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안북도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대한민국의 명목상 행정구역에 대한 내용은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문서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번 문단을
평안북도(이북5도위원회)#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평양시
남포시개성시라선시
함경남도함경북도량강도
평안남도평안북도자강도
황해남도황해북도강원도
북한의 명목상 행정구역 보기[다]
[주의] 북한에서는 남한에서 'OO특별/광역시'라고 표기하는 것과 달리 'OO직할/특별시' 식으로 하지 않고 'OO시' 라고 표기한다.
[가] 북한 헌법과 조선로동당 규약상으로는 '직할시'만 명시적으로 존재하며, 평양시, 남포시, 라선시, 개성시를 모두 동급의 직할시(혹은 특별시)로 간주한다.
[나] 북한이 실효 지배하지 않는 미해방지구는 명목상 행정구역일 뿐 실질적인 광역행정구역이 아니다.
[다] 북한은 이북5도위원회를 제외한 대한민국의 행정구역 변화를 인정하므로 대한민국의 광역자치단체 틀로 연결한다.
상위 둘러보기 틀로 이동하기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
평안북도>
平安北道
North Phyongan Province

도소재지신의주시
하위 행정구역3 21
면적12,197.7㎢
인구2,676,272명
인구 밀도219.41명/㎢
당 위원회
책임 비서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문경덕
인민위원장
파일:조선로동당 한글.png
장세철
지역번호061[1]
ISO 3166-2KP-03

1. 개요
2. 경제
3. 교통
4.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



1. 개요[편집]


북한 서북부에 있는 도. 면적은 12,197.7㎢이며, 인구는 2008년 기준으로 2,676,272명이다. 남쪽에 평안남도, 동쪽에 자강도가 있다. 서쪽에는 서해 바다가 펼쳐져 있으며 서, 북쪽으로는 압록강 (북중 국경선) 을 통해 중국과 이어진다.

도소재지[2]신의주시.

주요 도시로는 도청 소재지인 신의주시를 비롯해 구성시, 정주시, 영변군, 의주군, 선천군 등이 있다.

북한의 주요 핵 시설인 녕변원자력연구소녕변군에 있다.

1949년 1월에 평안북도 강계군, 자성군, 후창군[3], 위원군, 초산군, 희천군을 분할해서 자강도로 분도했다.

2023년 2월 향산군이 자강도로 이관되었다.


2. 경제[편집]


북중 무역에서 큰 비중을 차지하는 곳이다. 특히 신의주가 이 지역에서 발달한 곳이다. 많은 섬을 끼고 있고 북한에서 그나마 농업이 제대로 이루어지는 곳 중 하나다. 간석지도 많이 있다.


3. 교통[편집]


평양역 기점 및 신의주역을 종점으로 하는 평의선 철도가 지난다. 그리고 평의선단둥역과 연결된다. 신의주개성간 고속도로의 종점이기도 하다.


4. 광복 직후 / 현재의 행정구역 비교[편집]


파일:1467303393.jpg
광복 직후 행정구역
파일:북한에서 쓰는 평안북도 시군명.svg
북한에서 사용하는 행정구역[4]

표에서 기록하는 행정 단위의 이동은 면 단위 이하는 기록하지 않는다. 면적의 단위는 ㎢이며, 소수점 이하는 반올림하였다.

평안북도 및 자강도의 행정구역 변화
구 행정구역신 행정구역
번호시 / 군면적번호시 / 군면적참고
평안북도A신의주시평안북도A신의주시166[5]
평안북도B의주군1,677[6]
평안북도B의주군420
C피현군439[7]
D삭주군[8]
E천마군763[9]
평안북도C용천군570평안북도C피현군439[10]
F룡천군270
G신도군108[11]
H염주군330[12]
평안북도D철산군456평안북도[13]
I철산군364
J동림군437[14]
평안북도E선천군673평안북도[15]
K선천군450
평안북도F정주군828평안북도L곽산군310[16]
M정주시473
N운전군360[17]
평안북도G박천군589평안북도[18]
O박천군288
평안북도H영변군1,709평안북도P녕변군504
Q구장군584[19]
자강도R향산군483[20][21]
평안북도I운산군820평안북도S운산군[22]
평안북도J태천군684평안북도T태천군730
평안북도K구성군1,242평안북도E천마군763[23]
U구성시653
평안북도L삭주군1,153평안북도D삭주군
W대관군837[24]
평안북도M창성군1,323평안북도V창성군620
Y동창군665[25]
평안북도N강계군5,404자강도1강계시264
2만포시672[26]
3시중군602[27]
4장강군727[28]
5성간군949[29]
6전천군1,001[30]
7룡림군1,195[31]
평안북도O희천군2,366자강도8희천시984
9동신군1,205[32]
평안북도P자성군1,806자강도10자성군887
11중강군669[33]
12화평군1,219[34]
평안북도Q후창군2,429[35]
량강도김형직군1,473[36]
함경남도장진군5,688자강도13랑림군2,062[37]
평안북도R위원군1,234자강도14위원군1,160
평안북도S초산군2,328자강도15초산군590
16고풍군675[38]
17송원군1,080[39]
평안북도T벽동군1,215자강도18우시군703[40]
평안북도X벽동군640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2:41:45에 나무위키 평안북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전라남도와 지역번호가 같다.[2] 도청 소재지는 한국에서 쓰고, 북한은 '도소재지'라는 표현을 쓴다. 한국에서도 이를 그대로 옮겨 '도 소재지'라고 쓰기도 한다.[3] 자강도 분도 후 량강도로 편입.[4] 구성시 가운데가 뚫린 이유는 평양시 방현동으로 편입되었기 때문이다. 평양시 본토에서 북쪽으로 150㎞ 정도 떨어져 있는 월경지이다.[5] 구 행정구역의 면적이 10.6㎢로 제시되는 경우가 있는데, 명백한 오류. 구 행정구역과 신 행정구역에서 변화된 것이라고는 의주군에서 위화면(이성계회군했다는 바로 그 위화도)이 넘어온 것과 용천군에서 삼교천 일대 유역 일부가 넘어온 게 전부이기 때문.[6] 서쪽 끝의 위화면이 이동.[7] 위원면, 고관면의 절반, 비현면, 월화면이 이동[8] 가산면, 광평면, 옥상면이 이동. 현재의 삭주군 면적 대부분은 의주군에서 온 것이며 원래 삭주군이였던 지역은 1/3 정도만 남아 있는 상태.[9] 고령삭면이 이동[10] 동북부 동상면이 이동[11] 비단섬 일대의 섬만 따로 떼어서 만든 군.[12] 군 남단의 내중면, 외하면, 외상면, 부라면이 이동[13] 군 북부의 서림면이 이동[14] 군 북부의 점면이 이동[15] 군 서부의 심천면, 용연면이 이동[16] 군 서부의 안흥면, 옥천면, 관주면, 임포면이 이동[17] 군 동부의 고덕면, 마산면, 대전면이 이동[18] 군 서부의 용계면의 절반, 청룡면의 절반, 가산면, 양가면, 서면이 이동[19] 군 동부 남신현면, 고성면의 절반, 오리면의 절반, 용산면, 백령면이 이동[20] 군 동북부 남송면의 2/3, 태평면, 북신현면이 이동[21] 2023년 2월 자강도로 편입[22] 정확한 면적은 불명이지만 행정구역의 변화가 거의 없기 때문에 860~870㎢ 정도일 것으로 추정된다. 잠시 금광이 있던 지역을 북진군으로 분리한 적이 있다.[23] 군 서부의 관서면, 천마면, 사기면이 이동[24] 군 남부의 수동면, 양산면, 외남면, 남서면이 이동[25] 군 남부의 청산면, 대창면, 동창면이 이동[26] 군 북서부의 고산면, 만포읍, 문옥면, 이서면과 외귀면의 1/3이 이동[27] 군 북서부의 외귀면 남부 2/3, 시중면, 곡하면, 어뢰면이 이동[28] 군 서부의 공북면, 종남면, 종서면이 이동[29] 군 중부의 성간면, 간북면이 이동[30] 군 남서부의 전천면, 화경면과 입관면의 서부 1/5이 이동[31] 군 남동부의 용림면과 입관면의 대부분이 이동[32] 군 동부의 신풍면, 장동면, 동창면이 이동[33] 군 최북단의 장토면, 중강면이 이동[34] 군 남부의 이평면이 이동[35] 군 서남부의 남신면, 칠평면이 이동[36] 후창군이 이름이 바뀐 것.[37] 동문면, 북면과 상남면의 서부 절반이 이동[38] 군 중부의 고면, 풍면, 강면이 이동[39] 군 남부의 판면, 송면, 도원면이 이동[40] 군 동부의 벽동면의 동부 절반, 오북면, 우시면, 가별면이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