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라과이군

덤프버전 :



세계의 군대 (지역별 가나다순)
>
⠀[ 유럽 ]⠀

⠀[ 아프리카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aaa" 파일:파라과이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파라과이
관련 문서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left:10px"
<^|1><height=32><bgcolor=#fff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파라과이군
Fuerzas Armadas de Paraguay
Armed Forces of Paraguay
파일:1024px-Coat_of_arms_of_Paraguay_(1957-2013).svg.png
[1957-2013]
상비군20,000 명 (2012년)
예비군160,000 명 (2012년)
전차13 대 (2018년)
장갑차(APCs/IFVs)55 대 (2019년)
견인포문 (2021년)
자주포대 (2021년)
MLRS대 (2021년)
헬리콥터기 (2021년)
전투기기 (2021년)
공군기 총합기 (2021년)
GFP 기준 호위함(프리깃)척 (2021년)
초계함(고속정)척 (2021년)
잠수함척 (2021년)
전투함 총합

1. 개요
2. 통수권
3. 육군
3.1. 보병
3.2. 장갑차량
5. 공군
6. 기타



1. 개요[편집]


1811년에 창설된 파라과이의 군대이며 대만과의 수교관계여서 장교의 대다수가 대만의 푸싱캉대학에서 훈련을 받는다. 3국 동맹 전쟁까지 치른 전적이 있다.


2. 통수권[편집]


최고 통수권자는 대통령 산티아고 페냐이다.

국방부 장관은 디오게네스 마르티네스(Diogenes Martínez)이다.


3. 육군[편집]


편제는 아래와 같다.

  • Presidential Guard Regiment: 아순시온에 주둔중이다.

  • 1군단
    • 3 보병 사단
    • 4 보병 사단
    • 3 기병 사단
  • 2군단
    • 1 보병 사단
    • 2 보병 사단
    • 2 기병 사단
  • 3군단
    • 5 보병 사단
    • 6 보병 사단
    • 1 기병 사단


3.1. 보병[편집]







구식무기들은 노후화가 심해지고 있어서 조금씩 교체되고 있으며 여러 국가의 소총을 사용하는데 대만의 T65K2와 중국의 CQ 5.56을 둘다 사용하기도 한다.[1] CQ는 우회하여 들여온것으로 추정되는데, 파라과이는 중화민국만을 인정하기에 노린코사에서 직접 구매할수가 없기 때문.


3.2. 장갑차량[편집]





이름댓수비고
M4A3 셔먼(cn-75-50)32018년 퇴역
셔먼 레포텐시아도-전량퇴역
SK-105a212
EE-9 카스카벨정찰장갑차
EE-11보병수송차
M3A1 스튜어트-전량퇴역

파라과이는 지반이 약해서 40톤이 넘는 전차를 운용하기 힘들기에 경전차 위주로 운영한다. 셔먼 레포텐시아도는 1985년에 아르헨티나한테서 수입해왔으나 현재는 퇴역했다.


4. 해군[편집]


내륙국임에도 파라과이 강을 통해 대서양에 접근할 수 있어 해군을 가지고 있다. 해병대를 포함해 인원은 5천명 수준으로 이들은 모두 해병 보병 사령부를 담당하는 3개의 여단으로 나뉜다. 군함들 중 일부는 미국과 대만에서 공여받았으나 기령이 오래되 노후화된 함들이 대부분이다. 전투함들중 제일 큰 파라과이(C-1.C-2)급 두 함정은 636톤의 포함으로 1930년 이탈리아에서 건조되었으며 2019년에 대대적인 수리 작업을 거쳐 아직도 운용하고있다. 초계정은 17척을 운용중이다.


5. 공군[편집]


이름댓수비고
UH-1H13헬리콥터
EMB 3126경공격기/훈련기
ENAER T-359기본훈련기


6. 기타[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3 06:24:30에 나무위키 파라과이군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957-2013] 과거에 사용함[1] 예시를 들자면 제3국에서 북한제 m16과 k2를 같이 운용하는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