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코미디에 빠지다의 과거 코너에 대한 내용은 코미디에 빠지다/역대 코너 문서
2번 문단을
코미디에 빠지다/역대 코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역대 키네마 준보 베스트 텐
파일:키네마준보.png
일본 영화 1위
제80회
(2007년)
제81회
(2008년)
제82회
(2009년)
훌라걸스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굿' 바이: Good&Bye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2007)
それでもボクはやってない
I Just Didn't Do It
파일:external/cineast.co.kr/2049477299_d9ab3a1e_ididnt.jpg
감독스오 마사유키
각본스오 마사유키
제작카메야마 치히로, 세키구치 다이스케
출연카세 료, 세토 아사카, 야마모토 코지, 모타이 마사코, 야쿠쇼 코지
장르드라마
제작사후지 텔레비전 네트워크, 알타미라 픽쳐스, 도호
배급사파일:일본 국기.svg 도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서울엠피필름
수입사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위드시네마
개봉일파일:일본 국기.svg 2007년 1월 20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08년 12월 11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2023년 5월 10일 재개봉
상영 시간143분
대한민국 총 관객수2,285명
국내 등급파일:영등위_12세이상_초기.svg 12세 이상 관람가
1. 개요
2. 이야깃거리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스오 마사유키가 쉘 위 댄스 이후로 10년 만에 내놓은 영화. 지하철에서 여고생을 성추행한 치한으로 몰린 가네코 텟페이(카세 료 扮)가 누명을 벗기 위해 긴 시간을 구금당하고 피의자 신분으로 법정 투쟁하는, 이른바 '인질사법' 피해자의 스토리. 결말에서 가네코의 독백이 상당히 인상적이다. 엔자이(원죄)라 불리는, 무죄추정의 원칙이 잘 지켜지지 않는 일본의 경찰과 사법 제도를 제대로 까는 영화. 일본에서는 2007년 1월 20일에, 국내에서는 2008년 12월 11일에 개봉했다. 2023년 5월 10일, 국내에서 재개봉했다.


2. 이야깃거리[편집]


스오 마사유키는 이 영화를 만들기 위해 많은 소재를 모으고 다녔으며 그 소재 중 이 영화의 모델이 된 사건이 있다. 2005년에 발생한 사건으로 남자는 끝까지 무죄를 주장했지만 2007년 1년 6개월의 징역형에 처해졌고 항소, 상고를 통해 2년만에 무죄가 선고되었다. 이 사건은 2009년 12월에 TV아사히 '보도發 다큐멘터리 선언 스페셜'을 통해 '그래도 아빠가 하지 않았어'라는 제목으로 방송된 바 있다.

영화 개봉 이후 2007년에 감독상을 비롯한 수많은 상을 수상했으며 80회 아카데미상 외국 영화 부문에 일본 대표로 출품되기도 하였고 국제연합의 고문금지위원회에 맞춰 현지에 개봉되었고 위원회의 위원 과반수가 이 영화를 봤다고도 한다.

2011년, 미타카 버스 사건이 일어나 한 차례 재현되었다. 차이점은 고등법원에서 종결되었다는 점.

2012년 덴마크 영화 더 헌트라는 작품과 이 영화와 많이 비교가 되었다. 둘 다 어린 소녀를 성추행한 성범죄자라는 누명을 쓴 뒤 세상을 향해 아주 힘든 싸움을 한다는 이야기라는 점에서 많이 닮았다.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의 비판 대상이 사법기관이라면, 더 헌트는 사회와 대중이다. 더 헌트 후반부에 주인공이 무죄 판결을 받았지만 여전히 일부 주변 사람들에게 박해받을 것이라는 암시가 나온다.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는 주인공이 유죄 판결을 받고 이에 항소하면서 열린 결말로 끝난다. [1]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14 20:05:34에 나무위키 그래도 내가 하지 않았어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래도 나름 그가 재판받을 때 도와준 지인들이 꽤 많았다는 것을 생각해보면 아주 비관적이지는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