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잔 지하철

덤프버전 :

Métro de Lausanne
1. 개요
2. 역사
3. 노선
3.1. M1호선
3.2. M2호선


1. 개요[편집]


스위스 레만호반의 도시 로잔에 설치된 지하철. 1호선이 1991년 개통되었다.

철도로 유명한 스위스지만, 시내의 철도 대중교통은 광역철도 개념의 S반/RER이 아니면 노면전차가 대부분으로, 지하철(Métro)이 설치된 것은 로잔이 유일하다.[1] 전세계에서 지하철이 있는 도시 중에서 로잔이 인구가 가장 적다.

운영기관은 로잔지역 대중교통공단(Transports publics de la région lausannoise, TL)이며, 현재 2개 노선이 운행 중이다.

노선에 색상이 정해져 있기는 한데, 2개 노선의 색상이 똑같다. 사실 이 색상구분은 로잔 시내에서 기타 대중교통(버스) 노선과 지하철을 구별하기 위해 부여된 것. 로잔 대중교통 지도 상에는 각 버스 노선별로 색상이 다르고 그 사이에 핑크색 지하철이 끼어 있다.

2020년경까지 3호선을 개통한다는 구상이 제안되어 있다.


2. 역사[편집]


스위스 로잔 지하철 개통 역사


3. 노선[편집]


노선명구간길이(㎞)역수
M1호선로잔-플론(Lausanne-Flone) ↔ 흐넝(Renen) 철도역815
M2호선우시(Ouchy) ↔ 크로아세(Croisette)615


3.1. M1호선[편집]


1991년 개통. 표준궤 철도로 운행한다. 일부 구간은 단선이다.

역명승강장환승노선
로잔-플롱Lausanne-Flon복선 두단식¶로잔 M2호선
¶LEB 철도[2]
비지Vigie상대식
몽텔리Montelly상대식
프로방스Provence상대식
말리Malley상대식
부르도네트Bourdonette상대식
로잔대학교 도리니 캠퍼스UNIL-Dorigny상대식
로잔대학교 물린 캠퍼스UNIL-Mouline상대식
로잔대학교 소르쥬 캠퍼스UNIL-Sorge상대식
스위스 연방공과대학EPFL섬식
바상주Bassenges상대식
체리세Cerisaie상대식
크로슈Crochy상대식
에페넥스Epenex상대식
르낭 철도역Renens CFF단선 두단식스위스 연방철도
¶보두아 RER


3.2. M2호선[편집]


2008년 개통. 고무차륜 자동운전 전동차가 운행된다. 전 구간 복선으로 운행되며, 파리 지하철 1호선, 4호선에서 운행되는 열차와 비슷한 열차가 사용된다. 다만 열차 량수는 2량이며, 평균 60%, 최대 120%에 달하는 세계 최대급의 경사 구간을 오르기 위해 1량당 2쌍의 강력한 모터와 특별한 제동장치를 갖추게 되었다.

원래는 로잔-플롱 역에서 호반의 우쉬까지 운행하는 2개의 퍼니큘러 노선이 있던 자리였다. 주민투표를 통해 M2호선 개통이 결정되자 2006년 1월 퍼니큘러의 운행을 중단시키고 퍼니큘러용 터널을 부분 재활용하여 새로 건설되었다.

역마다 독특한 안내방송을 가진다. 역명을 알려주기 전에 역 특성에 맞는 배경음을 튼다. (가령, 레만 호에 면한 항구인 우쉬에 도착하면 뱃고동 소리가 난다.)

역명승강장환승노선
우슈Ouchy복선 두단식
조르딜Jordils상대식
델리스Délices상대식
그랑시Grancy상대식
로잔 철도역Lausanne-Gare상대식스위스 연방철도
¶보두와 RER
로잔-플롱Lausanne-Flon상대식¶로잔 M1호선
¶LEB 철도[3]
리폰느 (모리스 베자르[4])Riponne - Maurice Béjart상대식
베시에르Bessières상대식
우르스Ours상대식
보 칸톤 주립병원CHUV상대식
살라Sallaz상대식
푸르미Fourmi상대식
Vennes상대식
크루아세트Croisettes상대식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1:59:41에 나무위키 로잔 지하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취리히에도 지하철 건설이 진행되어서 실제 착공까지 되었지만, 주민투표에서 지하철 건설에 대한 반대표가 많아 실제 개통은 되지 않았고, 공사된 구간들은 노면전차 노선을 확장하는데 이용되었다.[2] 지역 사철.[3] 지역 사철.[4] 프랑스 출신 무용가이자 안무가로, 로잔에 소재한 모리스 베자르 발레단을 이끌었다. 2007년 사망하였고 부역명이 헌정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