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빈 데 크루이프

덤프버전 :



}}} ||
[ 펼치기 · 접기 ]
포지션등번호국적나이한글 성명로마자 성명신체조건
아웃사이드 히터9파일:UEFA EURO ITA.png21세오고사세레 오모루이Loveth Oghosasere Omoruyi184cm / 75kg
11파일:미국 원형.png32세맥켄지 애덤스McKenzie Adams192cm / kg
15파일:미국 원형.png34세킴벌리 힐 Kimberly Hill193cm / 68kg
17파일:UEFA EURO ITA.png28세미리암 실라Miriam Sylla184cm / 80kg
아포짓 스파이커3파일:UEFA EURO FRA.png26세루실 지켈Lucille Gicquel189cm / 69kg
18파일:UEFA EURO ITA.png25세파올라 에고누Paola Egonu193cm / 79kg
미들 블로커4파일:UEFA EURO CRO.png23세보야나 부티간Božana Butigan193cm / 78kg
5파일:UEFA EURO NED.png33세로빈 데 크라위프Robin de Kruijf193cm / 79kg
7파일:UEFA EURO ITA.png33세라파엘라 폴리Raphaela Folie186cm / 69kg
19파일:UEFA EURO ITA.png22세사라 파르Sarah Fahr194cm / 84kg
세터13파일:UEFA EURO ITA.png27세줄리아 젠나리Giulia Gennari184cm / 63kg
14파일:UEFA EURO POL.png34세요안나 보워시 '''[[주장|

C
]]'''
Joanna Wołosz181cm / 65kg
리베로1파일:UEFA EURO ITA.png30세라라 카라벨로Lara Caravello176cm / kg
10파일:UEFA EURO ITA.png37세모니카 데 젠나로Monica De Gennaro173cm / 63kg


}}} ||
[ 펼치기 · 접기 ]
연도OPPOHMBSL
2013파반
(유니레버 볼레이)
손스르마
(바키프방크)
카르카세스
(볼레로 취리히)
실바
(유니레버 볼레이)
퓌르스트
(바키프방크)
천징스
(광둥 에버그란데)
사노
(볼레로 취리히)
2014가모바
(디나모 카잔)
올리베이라
(SESI 상파올로)
카르카세스
(오사스코)
모로스
(디나모 카잔)
메네지스
(오사스코)
수자
(오사스코)
울라노바
(디나모 카잔)
2015리귤릭
(볼레로 취리히)
가라이
(크라스노다르)
코셸레바
(크라스노다르)
폴약
(엑자시바시)
실바
(렉조나 아데스)
수자
(렉조나 아데스)
포포비치
(볼레로 취리히)
2016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주팅
(바키프방크)
코셸레바
(크라스노다르)
아킨라데우
(볼레로 취리히)
라시치
(바키프방크)
로이드
(포미 카살마조레)
올리비에라
(렉조나 세스크)
2017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주팅
(바키프방크)
가비
(세스크-RJ)
폴약
(디나모 모스코바)
아크만
(엑자시바시)
카나메
(NEC 레드 로켓츠)
포포비치
(볼레로 취리히)
2018보스코비치
(엑자시바시)
주팅
(바키프방크)
가비
(미나스)
마야니
(미나스)
라시치
(바키프방크)
마크리스
(미나스)
기젬
(바키프방크)
2019하크
(바키프방크)

(이모코)
김연경
(엑자시바시)
귀네슈
(바키프방크)
크루이프
(이모코)
보워시
(이모코)
아쾨즈
(엑자시바시)
2021하크
(바키프방크)
페도로프체바
(페네르바흐체)
가비
(바키프방크)
귀네슈
(바키프방크)
크루이프
(이모코)
보워시
(이모코)
젠나로
(이모코)
2022하크
(이모코)
로빈슨
(이모코)
가비
(바키프방크)
오구보구
(바키프방크)
귀네슈
(바키프방크)
보워시
(이모코)
젠나로
(이모코)
MVP · 베스트팀




파일:데크루이프.jpg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No.5
로빈 데 크루이프
Robin de Kruijf
출생1991년 5월 5일 (33세)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니우에헤인
국적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
포지션미들 블로커
신체조건192cm / 79kg
점프 높이스파이크 313cm / 블로킹 300cm
소속Taurus (2006~2007)
Pollux Oldenzaal (네덜란드, 2007~2008)
Martinus Amstelveen (네덜란드, 2008~2009)
TVC Amstelveen (네덜란드, 2009~2011)
드레스덴 SC (독일, 2011~2013)
LJ Volley (네덜란드, 2013~2014)
바키프방크 SK (터키, 2014~2016)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 (이탈리아, 2016~)
국가대표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 (2008~2021)
SNS

1. 개요
2. 상세
3. 플레이 스타일
4. 선수 경력
5. 여담



1. 개요[편집]


네덜란드의 배구 선수. 포지션은 미들블로커이다.


2. 상세[편집]


한때 최고의 미들 블로커 중 하나였다. 2014-2016 두 시즌 동안 바키프방크 SK에서 뛰었고, 2016 리우 올림픽에서는 슬뢰체스, 부이스와 함께 바키프방크 3인방으로 맹활약하며 4위라는 아쉽지만 역사적인 성적을 기록하였다. 이후에는 이모코 발리 코넬리아노로 이적하여 지금까지 뛰고 있고, 현재 최강 스쿼드를 이뤘다는 평가를 받는 이모코에서 중앙을 든든하게 책임지고 있다. 비록 2020 도쿄 올림픽 유럽 예선전에서는 탈락했지만 베스트 미들 블로커로 선정되었을 만큼 아직까지도 뛰어난 기량을 유지하고 있다.

2022년 2월, 국가대표 은퇴 소식이 들려왔다. 2021 VNL에도 결장하면서 사실상 은퇴한 것이라는 말이 있었는데, 이제는 클럽에만 전념할 것으로 보인다. 네덜란드 여자 배구 국가대표팀에는 빨간불이 켜졌다. 당장 슬뢰체스, 마렛, 다이케마 뒤를 이을 재목들이 보이지 않고 있는데, 지금 멱살잡고 끌고 가고 있는 부이스와 크루이프마저 공식적으로 은퇴해버리면 대규모 세대교체를 해야하는 상황이다. 그나마 믿을 만한 선수는 달데롭과 플락뿐인데 이 둘로는 여의치 않아 보인다.


3. 플레이 스타일[편집]



발이 굉장히 빨라서 블로킹 리딩도 매우 좋고, 공격도 뛰어난 선수이다. 속공보다는 이동공격이 강점이고, 높은 타점과 빠른 스피드, 강한 파워 때문에 성공률이 굉장히 높다. 속공을 때릴 때에도 개인 시간차, B보다 살짝 먼 곳에서 때리는 공격, 거의 제자리에서 때리는 속공 등 상황에 맞추어 영리한 플레이를 한다. 워낙 좋은 세터인 나즈, 보워시 등과 호흡을 맞춘 덕에 크루이프의 공격이 더욱 빛난 것도 있다. 스파이크 서브는 아니지만 빠르고 거친 플로터 서브도 큰 강점이다.


4. 선수 경력[편집]


  • 2017-18 세리에A1 베스트 미들블로커
  • 2018-19 세리에A1 베스트 미들블로커
  • 2019 FIVB 월드클럽챔피언십 베스트 미들블로커
  • 2021 FIVB 월드클럽챔피언십 베스트 미들블로커


5. 여담[편집]


  • 같은 포지션인 세르비아의 밀레나 라시치와는 바키프방크 SK에서 함께 뛰어봐서 친분이 있다.
  • 검은 푸들 "빌리"를 키우고 있다. 현재는 이모코의 세터 요안나 보워시와 친한지 보워시의 인스타에 빌리가 많이 등장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5 21:03:06에 나무위키 로빈 데 크루이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