두흥

덤프버전 :

수호전 108성
[ 펼치기 · 접기 ]
#181818,#e5e5e5 ||<-6><tablewidth=100%><bgcolor=#3d414d> {{{#ffffff 천강성(天罡星) 36인}}} || ||<rowbgcolor=#6979bb,#6979bb><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괴성(天魁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강성(天罡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기성(天機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한성(天閒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용성(天勇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웅성(天雄星)}}} || || {{{-2 1 [[송강]]}}} || {{{-2 2 [[노준의]]}}} || {{{-2 3 [[오용]]}}} || {{{-2 4 [[공손승]]}}} || {{{-2 5 [[관승]]}}} || {{{-2 6 [[임충]]}}} || ||<rowbgcolor=#6979bb,#6979bb><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맹성(天猛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위성(天威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영성(天英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귀성(天貴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부성(天富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만성(天滿星)}}} || || {{{-2 7 [[진명(수호전)|진명]]}}} || {{{-2 8 [[호연작]]}}} || {{{-2 9 [[화영]]}}} || {{{-2 10 [[시진]]}}} || {{{-2 11 [[이응(수호전)|이응]]}}} || {{{-2 12 [[주동(수호전)|주동]]}}} || ||<rowbgcolor=#6979bb,#6979bb><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고성(天孤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상성(天傷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립성(天立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첩성(天捷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암성(天暗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우성(天祐星)}}} || || {{{-2 13 [[노지심]]}}} || {{{-2 14 [[무송]]}}} || {{{-2 15 [[동평]]}}} || {{{-2 16 [[장청(몰우전)|장청]]}}} || {{{-2 17 [[양지(수호전)|양지]]}}} || {{{-2 18 [[서녕]]}}} || ||<rowbgcolor=#6979bb,#6979bb><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공성(天空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속성(天速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이성(天異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살성(天殺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미성(天微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구성(天究星)}}} || || {{{-2 19 [[색초]]}}} || {{{-2 20 [[대종(수호전)|대종]]}}} || {{{-2 21 [[유당(수호전)|유당]]}}} || {{{-2 22 [[이규]]}}} || {{{-2 23 [[사진(수호전)|사진]]}}} || {{{-2 24 [[목홍]]}}} || ||<rowbgcolor=#6979bb,#6979bb><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퇴성(天退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수성(天壽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검성(天劍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평성(天平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죄성(天罪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손성(天損星)}}} || || {{{-2 25 [[뇌횡]]}}} || {{{-2 26 [[이준(수호전)|이준]]}}} || {{{-2 27 [[완소이]]}}} || {{{-2 28 [[장횡(수호전)|장횡]]}}} || {{{-2 29 [[완소오]]}}} || {{{-2 30 [[장순(수호전)|장순]]}}} || ||<rowbgcolor=#6979bb,#6979bb><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패성(天敗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뢰성(天牢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혜성(天慧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폭성(天暴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곡성(天哭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천교성(天巧星)}}} || || {{{-2 31 [[완소칠]]}}} || {{{-2 32 [[양웅(수호전)|양웅]]}}} || {{{-2 33 [[석수(수호전)|석수]]}}} || {{{-2 34 [[해진]]}}} || {{{-2 35 [[해보]]}}} || {{{-2 36 [[연청]]}}} || ||<-6><bgcolor=#3d414d> {{{#ffffff 지살성(地煞星) 72인}}}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괴성(地魁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살성(地煞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용성(地勇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걸성(地傑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웅성(地雄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위성(地威星)}}} || || {{{-2 37 [[주무]]}}} || {{{-2 38 [[황신(수호전)|황신]]}}} || {{{-2 39 [[손립]]}}} || {{{-2 40 [[선찬]]}}} || {{{-2 41 [[학사문]]}}} || {{{-2 42 [[한도]]}}}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영성(地英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기성(地奇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맹성(地猛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문성(地文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정성(地正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벽성(地闢星)}}} || || {{{-2 43 [[팽기]]}}} || {{{-2 44 [[선정규]]}}} || {{{-2 45 [[위정국]]}}} || {{{-2 46 [[소양(수호전)|소양]]}}} || {{{-2 47 [[배선]]}}} || {{{-2 48 [[구붕]]}}}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합성(地闔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강성(地强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암성(地暗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축성(地軸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회성(地會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좌성(地佐星)}}} || || {{{-2 49 [[등비]]}}} || {{{-2 50 [[연순]]}}} || {{{-2 51 [[양림]]}}} || {{{-2 52 [[능진]]}}} || {{{-2 53 [[장경(수호전)|장경]]}}} || {{{-2 54 [[여방]]}}}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우성(地祐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령성(地靈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수성(地獸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미성(地微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혜성(地慧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폭성(地暴星)}}} || || {{{-2 55 [[곽성]]}}} || {{{-2 56 [[안도전]]}}} || {{{-2 57 [[황보단]]}}} || {{{-2 58 [[왕영]]}}} || {{{-2 59 [[호삼랑]]}}} || {{{-2 60 [[포욱]]}}}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묵성(地默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창성(地猖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광성(地狂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비성(地飛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주성(地走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교성(地巧星)}}} || || {{{-2 61 [[번서]]}}} || {{{-2 62 [[공명(수호전)|공명]]}}} || {{{-2 63 [[공량]]}}} || {{{-2 64 [[항충]]}}} || {{{-2 65 [[이곤(수호전)|이곤]]}}} || {{{-2 66 [[김대견]]}}}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명성(地明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진성(地進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퇴성(地退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만성(地滿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수성(地遂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주성(地周星)}}} || || {{{-2 67 [[마린(수호전)|마린]]}}} || {{{-2 68 [[동위(수호전)|동위]]}}} || {{{-2 69 [[동맹(수호전)|동맹]]}}} || {{{-2 70 [[맹강(수호전)|맹강]]}}} || {{{-2 71 [[후건]]}}} || {{{-2 72 [[진달]]}}}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은성(地隱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이성(地異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리성(地理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준성(地俊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악성(地樂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첩성(地捷星)}}} || || {{{-2 73 [[양춘]]}}} || {{{-2 74 [[정천수(수호전)|정천수]]}}} || {{{-2 75 [[도종왕]]}}} || {{{-2 76 [[송청]]}}} || {{{-2 77 [[악화(수호전)|악화]]}}} || {{{-2 78 [[공왕(수호전)|공왕]]}}}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속성(地速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진성(地鎭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기성(地羈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마성(地魔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요성(地妖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유성(地幽星)}}} || || {{{-2 79 [[정득손]]}}} || {{{-2 80 [[목춘]]}}} || {{{-2 81 [[조정(수호전)|조정]]}}} || {{{-2 82 [[송만]]}}} || {{{-2 83 [[두천]]}}} || {{{-2 84 [[설영(수호전)|설영]]}}}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복성(地伏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벽성(地僻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공성(地空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고성(地孤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전성(地全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단성(地短星)}}} || || {{{-2 85 [[시은(수호전)|시은]]}}} || {{{-2 86 [[이충]]}}} || {{{-2 87 [[주통]]}}} || {{{-2 88 [[탕륭]]}}} || {{{-2 89 [[두흥]]}}} || {{{-2 90 [[추연(수호전)|추연]]}}}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각성(地角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수성(地囚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장성(地藏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평성(地平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손성(地損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노성(地奴星)}}} || || {{{-2 91 [[추윤]]}}} || {{{-2 92 [[주귀]]}}} || {{{-2 93 [[주부(수호전)|주부]]}}} || {{{-2 94 [[채복]]}}} || {{{-2 95 [[채경(수호전)|채경]]}}} || {{{-2 96 [[이립(수호전)|이립]]}}}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찰성(地察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악성(地惡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추성(地醜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수성(地數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음성(地陰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형성(地刑星)}}} || || {{{-2 97 [[이운]]}}} || {{{-2 98 [[초정]]}}} || {{{-2 99 [[석용]]}}} || {{{-2 100 [[손신]]}}} || {{{-2 101 [[고대수]]}}} || {{{-2 102 [[장청(채원자)|장청]]}}} || ||<rowbgcolor=#bea3c9,#bea3c9><rowcolor=#fff>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장성(地壯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열성(地劣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건성(地健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모성(地耗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적성(地賊星)}}} || {{{#!wiki style="margin: -5px -10px; font-size: 0.8em;" 지구성(地狗星)}}} || || {{{-2 103 [[손이랑]]}}} || {{{-2 104 [[왕정륙]]}}} || {{{-2 105 [[욱보사]]}}} || {{{-2 106 [[백승]]}}} || {{{-2 107 [[시천]]}}} || {{{-2 108 [[단경주]]}}} ||


귀검아 두흥
파일:89duheung.jpg파일:89두흥.jpg

수호전의 등장인물
이름두흥(杜興)
별호귀검아(鬼臉兒)
수호성72 지폭성 중 지전성(地全星)
무기
특이사항상인

1. 목차
2. 작중 행적
3. 기타 창작물



1. 목차[편집]


수호전에 등장하는 인물. 얼굴이 험상궂게 무섭게 생겨서 귀신 얼굴이라는 뜻의 귀검아(鬼臉兒)라는 별호를 얻었다.

부잣집 집사라는 비슷한 포지션에 있는 연청과는 반대로, 선찬과 함께 양산박에선 외모로는 짱먹는다. 물론 밑에서.

2. 작중 행적[편집]


계주에서 장사를 하다가 동업자를 때려 죽였는데, 당시 회자수로 일하던 병관색 양웅의 도움으로 살아나게 되었다. 이후에는 이가장의 가주 이응집사로 있으면서 이응의 명령을 수행하는 역할을 한다. 양웅과의 인연으로 시천의 서리짓에 인해 도망쳐 온 그들을 이응에게 소개시켜준다. 이응이 두흥을 사자로 축가장으로 보냈으나 두흥은 축씨 삼형제에게 욕을 먹고 문전박대를 당한다. 이에 분노한 이응은 축가장에 가다가 축표에게 화살을 맞고 중상을 입고, 축가장과의 분쟁크리. 양산박송강이 한 번 축가장에 깨진 뒤 이응을 만나러 오자 이응을 대신해 송강 일행을 만난다. 그리고 자신이 아는대로 축가장에 대해 이야기하고 호가장의 호삼랑축표와 약혼한 사이니 원군으로 올 수도 있다 등 송강에게 정보를 제공해준다. 사건 종결 후엔 양산박에 합류. 양산박에서는 한지홀률 주귀와 같이 남산 주점을 관리하게 된다.[1]

주인인 이응과 함께 방랍 토벌전에서 살아 남았으며, 이응이 관직을 버리고 독룡강으로 돌아가자 따라 간다.

수호후전에서도 이응의 집사로 일하는데 여기서는 신 양산박 세력인 등운산의 난정옥, 호성과 오랜만에 만났고 완소칠 등의 동료과 재회하고 왕도위의 부중에 있는 악화가 연루되어서 걱정이 되어 왕도위에게 가다가 잡혀서 귀양을 가는 등 생고생한다. 그런데 재밌는 건 귀양간 곳의 관영(교도소장 급)의 애첩의 눈에 들어 유혹당한 적이 있다는 것. 이로써 선찬과의 외모배틀에선 두흥이 윈!... 이라고 볼 수 있을까?[2]외모만으로 평가할 수 없는 무언가가 있었을지도.. 므흣*^^* 적어도 얼굴로 사람을 죽이진 않았으니...

결국 관영의 애첩이 관영의 친척인 풍사인과 같이 그 관영을 죽이자 두흥은 마침 다시 만난 양림에게 부탁해 그들을 죽이고 음마천 패거리로 들어가게 된다. 그후 같이 섬라국으로 간다.


3. 기타 창작물[편집]


2011년 중국에서 두흥이 주인공으로 등장하는 영화가 나왔다. 한국에는 2013년 공개되었는데, '수호지 가면영웅 귀검아' 라는 제목으로 나왔다. *

호접몽전에서 위원회의 지살성 멤버. 견성 전투에서 문을 열기 위해 침입하나 낙석에 전사했다고만 언급된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4 09:40:43에 나무위키 두흥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동산 주점은 손신고대수, 서산 주점은 장청손이랑, 북산 주점은 이립왕정륙.[2] 이 애첩의 환경이 너무나도 척박했다는걸 감안하자. 지역이 귀양지이니만치 격오지라 뭘 어쩔수도 없고 그나마 남편은 60대 노인이다. 이런 상황이면 상대가 선찬이었다고 해도 모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