일
10월11월12월
파일:설동자화합전.jpg파일:슾퍈화화합전.jpg파일:슾화조화합전.jpg
설동자
CN : 2021년 10월 6일 ~ 11월 3일
TW/JP/GL : 2021년 11월 3일 ~ 12월 1일
야명 피안화
CN : 2021년 11월 3일 ~ 12월 8일
TW/JP/GL : 2021년 12월 1일 ~ 2022년 1월 5일
회세 화조풍월
CN : 2021년 12월 8일 ~ 2022년 1월 5일
TW/JP/GL : 2022년 1월 5일 ~ 2월 2일
[ 2022년 ]
1월2월3월
파일:스사비화합전.jpg파일:스즈카고젠화합전.jpg파일:슾목련화합전.jpg
스사비
CN : 2022년 1월 5일 ~ 2월 2일
TW/JP/GL : 2022년 2월 2일 ~ 3월 2일
스즈카고젠
CN : 2022년 2월 2일 ~ 3월 2일
TW/JP/GL : 2022년 3월 2일 ~ 4월 6일
창풍 일목련
CN : 2022년 3월 2일 ~ 4월 6일
TW/JP/GL : 2022년 4월 6일 ~ 5월 6일
4월5월6월
파일:슾카구야화합전.jpg파일:스즈히코히메화합전.jpg파일:화조풍월화합전.jpg
이나바 카구야
CN : 2022년 4월 6일 ~ 5월 4일
TW/JP/GL : 2022년 5월 6일 ~ 6월 1일
스즈히코히메
CN : 2022년 5월 5일 ~ 6월 1일
TW/JP/GL : 2022년 6월 1일 ~ 7월 6일
화조풍월
CN : 2022년 6월 8일 ~ 7월 6일
TW/JP/GL : 2022년 7월 6일 ~ 8월 3일
7월8월9월
파일:불견악화합전.jpg파일:양면불화합전.jpg파일:슾타케화합전.jpg
불견악
CN : 2022년 7월 6일 ~ 8월 3일
TW/JP/GL : 2022년 8월 3일 ~ 9월 7일
양면불
CN : 2022년 8월 3일 ~ 9월 7일
TW/JP/GL : 2022년 9월 7일 ~ 10월 8일
녹명 오오타케마루
CN : 2022년 9월 7일 ~ 10월 5일
TW/JP/GL : 2022년 10월 8일 ~ 11월 2일
10월11월12월
파일:슾획조화합전.jpg파일:슾산풍화합전.jpg파일:슾행등화합전.jpg
대소 고획조
CN : 2022년 10월 5일 ~ 11월 2일
TW/JP/GL : 2022년 11월 2일 ~ 12월 7일
초령 야마카제
CN : 2022년 11월 2일 ~ 12월 8일
TW/JP/GL : 2022년 12월 7일 ~ 2023년 1월 4일
부세 청행등
CN : 2022년 12월 8일 ~ 2023년 1월 4일
TW/JP/GL : 2023년 1월 4일 ~ 2월 1일
[ 2023년 ]
1월2월3월
파일:자목화합전.jpg파일:슾토끼화합전.jpg파일:슾사비화합전.jpg
자목동자
CN : 2023년 1월 4일 ~ 2월 1일
TW/JP/GL : 2023년 2월 1일 ~ 3월 8일
몽심 산토끼
CN : 2023년 2월 1일 ~ 3월 1일
TW/JP/GL : 2023년 3월 8일 ~ 4월 5일
신계 스사비
CN : 2023년 3월 1일 ~ 3월 31일
TW/JP/GL : 2023년 4월 5일 ~ 5월 1일
4월5월6월
파일:심향행화합전.jpg파일:심수모미지화합전.png파일:귀왕주천동자화합전.png
심향행
CN : 2023년 3월 31일 ~ 4월 30일
TW/JP/GL :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
심수 모미지
CN : 2023년 5월 1일 ~ 5월 31일
TW/JP/GL : 2023년 6월 1일 ~ 6월 30일
귀왕 주천동자 #[1]
CN : 2023년 6월 1일 ~ 6월 30일
TW/JP/GL : 2023년 7월 1일 ~ 7월 31일
7월8월9월
파일:노도아라카와화합전.jpg파일:청행등화합전.jpg파일:신천타마모화합전.jpg
노도 아라카와
CN : 2023년 7월 1일 ~ 7월 31일
TW/JP/GL : 2023년 8월 1일 ~ 8월 31일
청행등
CN : 2023년 8월 1일 ~ 8월 31일
TW/JP/GL : 2023년 9월 1일 ~ 9월 30일
신천 타마모
CN : 2023년 9월 1일 ~ 9월 30일
TW/JP/GL : 2023년 10월 1일 ~ 10월 31일
10월11월12월
언령
CN : 2023년 10월 1일 ~ 10월 31일
TW/JP/GL : 2023년 11월 1일 ~ 11월 30일
반사
CN : 2023년 11월 1일 ~ 11월 30일
TW/JP/GL : 2023년 12월 1일 ~ 12월 31일
-
CN : 2023년 -월 -일 ~ -월 -일
TW/JP/GL : 2023년 -월 -일 ~ -월 -일








6. 대사[편집]


상황대사
소환 영상위험에 빠지셨나요?
소환위험에 빠지셨나요?
식신록 터치세이메이님은 저를 속이지 않을거에요.
인간은 대체 무슨 생각을 하나요?
저랑 놀고싶은 가요?(칠색부적 한정)
평타하앗!
스킬제가 있으면 괜찮아요.
누구도 해칠 수 없어!
전 도망가지 않아요!
피격아파!
사망

7. 스토리[편집]




7.1. 일[편집]


가이유메산에 사찰이 하나 있는데, 처음에는 향불이 가득하고 참배객이 넘쳐났다. 후에 알 수 없는 이유로 유메산 일대가 점차 한산해지면서, 사찰의 참배객도 줄어들었다. 겨우 몇 년 사이, 사찰의 중들도 모두 떠나고 늙은 주지승만이 남아 사찰을 지키게 되었다.
참배객이 너무 적다 보니, 늙은 주지승은 한 은발 소년이 매달 사찰에 와서 참배한다는 걸 발견하게 되었고, 생각 끝에 이 소년은 10여 년 전부터 사찰을 다녀간다는 사실을 깨닫게 되었다.
이날 은발 소년이 또 한 번 사찰에 들렀고, 늙은 주지승은 그를 불러다 차를 한잔 내주었다.
그 소년의 얼굴엔 웃음기가, 맑은 두 눈은 호기심이 가득해 보였다.
늙은 주지승은 태연한 듯 그에게 물었다: 「자네, 인간이 아니지?」
「아니에요.」
스토리 개방 조건: 백장주가 세이메이를 출전시킨 플레이어와 협력하여 10회 승리
보상: 금화 5,000


7.2. 이[편집]


소년은 유메산에 사는 흰 여우로, 유메산에서 고단하게 떠돌다 최근에서야 사람의 형태로 변하게 됐다. 늙은 주지승인 소년의 진실한 마음을 보고 그에게 「백장주」라는 법명을 지어주었다.
또 몇 년이 지난 후, 이 사찰의 참배객은 결국 이 소년만 남게 되었다. 이리도 큰 유메산에 사람 하나 여우 하나 남은 것이다. 가을이 오자 온 산 가득한 시든 풀들은 마치 흰 눈이 내린 것처럼 하얗게 변했다.
어느 날 아침 소년이 사찰에 왔을 때, 늙은 주지승은 어딘가를 다친 것처럼 땅바닥에 쓰러져 있었다.
「빨리 후원으로 가봐, 불전에 있는 금장불상을 누군가 훔쳐 가려 하고 있어.」
소년은 급하게 후원으로 달려갔고, 그늘진 곳에서 누군가 주술을 외우는 소리가 나더니, 난데없이 결계가 나타나 소년을 덮어버렸다. 어둠 속에서 화려한 옷을 입은 음양사가 걸어 나왔다.
「미안하게 됐네.」 늙은 주지승은 어슴푸레한 눈에서 눈물을 짜내었다.
스토리 개방 조건: 백장주가 카구라를 출전시킨 플레이어와 협력하여 10회 승리
보상: 백장주 조각 10


7.3. 삼[편집]


「왜 그런 거죠?」
「난 너무 늙었어, 이 유메산에서 죽고 싶지 않아.」
「이해가 안 돼요.」
「네가 이해하지 못하는 게 얼마나 많겠니, 사람의 마음이란 게 네가 생각하는 것 같지 않단다.」
음양사는 섬뜩한 웃음을 지으며 소년에게 걸어갔고, 소년은 그저 맑은 눈망울로 늙은 주지를 바라보고 있을 뿐이었다.
아무도 모르는 사이에 결계가 찢어졌고, 음양사는 처량한 비명을 지르며 뒤로 넘어졌다.
늙은 주지승은 날카롭게 부르짖으며 잠깐 망설이다 허둥지둥 사찰문을 빠져나왔다.
소년은 그의 뒷모습을 보면서 처음으로 쓸쓸한 표정을 지었다.
「인간의 마음은, 대체 어떤 걸까?」
소년은 홀로 사찰에서 지내면서 늙은 주지승의 마음을 이해해보고자 했다.
몇 년이 지난 후, 유메산 아래 인간의 마을은 다시 시끌시끌해졌다.
참배객이 다시 오게 되었다. 이번엔 황실의 문장을 달고 있는 음양사 무리였다.
소년은 조금의 두려움도 없이 그들을 맞이했다.
스토리 개방 조건: 백장주가 히로마사를 출전시킨 플레이어와 협력하여 10회 승리
보상: 곡옥 10

7.4. 식신 소개 영상[편집]






8. 두루마리[편집]




두루마리는 신규 식신이 출시될 때 함께 열리는 서버 이벤트로 해당 식신의 조금 더 깊은 스토리를 보여주는 이벤트이다. 처음에는 여러개로 나뉘어져 비활성된 상태로 있으나 유저들이 서버 내에서 각종 활동을 통해 얻은 두루마리 조각을 각각의 두루마리들에 기부하면 해당 두루마리가 복구되어 해당 식신의 스토리가 공개된다. 백장주는 5번째 두루마리의 주인공으로 모두 6개의 두루마리가 존재한다.

다른 두루마리 이벤트들과 달리 백장주는 순위 보상으로 테두리 대신 세이메이의 스킨을 지급했다.

[ 백장주 두루마리 보기 ]
파일:백장주_두루마리1.png
계약

파일:백장주_두루마리2.png
영성[1]

파일:백장주_두루마리3.png
저주

파일:백장주_두루마리4.png
싸움

파일:백장주_두루마리5.png
궁지

파일:백장주_두루마리6.png
파몽
[1] 동영상의 세이메이 옆의 인물은 카모노 야스노리로 세이메이의 사형이다.



9.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8:00:36에 나무위키 백장주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만레벨에도 기본 공격력이 1822밖에 안된다. 이는 R등급 식신들보다 낮은 공격력이다.[2] 최대 상한선은 백장주 체력의 10%이므로 일반적인 속저체 세팅을 고려하면 대략 2,500 정도가 된다.[3] 모미지를 구하겠답시고 인간을 잡아먹도록 유도했다. 흑세이메이는 세이메이의 어두운 부분이기에 사실 성격이 같은건 당연한 것이지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