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

덤프버전 :


<color#fff>
파일:페미니즘 기호 화이트.svg페미니즘>
관련 문서
1세대 · 2세대 · 3세대 · 4세대
[ 펼치기 · 접기 ]
분파
자유주의 페미니즘 (차이 페미니즘) · 래디컬 페미니즘 (TERF · TIRF · SWERF · 정치적 레즈비어니즘 · 문화적 페미니즘) · 상호교차성 페미니즘 (트랜스페미니즘) · 사회주의 페미니즘 (아나카 페미니즘) · 보수주의 페미니즘 (안티포르노 페미니즘 · 페모내셔널리즘)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 성 긍정 페미니즘 (립스틱 페미니즘) · 종교 페미니즘 (불교 페미니즘 · 기독교 페미니즘 · 이슬람 페미니즘)
이론
FPOV · 디폴트 여성 · 성인지 감수성 · 성 상품화 · 성적 대상화 · 상호교차성 · 젠더 권력 · 젠더블라인드 · 성차별 · 여성 서사 · 유리천장 · 미러링(신조어)
관련 문서
페미니스트 (남성 페미니스트 · 영페미) · 운동 · 도서 · 영화 · 역사 · 여성 단체 · 여성 정책 · 여성사 · 여성혐오 · 여성주의 성 전쟁 · 68운동 · 서프러제트 · 탈코르셋 운동 · 토플리스 운동 · 쿠투 운동 · 핑크 택스 · 페미위키 · 부모 성 함께 쓰기 · HeForShe · 4B 운동
비판 및 논란 · 속어
안티페미니즘 · 페미나치 · 꼴페미 · 여성 우월주의 · 루이스의 법칙 · 남성혐오 · 자국 이성 혐오 · 뷔페미니즘 · 만물여혐설 · 페미니즘은 돈이 된다 · 페미니즘은 지능의 문제 · 쿵쾅이 · 여쭉메워 · 트페미 · 페미씹덕 · 언론의 메갈리아, 워마드 옹호





잡학 위키
[ 펼치기 · 접기 ]
엔진명칭
미디어위키누리위키제타위키페미위키
모니위키노스모크
도쿠위키오픈위키
별표(*) 표시: Miraheze 산하의 위키.
모든 위키의 목록은 위키/목록분류:위키를 참고.


파일:페미위키 로고.svg
페미위키
사이트 종류위키위키
위키엔진미디어위키
개설일2016년 7월 25일
사용 언어한국어
회원가입회원가입 이후 편집 가능
영리여부비영리
개설제안자열심
운영자다수
문서 수38,524개[1](2020.12.)
라이선스CC BY-SA 4.0
현재 상태운영 중
주소링크
1. 개요
2. 현황
2.1. 통계
2.2. 회원 가입
2.3. 언론 보도
2.4. 편집랭킹과 도전과제
2.5. 뉴스 모음
2.6. 위키 기반 게시판
2.7. 개발 및 운영
2.8. 침체
5. 다른 위키와의 관계
6. 관련 문서
7. 둘러보기



1. 개요[편집]


2016년 7월 25일에 만들어진 페미니즘 계열의 위키위키 사이트. 위키피디아, 나무위키를 포함한 기존의 위키 사이트들이 사회적 약자에 대한 배려가 부족하며 남성중심적이라는 문제의식에서 출발했다고 한다.페미위키:소개 위키백과 등의 중립적 관점(NPOV)을 지향하지 않으며, 페미니즘 관점(FPOV; Feminist Point of View)을 지향한다.

사회적이고 구조적인 편견, 혐오, 차별, 선입견이 존재하는 한, 기계적 중립은 오히려 오히려 사회적 강자, 다수, 억압자의 논리를 유지, 강화할 가능성이 높다. 페미니즘 관점은 의도적으로 약자, 소수자의 입장에서 주제를 서술하는 관점이다.

'바꿔보자, 남성 편향적 위키백과 콘텐츠' #란 취지에서 발족되었다. 2017년 3월 25일 위키백과 이용자들과 페미위키 이용자들의 상호 이해와 협력을 도모하는 행사를 위키백과 측의 공식 지원 하에 여성주의 카페 두잉에서 개최되었다. 2016년 당시 여성계가 온라인 여론전에 집중적인 관심을 기울이기 시작하며 잠시나마 활발해졌지만, 이후로는 침체기에 접어들었다.

2. 현황[편집]



2.1. 통계[편집]


2023년 2월 10일 기준 67,779여개의 문서(본문이 있는 문서는 19,414개)가 있고 5,708여개의 계정이 생성되어 있다.[2]

구글 애널리틱스를 통해 익명으로 웹 로그를 수집 및 분석하고 있다.[3] 이에 따르면 일평균 방문수는 약 3,000회 수준(2019년 6월 28일 기준)이며 이 중 45%는 구글 및 네이버 검색을 통해, 35%는 트위터를 통해 유입된다. 나무위키로부터의 유입도 약 3% 정도를 차지한다.

방문자의 추정 성비는 남녀 각각 50% 정도이지만, 남성에 비해 여성이 두 배 정도 오래 머물며 더 많은 문서를 읽는 것으로 나타난다. 주요 추정 연령대는 18세~24세가 전체의 65%로 가장 높다.[4]

  • Alexa: 한국 3,376위, 글로벌 166,991위 (2019년 6월 28일 기준)
  • SimilarWeb: 한국 5,299위, 글로벌 442,541위 (2019년 6월 28일 기준)

재정 현황을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고는 하나 언젠가부터 엑세스가 거부되었다며 재정 현황 접근이 불가능해졌다.


2.2. 회원 가입[편집]


파일:페미위키가입.jpg
문서 편집에 참여하려면 계정 생성과 함께 이메일 인증을 해야 하며 익명 사용자(비가입자)의 문서 편집은 허용되지 않는다. 계정을 생성하기 위해서는 아이디와 비밀번호, 나는 페미니스트입니다라고 입력해야 계정 생성이 가능하다.

페미위키에서는 두 가지 이유로 인해 익명 사용자의 편집 권한을 한시적으로 제한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5]

  • 아직 운영 원칙이 확립되지 않은 상황이고 관리자들도 절차에 의거하지 않고 임시로 권한을 부여받은 상태이기 때문에 편집 전쟁 등 충돌이 발생할 경우 중재 및 갈등 해소 과정에 운영자들이 적절히 개입하기가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 반페미니즘 성향 작성자들의 반달리즘이 빈번할 것으로 예상되나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어렵다고 판단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페미위키 내에서는 반페미니즘성향의 닉네임을 소유하고 문서에 대한 반달을 한 유저에 대해 제재를 자주 하고 있다. 이들에 대한 처벌은 사용자명 임시변경이나 일정기간 편집금지 조치가 있다. 실제로도 위키 규모에 비해 반달이 매우 잦았다.


2.3. 언론 보도[편집]


미디어오늘 경향신문


2.4. 편집랭킹과 도전과제[편집]


활동적인 사용자
최근 30일동안의 편집횟수에 따라 순위를 부여한다. 최근 활동에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지수평활법으로 계산한다. 이 순위는 랭킹봇에 의해 자동으로 갱신된다.

베타 기간을 마치고 도전과제 시스템도 생겼다.

2.5. 뉴스 모음[편집]


헤럴드봇이라는 봇을 운영하여 세월호, 성소수자, 여성혐오 등 다양한 관련 분야에 대한 뉴스 기사를 자동으로 수집하고 분류하고 있다.

이렇게 분류된 뉴스는 백남기 농민 사망 사건 등의 문서 작성에 유용하게 활용된다. 다른 활성화된 위키들에 비해 턱없이 부족한 문서량을 보완하기 위한 수단 중 하나이다.


2.6. 위키 기반 게시판[편집]


현재 자유게시판을 운영 중이다. XE 등 별개 시스템을 쓰지 않고 스킨 커스터마이징, 게시판 전용 이름공간, 자바스크립트 꼼수 등을 적당히 섞어서 게시판 비슷하게 보이도록 만들었다. 기능이 부족하지만 회원 정보 일원화, 최근 바뀐글 등 위키의 다른 기능들과 자연스럽게 통합되는 점 장점이 있다.


2.7. 개발 및 운영[편집]


페미위키 소스코드 https://github.com/femiwiki/
공식 트위터 계정 @femiwikidotcome

미디어위키를 기반으로 페미위키 스킨 등을 추가 개발하였다. 추가로 개발된 모든 코드는 AGPLv3 라이선스로 GitHub에 공개되어 있다. 개발 및 테스트 용도로 로컬 컴퓨터에서 페미위키를 실행하기 위한 프로피저닝 스크립트, 페미위키 스킨, 페미위키 트위터 봇, 페미위키 랭킹봇 등의 소스코드가 공개된 상태이다.

아마존 웹 서비스(Amazon Web Services)의 EC2를 사용한다.

2.8. 침체[편집]


2017년 하반기 이후는 침체의 연속이다. 2017년 7월 8일에 운영자 모집 게시물을 올렸는데, # 그동안 서로간에 일을 맡았는데 여유가 나지않아 예정대로 진행되지 못하는 사태가 빈번하게 발생한 듯 하다. 결국 초기에 33인이었던 운영진이 점점 줄어들어 1년만에 25명이 이탈, 8명만 남았다고. 2018년 5월 5일에는 2~3명 밖에 남지 않았다. 워낙 운영이 안된다 싶은 나머지 # 결국 2019년 2월경 기여를 호소하는 공지를 올렸다. # 2023년 1월 기준 링크를 통해 확인 가능한 운영팀은 9명이다.


3. 비판 및 문제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페미위키/비판 및 문제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4. 사건 사고[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페미위키/사건 사고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 다른 위키와의 관계[편집]



5.1. 아름드리 위키[편집]


페미니즘 위키라는 점에서 아름드리 위키와 컨셉이 겹쳐 초창기에 통합을 시도했고 양측 유저들 의견도 찬성하는 분위기였으나 결국 통합에 실패했다.

당시 페미위키 운영진의 입장문#에 따르면 당시 아름드리 위키 운영진 중 통합을 추진하던 polity를 제외한 나머지 운영진은 통합에 대한 의견을 묻는 polity의 카톡을 수차례 읽씹하는 등 통합 안건에 대해 소극적으로 일관했다. 운영진 내부의 통합 관련 논의가 지지부진해지자 polity는 공개 게시판에 통합 논의가 진행중임을 밝히고 의견을 모았다. 당시 아름드리 위키 운영진 중 통합을 반대하던 yeokbo는 polity가 통합 논의를 공개해 내부 운영에 지장을 주려 했다는 이유로 소명 기회 박탈과 함께 졸속 해임, 영구차단시키고 위키 안팎으로 polity를 비난하고 다녔다.

당시 아름드리 위키 운영진이었던 yeokbo의 트윗1아카이브2아카이브에 따르면 페미위키와의 통합을 추진한 polity는 학연 때문에 넘어간 찬동파이며 문서 반달리즘 및 사용자 수정권한 설정값을 날렸기 때문에 긴급 영구차단의 당위성이 있다고 주장하고 있으나 근거는 없다.

아름드리 위키 측에서 2016년 9월 24일에 공개한 입장문이 4개 있으나 접속이 불가능해 확인할 수 없다. 위키 이름·권한 변경 및 회원리스트 훼손 사태에 대하여polity님 해임 과정에 대한 소명문복구되지 않은 회원님 명단입니다.반달리즘이 있었습니다.

2016년 10월 이후 급격하게 이용자가 줄어 정체된 아름드리 위키에 비해 페미위키는 그나마 활발하게 굴러갔다. 2022년 말 위키독 서비스 종료로 인해 아름드리 위키는 역사 속으로 사라졌지만 페미위키는 CCL이 호환되는 점을 이용해 아름드리 위키의 문서와 이용자 일부를 흡수하는 데에 성공했다. 통합 논의 당시 yeokbo의 통합 반대 이유 중 CCL이 주요한 화두였는데 그 CCL 때문에 결과적으로는 흡수통합이 성공한 모습이 참으로 아이러니하다.


5.2. 나무위키[편집]


페미위키는 나무위키의 문제점에서 시작한 만큼 나무위키 대해 비판적인 태도를 견지하고 있다. 나무위키는 남성 우월주의 성향의 위키라는 인식을 공유하며, 서술 방향에 대한 토론을 할 때에도 '나무위키스러운 것'은 배제하려는 성향을 보인다. 심지어 극단적으로 편향적인 문서 내용을 좀 더 중립적으로 서술하자는 토론이 열려도 그건 나무위키스러우니 안된다라는 말 한 마디로 제압된 적도 있는 정도. 때때로 나무위키의 특정 버전을 갖고 와서 비난하기도 한다.

나무위키는 2015년 4월 리그베다 위키의 데이터베이스를 불법으로 포크하여 만들어진 여성혐오 및 파시즘 내지 신보수주의 성향 한국어 위키 커뮤니티로 Umanle S.R.L.이 운영한다. 불특정 다수가 편집할 수 있으나 편향된 내용이 대부분이며, 나무위키의 특성 상 정확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

- 과거 나무위키 문서 내용



5.2.1. 원인[편집]


나무위키는 여성시대 사태와 메갈리아의 등장, 클로저스 성우 교체 논란 등의 페미니즘 관련 이슈를 다루며 급격히 성장하였고 리그베다 위키를 대체하면서 구글 검색 결과 최상단에 오르는 사이트가 되었다. 이렇게 초창기 형성된 페미니즘에 반감을 가진 유저층과 그들의 시각으로 작성된 문서의 영향력에 대해 페미위키는 경계하고 비판하고 있다. 다만 넓은 분야의 잡학 위키를 지향하는 입장에서 유저 수가 많고 활발하다는 점에서 한편으로는 부러워하고 있다.

나무위키가 남성중심적이라는 페미위키의 시각은 실질적으로 메갈리아, 그로 상징되는 여성주의의 한 경향에 대한 비판을 남성중심적이라고 재비판을 하는 흐름과 거의 일치하는 부분도 있다. 이는 비판의 주제나 논조, 그리고 주장하는 사람들의 인적 구성에서 드러나기도 한다. 물론 이러한 비판이 여성혐오에서 나왔다는 주장도 사람에 따라 충분히 할 수는 있을 것이다.

사실 나무위키는 특정 이념을 강하게 지지하는 집단일수록 강하게 까이는 경향이 있다. 나무위키가 진보편향이라고 주장하는 이들도 있는 반면, 우익적 성향이 다분하다고 주장하는 이들도, 반종교적이라고 주장하는 이들이 있는 반면 친종교적이라 주장하는 이들도 있다. 모든 사용자가 만족할 만한 내용으로만 특정 분야 서술이 다 채워질 수는 없기 때문에 특정 이념을 강하게 지지하는 사람일수록 나무위키의 서술이 마음에 안 들 수밖에 없다. 비단 페미위키 뿐만 아니라 특정 이념을 강경히 지지하는 집단은 '나무위키'라는 복합적 집단을 하나로 묶어서 비판하면서 자기 집단의 소속감과 정체성을 확인하곤 한다.


6. 관련 문서[편집]


  • 페미니즘
  • 아름드리 위키
  • 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6]


7. 둘러보기[편집]





잡학 위키
[ 펼치기 · 접기 ]
엔진명칭
미디어위키누리위키제타위키페미위키
모니위키노스모크
도쿠위키오픈위키
별표(*) 표시: Miraheze 산하의 위키.
모든 위키의 목록은 위키/목록분류:위키를 참고.


>
1987~2020년 대한민국의 젠더 관련 이슈
[ 1987년~2009년 ]
>
[ 2011년~2020년 ]
2011년
9월김치녀 용어 확산
9월 15일아청법 개정
2012년
6월 2일일베 여성 강간모의 사건
2013년
7월 26일성재기 한강 투신사건
2014년
5월 31일무한도전 홍철아 장가가자 2부 취소 및 사과 사건
7월SLR클럽 소모임 성인 정보 자료실화 사건
8월남성연대, 양성평등연대로 명칭 변경
9월성매매 예방교육 동영상 '공감' 논란
2015년
2월 10일#나는_페미니스트입니다 해시태그 운동
4월 12일장동민 여성비하 발언 논란
5월 6일2015 여성시대 대란
5월 12일여성시대 고발 대란
8월 6일메갈리아 탄생
날짜 미상메갈리아4 개설
9월일베 친척 신체부위 몰카 인증 사건
12월 8일메갈리아 분열 사태
2016년
1월 22일워마드 탄생
3~4월소라넷 폐지운동, 소라넷 폐쇄
4월 13일제20대 국회의원 선거
5월 17일강남 묻지마 살인사건
5월 20일 ~ 말일강남역 시위 충돌 사건
6월강남패치 생성
스타벅스 군인 커피 성차별 논란
7월 18일클로저스 티나 성우 교체 논란
7월 20일정의당 문화예술위원회의 위 사건에 대한 논평 발표
7월 21일레진코믹스 집단 환불 및 탈퇴 사태
7월웹툰 규제 찬성 운동 발발
7월 22일메갈리아 회원 등 여성 시민들의 넥슨 본사 앞 시위
7월 24일아름드리 위키 설립
7월 25일페미위키 설립
7월 28일이화여대 미라대 반대 시위
8월 2일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
8월 25일고스트버스터즈의 한국 개봉
티파니 광복절 욱일기 게시 사건
날짜 미상갓건배 아프리카TV 스트리밍 시작
10월2016년 문화계 성추문 폭로 사건
10월 14일82년생 김지영 출간
10월 21일SJ레스토랑 불매운동 사건
11월전국디바협회 트위터 계정 생성
11월 18일강남패치 수사 종결
2017년
1월 24일나무위키 성 평등주의 날조 사건
3월 29일인천 동춘동 초등학생 유괴 살인사건
7월 27일서울위례별초등학교 페미니즘 교사 논란
8월 5일상서중학교 성추행 의혹 교사 자살 사건
8월 8일호주국자 등장
8월 30일여성징병제 1차 청원
9월파이널 판타지 14 메갈리아 분쟁
10월 3일워마드 운영진 분열 사건
11월 6일현대카드 성폭행 의혹 사건
11월 18일유아인 사이버 불링 사건
11월 20일워마드 호주국자 아동 성범죄 사건
11월 30일배성재의 TEN 작가 SNS 논란
12월메갈리아 폐쇄
2018년
1월 29일검찰청 내부 성추문
3월 5일안희정 성폭력 사건
서울시립대학교 정현남 린치 사건
3월 21일소녀전선 K7 업데이트 연기 논란
3월 26일김학규의 일러스트레이터 사상 검증 논란
4월인벤 메갈리아 편파 운영 논란
2018년 소방관 여성비하 욕설 사건
5월 1일워마드 홍익대 누드 크로키 수업 도촬 사건
5월 10일서강대학교 인권 강연 논란
5월 16일양예원 스튜디오 출사 관련 논란
5월 19일제1차 2018년 혜화역 시위
5월 24일2018 연세대학교 총여학생회 인권축제 사태
6월 9일제2차 2018년 혜화역 시위
7월 7일제3차 2018년 혜화역 시위
7월 10일워마드 성체 훼손 사건
7월 13일워마드 남아 낙태 인증 사건
7월 21일그것이 알고싶다이재명·은수미·국제마피아파의 유착 의혹 보도
7월 28일그것이 알고싶다웹하드 카르텔 보도
8월 2일트페미 청년다방 몰카 누명 사건
8월 4일제4차 2018년 혜화역 시위
8월 5일도전 골든벨 화이트보드 모자이크 사건
8월 21일전자책 "페미니스트와 반려견의 안전한 성" 출판 논란
8월유흥탐정 개설
9월 5일보배드림 곰탕집 성추행 판결 논란
9월 8일네이버 카페 "당당위" 개설
9월 13일구하라가 최종범을 폭행했다는 소식 보도
10월 6일제5차 2018년 혜화역 시위
10월 15일성균관대학교 총여학생회 폐지 사건
10월 17일유흥탐정 운영자 체포
10월 27일제 1차 제1차 사법부 유죄추정 규탄 시위
10월 29일뉴스타파, '몰카제국의 황제' 양진호 첫 보도
11월 6일광운대학교 총여학생회 폐지 결정
11월 13일이수역 폭행 사건
11월 15일산이 - 제리케이 디스전
11월 21일동국대학교 총여학생회 폐지 사건
11월 28일숙명여대 남성혐오 대자보 사건
11월 30일YES24 한국 남성 비하 마케팅 사건
12월 8일여성폭력방지기본법 국회 통과
12월 22일제 6차 2018년 혜화역 시위
2019년
1월 4일연세대학교 총여학생회 폐지 사건
1월 8일2019년 체육계 성추문 폭로사건
서강대학교 국제인문학부 성평등위원회 린치 사건
1월 9일양예원 스튜디오 출사 관련 논란 1심 판결
1월 28일클럽 버닝썬 폭행 사건 및 강간 약물 유통 의혹
2월 1일안희정 성폭력 사건 2심 판결
2월 12일2019년 인터넷 검열 논란
3월 11일정준영 등 도촬 및 음란물 유포 사건
4월~10월인헌고등학교 사상 강요 사건
4월 11일낙태죄 헌법불합치 결정
4월 18일양예원 스튜디오 출사 관련 논란 2심 판결
4월 26일보배드림 곰탕집 성추행 판결 논란 2심 판결
5월 9일걸캅스 한국 영화 시장 개봉
5월 15일서울 대림동 여경 논란
5월 25일워마드 청해부대 순직자 비하 사건
6월 28일배스킨라빈스 핑크스타 광고 논란
7월 8일리얼돌 전면금지 청와대 국민청원
8월 8일양예원 스튜디오 출사 관련 논란 3심 판결
9월 9일안희정 성폭력 사건 3심 판결
10월 2일선문대학교 칼부림 사건
10월 14일설리 사망 사건
10월 23일82년생 김지영 한국 영화 시장 개봉
11월 16일게임계 페미니즘 사상검증 논란
12월 12일보배드림 곰탕집 성추행 판결 논란 3심 판결
12월 19일인천 공무원 갑질 사건
12월 28일설리, 구하라 혜화역 규탄 집회
2020년
1월 2일명일방주 남성혐오 일러스트레이터 축전 배제 논란
1월 30일트랜스젠더 숙명여자대학교 합격자 입학 반대 논란
2월 3일크로노 아크 일러스트레이터 래디컬 페미니즘 논란
2월 21일이천 경찰 자살 사건
3월 16일n번방 성착취물 제작 및 유포 사건
4월 17일한국 페미니스트 명탐정 코난 사과 요구 사건
5월 10일제 1회 안티페미니스트 집회 개최
7월 21일여성가족부 폐지 국회 국민동의청원
8월 2일가디언 테일즈 이벤트 대사 수정 논란
8월 11일기안84 웹툰 '복학왕' 여혐 논란
8월 15일서울시 코로나 19 구상권 동영상 논란
10월~네이버 웹툰 검열 논란
11월 12일젠더 미디어 〈slap〉의 조용한 학살 동영상 논란
11월 19일비동의간음죄 녹취금지 논란
2021년 목록 보러가기 | 2022년 목록 보러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20:41:43에 나무위키 페미위키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파일, 토론 등 본문 문서가 아닌 것도 포함.[2] 페미위키 통계[3] 구글 애널리틱스는 구글에서 제공하는 웹 로그 분석 서비스로 개인적으로 식별 가능한 정보(PII)를 노출하지 않는 방식으로 이용자 집단의 행동을 통계적으로 분석한다.[4] 추정 성별과 추정 연령대는 구글에서 사용자의 행동을 분석하여 추정한 데이터. 상당히 정확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5] 한시적 편집 제한[6] 아름드리 위키에 이어 당시 이의를 제기하여 사건을 수면 위로 떠오르게 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