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코선

덤프버전 :



파일:NGYSub_Wlogo.svg
파일:NGYSub-E.svg 名港線(めいこうせん
Meiko Line
메이코선
}}}
파일:NGYSub-2131F.jpg

나고야시 교통국 2000형 전동차
노선도
[ 펼치기 · 접기 ]
파일:NGYMeiko_Line_Vroutemap.svg
노선 정보
분류지하철
기점카나야마역
종점나고야항역
역 수7
노선 기호E
노선 번호2호선
개통일1971년 3월 29일
소유자파일:NagoyaTB_logo.svg
나고야시 교통국
운영자
사용차량나고야시 교통국 2000형 전동차
차량기지메이코 공장, 다이코 차고
노선 제원
노선연장6.0km
궤간1435mm
선로구성전구간 복선
사용전류직류 600V 제3궤조집전식
폐색방식속도제어식
신호방식ATC
최고속도65km/h

파일:NGYMeiko_Line_linemap.png
실측지도 상의 메이코선
하행 전구간 주행영상

1. 개요
2. 상세
3. 운행 형태
4. 역 목록



1. 개요[편집]


나고야시 교통국에서 운영하는 나고야 시영 지하철의 노선 중 하나이다. 메이죠선의 지선 취급인 노선이다. 카나야마역 말고는 환승역도 없다.

노선색은 메이죠선과 마찬가지로 연보라색이며 바탕에 흰 선이 그어진 것()으로, 나무위키에서는 그라데이션 또는 테이블 문법으로 표현한다.


2. 상세[편집]


지선인 성수지선신정지선이 본선과 같은 2호선으로 표기하고 있는 서울특별시와는 달리 여기는 사실상 별도의 노선으로 취급하고 있다.

메이죠선이 번호상 2호선과 4호선으로 나뉘는데, 메이코선은 이 중 2호선에 해당한다. 이는 메이죠선의 순환선이 완성되기 이전인 2호선 시절의 노선형태가 오조네~나고야항 구간을 잇는 노선이었기 때문으로, 서울 지하철 2호선 개통 초기 성수지선의 신설동역이 2호선의 기점역이었던 것과 비슷하다. 지금의 메이죠선의 순환선 부분을 구성하는 4호선 구간은 1974년에 개통된 카나야마~아라타마바시 구간을 제외하면 대부분 2000년도 이후에 개통되었기 때문에 2021년 현재 기준으로 보면 4호선 구간이 지선이었던 시기가 메이코선이 지선 형태로 있던 시기보다 더 길었다.


3. 운행 형태[편집]


메이죠선과 직결운행을 많이 하며 기본적으로 오조네역까지, 일부 열차는 한 정거장 더 가서 나고야돔마에야다까지 간다. 배차간격은 RH 5~6분, NH 10분이다.


4. 역 목록[편집]


나고야시 교통국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코선
번호역명km환승노선소재지
파일:NGYSub-M.svg메이죠선 외선순환 오조네까지 직통[1]
E01카나야마
(金山)
0.0나고야 시영 지하철 파일:NGYSub-M.svg메이죠선(M01) (직통운행)
JR 도카이 파일:JRC-CA.svg도카이도선(CA66), 파일:JRC-CF.svg츄오선(CF01)
나고야 철도 파일:MT-NH.svg나고야 본선(NH34)
나카구
E02히비노
(중앙도매시장)

日比野
(中央卸売市場)
1.5아츠타구
E03로쿠반쵸
六番町
2.6
E04토카이도리
東海通
3.8미나토구
E05미나토쿠야쿠쇼
港区役所
4.6
E06츠키지구치
築地口
5.4
E07나고야항
名古屋港
6.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7 16:00:37에 나무위키 나고야 시영 지하철 메이코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RH 시간대, 나고야돔 경기일 한정 일부 열차 나고야돔마에야다까지 직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