캄보디아

최근 편집일시 :

파일:캄보디아 국장.svg 캄보디아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동남아시아 아이콘.svg 동남아시아의 국가
[ 펼치기 · 접기 ]
파일:미얀마 국기.svg파일:라오스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파일:베트남 국기.svg
미얀마라오스캄보디아베트남
파일:태국 국기.svg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파일:싱가포르 국기.svg파일:브루나이 국기.svg
태국말레이시아싱가포르브루나이
파일:필리핀 국기.svg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파일:동티모르 국기.svg
필리핀인도네시아[A]동티모르[*A ]
[A] 기준에 따라 일부 혹은 전체 지역이 오세아니아로 분류되기도 한다.





파일:ASEAN 문장.svg
아세안(ASEAN) 회원국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width=20%>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width=20%>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width=20%>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width=20%>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width=20%>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
||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 ||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 ||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 ||


파일:프랑코포니 심볼.svg
[[프랑코포니(국제기구)|
프랑스어권 국제기관>
{{{-2 Organisation internationale de la 'Francophonie'
]]
>{{{#!wiki style="display:inline-block; min-width:40%"
[ 참관국 목록 ]


대한민국 외교부 지정 여행유의 지역
[ 펼치기 · 접기 ]
#000,#fff {{{#!wiki style="margin: -5px -1px -11px" ||<-60><bgcolor=#666,#333><tablewidth=100%><tablebgcolor=#141435> {{{#white {{{-2 다음 지역들은 '''여행유의'''로 지정된 국가 및 지역 입니다. [br] 해당 지역에 계신 분들은 '''신변 안전 위험 요인'''을 '''숙지'''하고 '''대비'''하시기 바랍니다. [br] (기준일: 2023년 11월 24일) [br] 자세한 정보는 [[https://www.0404.go.kr/dev/issue_current.mofa|외교부 해외안전포털]]을 참고}}}}}} || ## ##동북아 ## ||<-60><bgcolor=#000080> '''{{{#fff 동북아시아}}}''' || ||<-15> [[마카오|[[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width=50px]]]][br][[마카오|{{{-2 {{{#ffffff 마카오}}}}}}]] ||<-15> [[일본|[[파일:일본 국기.svg|width=50px]]]][br][[일본|{{{-2 {{{#ffffff 일본}}}}}}]] ||<-15> [[중국|[[파일:중국 국기.svg|width=50px]]]][br][[중국|{{{-2 {{{#ffffff 중국}}}}}}]] ||<-15> [[홍콩|[[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width=50px]]]][br][[홍콩|{{{-2 {{{#ffffff 홍콩}}}}}}]]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마카오 특별행정구기.svg 마카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파일:일본_Japan202208.jpg
후쿠시마 원전 [[후쿠시마현#s-7.1|{{{#000,#e5e5e5 반경 30km 이내일본 정부 지정 피난지시구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파일:중국_China20230320.jpg
티베트 및 신장위구르자치구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3월 20일
파일:홍콩 특별행정구기.svg 홍콩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 || ||<-60><bgcolor=#222> || ## ##북미 ## ||<-60><bgcolor=#000080> '''{{{#fff 북미}}}''' || ||<-60> [[미국|[[파일:미국 국기.svg|width=50px]]]][br][[미국|{{{-2 {{{#ffffff 미국}}}}}}]]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
하외이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 ||<-60><bgcolor=#222> || ## ##중남미 ## ||<-60><bgcolor=#000080> '''{{{#fff 중남미}}}''' || ||<-60> '''{{{#fff ※해당없음}}}''' || ||<-60><bgcolor=#026ABF> || ||<-60><bgcolor=#222> || ## ##서남아시아 ## ||<-60><bgcolor=#000080> '''{{{#fff 서남아시아}}}''' || ||<-30> [[네팔|[[파일:네팔 국기.svg|width=50px]]]][br][[네팔|{{{-2 {{{#ffffff 네팔}}}}}}]] ||<-30> [[인도|[[파일:인도 국기.svg|width=50px]]]][br][[인도|{{{-2 {{{#ffffff 인도}}}}}}]]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네팔 국기.svg 네팔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
파일:인도 여행경보_2022.08.22.jpg
카슈미르, 카르길 시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 || ||<-60><bgcolor=#222> || ## ##동남아 ## ||<-60><bgcolor=#000080> '''{{{#fff 동남아시아}}}''' || ||<-15> [[동티모르|[[파일:동티모르 국기.svg|width=50px]]]][br][[동티모르|{{{-2 {{{#ffffff 동티모르}}}}}}]] ||<-15> [[라오스|[[파일:라오스 국기.svg|width=50px]]]][br][[라오스|{{{-2 {{{#ffffff 라오스}}}}}}]] ||<-15> [[말레이시아|[[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width=50px]]]][br][[말레이시아|{{{-2 {{{#ffffff 말레이시아}}}}}}]] ||<-15> [[베트남|[[파일:베트남 국기.svg|width=50px]]]][br][[베트남|{{{-2 {{{#ffffff 베트남}}}}}}]] || ||<-15> [[인도네시아|[[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width=50px]]]][br][[인도네시아|{{{-2 {{{#ffffff 인도네시아}}}}}}]] ||<-15> [[캄보디아|[[파일:캄보디아 국기.svg|width=50px]]]][br][[캄보디아|{{{-2 {{{#ffffff 캄보디아}}}}}}]] ||<-15> [[태국|[[파일:태국 국기.svg|width=50px]]]][br][[태국|{{{-2 {{{#ffffff 태국}}}}}}]] ||<-15> [[필리핀|[[파일:필리핀 국기.svg|width=50px]]]][br][[필리핀|{{{-2 {{{#ffffff 필리핀}}}}}}]]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
파일:라오스 여행경보_2023.11.24.jpg
골든트라이앵글 경제특구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
파일:말레이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사바주 동부도서 지역 및 동부해안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
파일:인도네시아 여행경보_2022.08.22.jpg
서파루아, 파푸아, 말루쿠, 아체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
파일:캄보디아 여행경보_2022.08.22.jpg
프레아 비히어, 욷더 민체이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
파일:태국 여행경보_2022.08.22.jpg
송클라 주 남부 말레이시아 국경지역, 파타니 주, 나라티왓 주, 얄라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
파일:필리핀여행경보_221210.jpg
수빅시, 보라카이섬, 보홀섬, 세부 막탄섬(라푸라푸시)
2022년 11월 29일
}}} || ||<-60><bgcolor=#222> || ## ##중동 ## ||<-60><bgcolor=#000080> '''{{{#fff 중동·북아프리카}}}''' || ||<-15> [[요르단|[[파일:요르단 국기.svg|width=50px]]]][br][[요르단|{{{-2 {{{#ffffff 요르단}}}}}}]] ||<-15> [[이집트|[[파일:이집트 국기.svg|width=50px]]]][br][[이집트|{{{-2 {{{#ffffff 이집트}}}}}}]] ||<-15> [[쿠웨이트|[[파일:쿠웨이트 국기.svg|width=50px]]]][br][[쿠웨이트|{{{-2 {{{#ffffff 쿠웨이트}}}}}}]] ||<-15> [[튀니지|[[파일:튀니지 국기.svg|width=50px]]]][br][[튀니지|{{{-2 {{{#ffffff 튀니지}}}}}}]]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요르단 국기.svg 요르단
파일:요르단 여행경보_2022.11.29.jpg
시리아 및 이라크 접경10KM지역을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
파일:이집트 여행경보_2023.08.04.jpg
다합•샴엘셰이크지역, 카이로 등 나일강 유역 도시지역, 마르트루~지중해 유역
2023년 8월 4일
파일:쿠웨이트 국기.svg 쿠웨이트
파일:쿠웨이트 여행경보_2022.11.29.jpg
이라크 접경지역, Mutla'a, Jeleeb Al-Shuyoukh, Khaitan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
파일:튀니지 여행경보_2023.03.07.jpg
튀니스와 수도권 지역/비제르트 주/나불 주/수스 주/모나스티르 주 마흐디아 주/스팍스 주/제르바 주
2023년 3월 7일
}}} || ||<-60><bgcolor=#222> || ## ##아프리카 ## ||<-60><bgcolor=#000080> '''{{{#fff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 ||<-12> [[말라위|[[파일:말라위 국기.svg|width=50px]]]][br][[말라위|{{{-2 {{{#ffffff 말라위}}}}}}]] ||<-12> [[모잠비크|[[파일:모잠비크 국기.svg|width=50px]]]][br][[모잠비크|{{{-2 {{{#ffffff 모잠비크}}}}}}]] ||<-12> [[상투메 프린시페|[[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width=50px]]]][br][[상투메 프린시페|{{{-2 {{{#ffffff 상투메 프린시페}}}}}}]] ||<-12> [[잠비아|[[파일:잠비아 국기.svg|width=50px]]]][br][[잠비아|{{{-2 {{{#ffffff 잠비아}}}}}}]] ||<-12> [[짐바브웨|[[파일:짐바브웨 국기.svg|width=50px]]]][br][[짐바브웨|{{{-2 {{{#ffffff 짐바브웨}}}}}}]]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말라위 국기.svg 말라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모잠비크 국기.svg 모잠비크
파일:모잠비크 여행경보_2023.11.24.jpg
카보델가도 주를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상투메 프린시페 국기.svg 상투메 프린시페
전 지역
2022년 4월 13일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 ||<-60><bgcolor=#222> || ## ## 중앙아 ## ||<-60><bgcolor=#000080> '''{{{#fff 러시아·중앙아시아}}}''' || ||<-30> [[타지키스탄|[[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width=50px]]]][br][[타지키스탄|{{{-2 {{{#ffffff 타지키스탄}}}}}}]] ||<-30> [[투르크메니스탄|[[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width=50px]]]][br][[투르크메니스탄|{{{-2 {{{#ffffff 투르크메니스탄}}}}}}]]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
파일:타지키스탄 여행경보_2020.01.25.jpg
아프가니스탄 국경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
전 지역
2023년 8월 4일
}}} || ||<-60><bgcolor=#222> || ## ## 유럽 ## ||<-60><bgcolor=#000080> '''{{{#fff 유럽}}}''' || ||<-12> [[그리스|[[파일:그리스 국기.svg|width=50px]]]][br][[그리스|{{{-2 {{{#ffffff 그리스}}}}}}]] ||<-12> [[덴마크|[[파일:덴마크 국기.svg|width=50px]]]][br][[덴마크|{{{-2 {{{#ffffff 덴마크}}}}}}]] ||<-12> [[리투아니아|[[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width=50px]]]][br][[리투아니아|{{{-2 {{{#ffffff 리투아니아}}}}}}]] ||<-12> [[리히텐슈타인|[[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width=50px]]]][br][[리히텐슈타인|{{{-2 {{{#ffffff 리히텐슈타인}}}}}}]] ||<-12> [[몰타|[[파일:몰타 국기.svg|width=50px]]]][br][[몰타|{{{-2 {{{#ffffff 몰타}}}}}}]] || ||<-12> [[벨기에|[[파일:벨기에 국기.svg|width=50px]]]][br][[벨기에|{{{-2 {{{#ffffff 벨기에}}}}}}]] ||<-12>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width=50px]]]][br][[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2 {{{#ffffff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12> [[산마리노|[[파일:산마리노 국기.svg|width=50px]]]][br][[산마리노|{{{-2 {{{#ffffff 산마리노}}}}}}]] ||<-12> [[스위스|[[파일:스위스 국기.svg|width=50px]]]][br][[스위스|{{{-2 {{{#ffffff 스위스}}}}}}]] ||<-12> [[스페인|[[파일:스페인 국기.svg|width=50px]]]][br][[스페인|{{{-2 {{{#ffffff 스페인}}}}}}]] || ||<-12> [[슬로베니아|[[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width=50px]]]][br][[슬로베니아|{{{-2 {{{#ffffff 슬로베니아}}}}}}]] ||<-12> [[아이슬란드|[[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width=50px]]]][br][[아이슬란드|{{{-2 {{{#ffffff 아이슬란드}}}}}}]] ||<-12> [[아제르바이잔|[[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width=50px]]]][br][[아제르바이잔|{{{-2 {{{#ffffff 아제르바이잔}}}}}}]] ||<-12> [[알바니아|[[파일:알바니아 국기.svg|width=50px]]]][br][[알바니아|{{{-2 {{{#ffffff 알바니아}}}}}}]] ||<-12> [[영국|[[파일:영국 국기.svg|width=50px]]]][br][[영국|{{{-2 {{{#ffffff 영국}}}}}}]] || ||<-12> [[오스트리아|[[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width=50px]]]][br][[오스트리아|{{{-2 {{{#ffffff 오스트리아}}}}}}]] ||<-12> [[이탈리아|[[파일:이탈리아 국기.svg|width=50px]]]][br][[이탈리아|{{{-2 {{{#ffffff 이탈리아}}}}}}]] ||<-12> [[튀르키예|[[파일:튀르키예 국기.svg|width=50px]]]][br][[튀르키예|{{{-2 {{{#ffffff 튀르키예}}}}}}]] ||<-12> [[폴란드|[[파일:폴란드 국기.svg|width=50px]]]][br][[폴란드|{{{-2 {{{#ffffff 폴란드}}}}}}]] ||<-12> [[프랑스|[[파일:프랑스 국기.svg|width=50px]]]][br][[프랑스|{{{-2 {{{#ffffff 프랑스}}}}}}]]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
전 지역
2022년 4월 14일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
전 지역
2022년 8월 22일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산마리노 국기.svg 산마리노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
전 지역
2023년 3월 7일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
전 지역
2022년 4월 13일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
파일:아제르바이잔 여행경보_2023.04.15.jpg
나고르노-카라바흐 및 인근 7개 지역 아그담(Aghdam), 피줄리(Fizuli), 자브라일(Jabrayil), 장길란(Zanglian), 구바들리(Guabadly), 라친(Lachin), 켈바자르(Kelbajar)), 나흐치반 아르메니아 접경지역 및 아르메니아 접경 5km 구간을 제외한 전 지역
2023년 4월 15일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튀르키예 국기.svg 튀르키예
파일:튀르키예 여행경보_2023.02.07.jpg
킬리스, 가지안텝, 샨르우르파, 마르딘, 시르낙, 하카리, 반, 비트리스, 시르트, 바트만, 디야르바크르, 빙골, 툰셀리, 엘라지, 시리아의 국경 10km 이내 지역(하타이) 및 카흐라만마라쉬, 말라티야, 아드야만, 오스마니예, 아다나, 하타이를 전 지역
2023년 2월 7일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
파일:폴란드 여행경보_2022.11.29.jpg
우크라이나 접경 30km 지역을 제외한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
전 지역
2022년 11월 29일
}}} || ||<-60><bgcolor=#222> || ## ## 오세아니아 ## ||<-60><bgcolor=#000080> '''{{{#fff 오세아니아}}}''' || ||<-15> [[나우루|[[파일:나우루 국기.svg|width=50px]]]][br][[나우루|{{{-2 {{{#ffffff 나우루}}}}}}]] ||<-15> [[마셜 제도|[[파일:마셜 제도 국기.svg|width=50px]]]][br][[마셜 제도|{{{-2 {{{#ffffff 마셜 제도}}}}}}]] ||<-15> [[미크로네시아 연방|[[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width=50px]]]][br][[미크로네시아 연방|{{{-2 {{{#ffffff 미크로네시아 연방}}}}}}]] ||<-15> [[피지|[[파일:피지 국기.svg|width=50px]]]][br][[피지|{{{-2 {{{#ffffff 피지}}}}}}]] || ||<-60><^|1><bgcolor=#026ABF><height=32> {{{#!wiki style="margin: -0px -10px -5px"
[ 상세 내용 ]
국가·지역·지정일자지도
파일:나우루 국기.svg 나우루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미크로네시아 연방 국기.svg 미크로네시아 연방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
전 지역
2023년 11월 24일
}}} || ||<-60><bgcolor=#222> || ||<-60><bgcolor=#fefefe,#454545> {{{-3 {{{#000,#fff [[틀:여행금지 목록|{{{#000 여행금지국가}}}]] · [[틀:출국권고 목록|{{{#C82613 출국권고국가}}}]] · [[틀:여행자제 목록|{{{#eeae00 여행자제국가}}}]] · [[틀:여행유의 목록|{{{#4444ff 여행유의국가}}}]]}}}}}} ||}}}


{{{#!wiki style="display: 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margin-right:10px; border:1px solid #fff"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wiki style="display:inline-flex; vertical-align:middle; text-align: left"
캄보디아
관련 문서
<^|1><height=34><bgcolor=#ffffff,#1f2023>
[ 펼치기 · 접기 ]

}}}


캄보디아 왕국
[1] | Kingdom of Cambodia
파일:캄보디아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장.svg
국기국장

국가, 종교, 국왕
[2]
상징
국가장엄한 왕국
(, Nôkôr Réach)
국화수련
역사
802년 크메르 제국 건국
1953년 프랑스로부터 독립
1970년 군부 쿠데타
1975년 크메르 루주 집권
1979년 베트남-캄보디아 전쟁
1991년 파리 평화조약
1997년 군부 쿠데타
지리
[ 펼치기 · 접기 ]
면적181,035km²
수도
최대도시
프놈펜()[1]
내수면 비율2.5%
접경국
파일:태국 국기.svg

,
파일:라오스 국기.svg

,
파일:베트남 국기.svg

[1] 크메르어 발음은 '프눔 쁜[pʰnum ˈpɨɲ\]'에 가깝다.
인문환경
[ 펼치기 · 접기 ]
인구총인구17,121,847명(2024년) | 세계 72위
인구밀도87명/km²(2019년) / 세계 96위
민족 구성크메르족 97%
점족 2.4%, 베트남인 0.2%
중국인 0.2% 등
출산율세계은행 자료 2.50명(2020년)[1] CIA 자료 2.24명(2022년)[2]
공용 언어크메르어
공용 문자크메르 문자
종교상좌부 불교 95%
군대캄보디아군
하위 행정구역
[ 펼치기 · 접기 ]
성(카엣)25개
현(쓰록)162개
정치
[ 펼치기 · 접기 ]
정치체제입헌군주제, 의원내각제, 단일국가
민주주의 지수3.18점, 권위주의 (2022년)
(167개국 중 121위)[1]
국왕
(국가원수)
노로돔 시아모니
총리
(정부수반)
훈 마넷
[1] 훈 센 일가의 독재체재가 유지되고 있음에도 2022년에 순위가 무려 13계단 상승했다.
경제
[ 펼치기 · 접기 ]
경제체제시장경제
GDP명목 GDP266억$(2019)
GDP(PPP)766억$(2019)
1인당 GDP명목 GDP$1,621(2019) / 세계 146위
GDP(PPP)$4,645(2019) / 세계 139위
국부$530억 / 세계 97위(2019년)
신용 등급B+(S&P)
화폐공식 화폐캄보디아 리엘[1] (KHR)
ISO 4217KHR
[1] 다만 실질적으로는 미국 달러가 많이 쓰이는데, 생필품 가격은 미화로 책정되어 표시되고 값을 리엘 화로 표시하는 경우에도 미국 달러와의 환율에 따르고 있을 정도.
단위
[ 펼치기 · 접기 ]
외교
[ 펼치기 · 접기 ]
대한수교현황대한민국
1970년 5월 18일 수교
1975년 4월 5일 단교[1]
1997년 10월 30일 재수교

북한
1964년 12월 20일 수교
무비자 입국양국 모두 불가능
한국인은 캄보디아 입국시 도착비자 발급 가능
주한대사관서울특별시 용산구 대사관로20길 12
[1] 크메르 루주 정권 수립에 의한 단교
ccTLD
.kh
국가 코드
855, KH
국제전화 코드
+855
여행경보
여행유의여행자제 지정 지역을 제외한 전지역
여행자제욷더민체이, 프레아비히어

위치
파일:캄보디아 위치.svg
파일:external/blog.joins.com/534e6e2fd257b.jpg


1. 개요
2. 상징
2.1. 국호
2.2. 국기
2.4. 국가
3. 지리
5. 정치
5.1. 국왕
5.2. 정당
7. 교통
10. 문화
11. 관광
12. 언어
13. 스포츠
14. 창작물에서



1. 개요[편집]


캄보디아는 동남아시아 인도차이나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입헌군주국으로 수도프놈펜이다. 세계 최빈국 중 하나로,[3] 1999년에야 비로소 공식적으로 내전이 끝났다. 그러나 앙코르 와트로 상징되는 영화로운 크메르 제국의 후예라는 점이 캄보디아의 정체성을 이룬다. 1993년에 입헌군주제를 채택하여 노로돔 왕조의 국왕이 프놈펜의 왕궁에 머무르기는 하지만, 일본이나 영국처럼 실권은 없으며, 총리가 국정 운영을 맡는다.


2. 상징[편집]



2.1. 국호[편집]


정식 국호(國號)는 크메르어로 '깜뿌찌어 왕국( / Preăh Réachéanachâkr Kâmpŭchéa)'이다. 약칭은 '쁘라떼 깜뿌찌어( / Prâtés Kâmpŭchéa)'나 '깜뿌찌어( / Kâmpŭchéa)'라고 한다. 캄보디아의 공용어는 크메르어()이며, 주민족은 크메르인()으로 부른다. '크메르'는 영어·프랑스어 표현인 Khmer를 따른 표기이고, 크메르어 구어 발음으로는 '[kʰmae](크마에)'라고 한다. 따라서 '크메르인의 땅'이라는 의미의 '스록 크마에( / Srŏk Khmêr)'라고도 한다.

한국어의 '캄보디아'라는 국호는 영어 명칭인 캠보디아(Cambodia)에서 유래한다. 이 명칭의 직접적인 연원은 캄보디아의 프랑스어 명칭인 캉보주(Cambodge)이며, 산스크리트어로 캄보디아를 가리키는 캄보자(कमबज / kāmboja)에서 유래했다. 크메르어로 캄보디아[4]를 가리키는 깜뿌찌어도 동일한 어원이다. 이원복 교수의 교양만화 《가로세로 세계사》 2권에선 1500년경 포르투갈 측이 당시 크메르 제국 국왕이던 캄부에서 따왔다고 하나, 사실무근이다. 북한에서는 일본어 칸보지아(カンボジア)에서 유래한 캄보쟈로 부른다.[5] 구한말에는 중국식 국호인 간포채(柬埔寨)[6]나 독자적으로 만든 한자국호인 금변국(金邊國)으로 불렸었다. 인근 국가인 베트남은 원음에 가깝게 깜뿌찌아(Campuchia)라고 부른다.

30여년 사이에 캄보디아(, Kingdom of Cambodia: 19531970, 1993), 크메르(, Khmer Republic: 19701975), 캄푸치아(, Kampuchea: 19751993)와 같이 대외용 국호를 자주 바꾸었다. 캄보디아와 캄푸치아는 코리아와 고려의 관계처럼 사실 같은 국호이다.


2.2. 국기[편집]


파일:크메르 공화국 국기.svg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파일:캄푸치아 인민공화국 국기.svg파일:캄보디아국 국기.svg파일:캄보디아 국기.svg
크메르 공화국 시절.
1970년-1975년 동안 사용.
크메르 루주 치하의 민주 캄푸치아 시절.
1975년-1979년 동안 사용.
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시절.
1979년-1989년 동안 사용.
캄보디아국 시절 개정된 국기.
1989년-1993년 사용.
현재 사용하는 국기.
1993년-현재

현재의 캄보디아의 국기는 캄보디아 왕국 시절이었던 1948년부터 1970년까지 사용되었던 국기를 1993년 민주정부 수립과 함께 다시 채택한 것이다. 파랑색, 빨강색, 파랑색으로 구성된 세 줄의 가로 줄무늬에 빨강색 줄무늬 안에는 하얀색 앙코르 와트가 그려져 있다. 국기의 비율은 2:3이며, 줄무늬 비율은 1:2:1이다.

파란색은 왕실과 캄보디아의 자연과 문화적 자원의 풍부함, 붉은색은 민족과 캄보디아에 대한 희생, 흰색은 불교를, 앙코르 와트는 선조들의 위대한 문명을 의미한다.

사람이 국기를 똑같이 따라 그리기가 불가능한 나라 중 하나이다. 폴 포트 치하에 있던 시대의 국기(왼쪽에서 두 번째)가 가장 그리기 쉽다. 베트남 영향하에 있었던 시절부터 갈수록 복잡해지다가 왕정이 복고되면서 다시 힘들어졌다.


2.3. 국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국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4. 국가[편집]



국가(國歌)
[ 펼치기 · 접기 ]
파일:가나 국기.svg
가나God Bless Our Homeland Ghana하느님 우리 조국 가나를 축복하소서
파일:가봉 국기.svg
가봉La Concorde조화
파일:과테말라 국기.svg
과테말라Himno Nacional de Guatemala과테말라 국가
파일:그리스 국기.svg
그리스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자유의 찬가
파일:기니비사우 국기.svg
기니비사우Esta É a Nossa Pátria Bem Amada우리의 사랑스러운 조국
파일:나이지리아 국기.svg
나이지리아Arise Oh Compatriots, Nigeria’s Call Obey일어나라 동포들이여
파일: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기.svg
남아프리카 공화국National Anthem of South Africa
Nasionale lied van Suid-Afrika
남아프리카 공화국 국가
파일:네덜란드 국기.svg
네덜란드Het Wilhelmus빌럼 공의 노래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노르웨이Ja, vi elsker dette landet그래, 우리는 이 땅을 사랑한다
파일:뉴질랜드 국기.svg
뉴질랜드God Defend New Zealand하느님, 뉴질랜드를 수호하소서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대한민국애국가애국가
파일:덴마크 국기.svg
덴마크Der er et yndigt land사랑스러운 땅에서
파일:독일 국기.svg
독일 (舊 서독)Deutschlandlied독일의 노래
파일:동티모르 국기.svg
동티모르Pátria조국
파일:라오스 국기.svg
라오스ເພງຊາດລາວ라오스의 국가
파일:라트비아 국기.svg
라트비아Dievs, svētī Latviju!하느님, 라트비아를 축복하소서!
파일:러시아 국기.svg
러시아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оссийской Федерации러시아 연방 국가
파일:레바논 국기.svg
레바논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لبناني레바논의 국가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루마니아Deşteaptă-te române!루마니아인이여, 깨어나라!
파일:룩셈부르크 국기.svg
룩셈부르크Ons Heemecht우리의 조국
파일:르완다 국기.svg
르완다Rwanda nziza아름다운 르완다
파일:리비아 국기.svg
리비아ليبيا ليبيا ليبيا리비아, 리비아, 리비아
파일:리투아니아 국기.svg
리투아니아Tautiška giesmė국가 찬가
파일:리히텐슈타인 국기.svg
리히텐슈타인Oben am jungen Rhein저 라인 강 위쪽으로
파일:마셜 제도 국기.svg
마셜 제도Forever Marshall Islands마셜 제도여 영원하라
파일:말레이시아 국기.svg
말레이시아Negaraku조국
파일:멕시코 국기.svg
멕시코Himno Nacional Mexicano멕시코 국가
파일:모나코 국기.svg
모나코Hymne Monégasque모네가스크 찬가
파일:모로코 국기.svg
모로코النشيد الشريف샤리프 찬가
파일:모리타니 국기.svg
모리타니نشيد وطني موريتاني아버지의 나라는 영예로운 선물
파일:몬테네그로 국기.svg
몬테네그로Oj, Svijetla Majska Zoro
Ој, свијетла мајска зоро
오, 5월의 밝은 새벽이여
파일:몰도바 국기.svg
몰도바Limba noastră우리의 언어
파일:몰타 국기.svg
몰타L-Innu Malti몰타 찬가
파일:몽골 국기.svg
몽골Монгол улсын төрийн дуулал몽골의 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The Star Spangled Banner별이 박힌 깃발
파일:미얀마 국기.svg
미얀마ကမ္ဘာမကြေ세상이 끝날 때까지
파일:바티칸 국기.svg
바티칸Hymnus Pontificius교황 찬가 행진곡
파일:방글라데시 국기.svg
방글라데시“আমার সোনার বাংলা나의 황금빛 벵골
파일:베네수엘라 국기.svg
베네수엘라Gloria al bravo pueblo용감한 이들에게 영광을
파일:베트남 국기.svg
베트남Tiến quân ca진군가
파일:벨기에 국기.svg
벨기에La Brabançonne
De Brabançonne
브라반트의 노래
파일:벨라루스 국기.svg
벨라루스Дзяржаўны гімн Рэспублікі Беларусь우리는 벨라루스인
파일: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국기.svg
보스니아
헤르체고비나
Државна химна Босне и Херцеговине
Državna himna Bosne i Hercegovine
간주곡
파일:부탄 국기.svg
부탄འབྲུག་ཙན་དན་전룡의 왕국
파일:북마케도니아 국기.svg
북마케도니아Денес Над Македонија마케도니아의 오늘을 넘어서
파일:북한 국기.svg
북한애국가애국가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불가리아Мила Родино친애하는 조국
파일:브라질 국기.svg
브라질Hino Nacional Brasileiro브라질 국가
파일:브루나이 국기.svg
브루나이الله فليهاراكن سلطن
Allah Peliharakan Sultan
술탄에게 신의 가호가 있기를
파일:사모아 국기.svg
사모아O le Fu’a o le Sa’olotoga o Samoa자유의 깃발
파일:사우디아라비아 국기.svg
사우디아라비아عاش المليك군주를 찬양하라
파일:세르비아 국기.svg
세르비아Боже правде정의의 하느님
파일:솔로몬 제도 국기.svg
솔로몬 제도God Save Our Solomon Islands하느님, 우리의 솔로몬 제도를
지켜 주시옵소서
파일:수리남 국기.svg
수리남God zij met ons Suriname하느님께서 수리남과 함께 하신다
파일:스리랑카 국기.svg
스리랑카ශ්‍රී ලංකා මාතා
ஸ்ரீ லங்கா தாயே
어머니 스리랑카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웨덴Du Gamla, Du Fria오래된 그대, 자유로운 그대
파일:스위스 국기.svg
스위스Rufst du, mein Vaterland스위스 찬가
파일:스페인 국기.svg
스페인Himno Nacional Español국왕 행진곡
파일:슬로바키아 국기.svg
슬로바키아Nad Tatrou sa blýska타트라 산 위에 번개가 쳐도
파일:슬로베니아 국기.svg
슬로베니아Zdravljica축배
파일:시리아 국기.svg
시리아حُمَاةَ الدِّيَارِ조국의 파수꾼
파일:싱가포르 국기.svg
싱가포르Majulah Singapura전진하는 싱가포르
파일:아랍에미리트 국기.svg
아랍에미리트النشيد الوطني الاماراتي내 조국이여 영원하라
파일:아르메니아 국기.svg
아르메니아Մեր Հայրենիք우리의 조국
파일:아르헨티나 국기.svg
아르헨티나Himno Nacional Argentino아르헨티나 국가
파일:아이슬란드 국기.svg
아이슬란드Lofsöngur찬가
파일:아이티 국기.svg
아이티Hymne national d'Haïti데살린의 노래
파일:아일랜드 국기.svg
아일랜드Amhrán na bhFiann전사의 노래
파일:아제르바이잔 국기.svg
아제르바이잔Azərbaycan Marşı아제르바이잔 행진곡
파일:아프가니스탄 국기.svg
아프가니스탄دا د باتورانو کور이 곳은 용감한 자들의 고향이라네!
파일:안도라 국기.svg
안도라El Gran Carlemany위대한 샤를마뉴
파일:알바니아 국기.svg
알바니아Hymni i Flamurit깃발의 찬가
파일:알제리 국기.svg
알제리قسما맹세
파일:앙골라 국기.svg
앙골라Angola Avante앙골라여 전진하라
파일:에스토니아 국기.svg
에스토니아Mu isamaa, mu õnn ja rõõm나의 조국, 나의 행복과 기쁨
파일:에콰도르 국기.svg
에콰도르¡Salve, Oh Patria!만세, 오 조국이여!
파일:영국 국기.svg
영국God Save the Queen하느님, 여왕 폐하를 지켜주소서
파일:예멘 국기.svg
예멘الجمهورية المتحدة연합 공화국
파일:오스트리아 국기.svg
오스트리아Bundeshymn산의 나라, 강의 나라
파일:우간다 국기.svg
우간다Oh Uganda, Land of Beauty오 우간다, 아름다움의 나라여
파일:우루과이 국기.svg
우루과이Himno Nacional de Uruguay동방인들이여. 조국이 아니면 죽음을.
파일:우즈베키스탄 국기.svg
우즈베키스탄Oʻzbekiston Respublikasining Davlat Madhiyasi우즈베키스탄 공화국의 국가
파일:우크라이나 국기.svg
우크라이나Ще не вмерла України우크라이나의 영광은 사라지지 않으리
파일:이란 국기.svg
이란سرود ملی جمهوری اسلامی ایران이란 이슬람 공화국 국가
파일:이라크 국기.svg
이라크موطني나의 조국
파일:이스라엘 국기.svg
이스라엘הַתִּקְוָה희망
파일:이집트 국기.svg
이집트بلادي بلادي بلادي나의 조국, 나의 사랑과 마음은 그대를 위해
파일:이탈리아 국기.svg
이탈리아Il Canto degli Italiani마멜리 찬가
파일:인도 국기.svg
인도जन गण मन모든 국민의 마음
파일:인도네시아 국기.svg
인도네시아Indonesia Raya위대한 인도네시아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君が代임금의 치세
파일:잠비아 국기.svg
잠비아Lumbanyeni Zambia일어나 자랑스럽고 자유로운 잠비아를 노래하자
파일:조지아 국기.svg
조지아თავისუფლება자유
파일:대만 국기.svg
대만中華民國國歌중화민국 국가
中華民國國旗歌중화민국 국기가
파일:중국 국기.svg
중화인민공화국义勇军进行曲의용군 진행곡
파일:짐바브웨 국기.svg
짐바브웨Kalibusiswe Ilizwe leZimbabwe짐바브웨의 대지에 축복을
파일:체코 국기.svg
체코Kde domov můj?나의 조국은 어디에?
파일:칠레 국기.svg
칠레Himno Nacional de Chile칠레 국가
파일:카자흐스탄 국기.svg
카자흐스탄Менің Қазақстаным나의 카자흐스탄
파일:카타르 국기.svg
카타르السلام الأميري아미르에게 평화를
파일:캄보디아 국기.svg
캄보디아នគររាជ왕국
파일:캐나다 국기.svg
캐나다O Canada
Ô Canada
오 캐나다
파일:코소보 국기.svg
코소보Европа유럽
파일:코스타리카 국기.svg
코스타리카Himno Nacional de Costa Rica코스타리카 국가
파일:콜롬비아 국기.svg
콜롬비아Himno Nacional de la República de Colombia콜롬비아 공화국 국가
파일:콩고민주공화국 국기.svg
콩고민주공화국Debout Congolais콩고인들이여 일어나라
파일:쿠바 국기.svg
쿠바La Bayamesa바야모 행진곡
파일:크로아티아 국기.svg
크로아티아Lijepa naša domovino아름다운 우리 조국
파일:키르기스스탄 국기.svg
키르기스스탄Кыргыз Республикасынын Мамлекеттик Гимни키르기즈 공화국 국가
파일:키프로스 국기.svg
키프로스Ύμνος εις την Ελευθερίαν자유의 찬가
파일:타지키스탄 국기.svg
타지키스탄Суруди Миллӣ국가
파일:탄자니아 국기.svg
탄자니아Mungu ibariki Afrika주여, 아프리카를 축복하소서
파일:터키 국기.svg
터키İstiklâl Marşı독립행진곡
파일:태국 국기.svg
태국เพลงชาติไทย태국 국가
파일:토고 국기.svg
토고Terre de nos aïeux우리 조상의 땅
파일:투르크메니스탄 국기.svg
투르크메니스탄Garaşsyz, Bitarap Türkmenistanyň döwlet gimni독립, 중립, 투르크메니스탄의 국가
파일:튀니지 국기.svg
튀니지حماة الحمى조국의 수호자
파일:파나마 국기.svg
파나마Himno Istemño지협의 노래
파일:파푸아뉴기니 국기.svg
파푸아뉴기니O Arise, All You Sons오, 모든 아들들아 일어나라
파일:파키스탄 국기.svg
파키스탄قومی ترانہ국가
파일:팔라우 국기.svg
팔라우Belau rekid우리들의 팔라우
파일:팔레스타인 국기.svg
팔레스타인فدائي‎피다이
파일:페루 국기.svg
페루Himno Nacional del Perú페루 국가
파일:포르투갈 국기.svg
포르투갈A Portuguesa포르투갈의 노래
파일:폴란드 국기.svg
폴란드Mazurek Dąbrowskiego돔브로프스키의 마주레크
파일:프랑스 국기.svg
프랑스La Marseillaise마르세유 행진곡
파일:피지 국기.svg
피지Meda Dau Doka피지에 축복이 있기를
파일:핀란드 국기.svg
핀란드Maamme우리의 땅
파일:필리핀 국기.svg
필리핀Lupang Hinirang선택된 땅
파일:헝가리 국기.svg
헝가리Himnusz찬가
파일:호주 국기.svg
호주Advance Australia Fair아름다운 오스트레일리아여 전진하라
미승인국의 국가
파일: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 국기.svg
북키프로스 터키 공화국İstiklâl Marşı독립행진곡
파일:소말릴란드 국기.svg
소말릴란드Samo ku waar오래 평화롭게
파일:아르차흐 공화국 국기.svg
아르차흐 공화국Ազատ ու անկախ Արցախ아르차흐는 자유와 독립을 원하리
파일:도네츠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도네츠크 인민공화국Славься Республика, Наша Народная공화국에게 영광을, 우리 국민에게 영광을
파일: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기.svg
루간스크 인민공화국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Луганская Народная Республика루간스크 인민공화국 국가
파일:트란스니스트리아 국기.svg
트란스니스트리아Слэвитэ сэ фий, Нистрене Slăvită să fii, Nistrene 우리는 트란스니스트리아의 찬가를 부르네
자치지역의 국가
파일:그린란드 기.svg
그린란드Nunarput utoqqarsuanngoravit우리의 오랜 땅이여
파일:바시코르토스탄 국기.png
바시코르토스탄Башҡортостан Республикаһыныӊ Дәүләт гимны바시코르토스탄 공화국의 국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Buryatia.svg.png
부랴티야 공화국Песня о родной земле우리가 태어난 땅에 대한 노래
파일:북아일랜드 국기.svg
북아일랜드Londonderry Air런던데리의 아리아
파일:북오세티야 국기.png
북오세티야 공화국Цӕгат Ирыстоны паддзахадон гимн
북오세티야 공화국의 국가 ||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50px-Flag_of_Serbia_%281992-2004%29.svg.png
스릅스카 공화국Моја Република나의 공화국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20px-Flag_of_Sakha.svg.png
사하 공화국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Республики Саха사하 공화국의 국가
파일:스코틀랜드 국기.svg
스코틀랜드Flower of Scotland스코틀랜드의 꽃
파일:1280px-Flag_of_Adygea.svg.png
아디게야 공화국Адыгэ Республикэм и Гимн아디게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아루바 기.svg
아루바Aruba Dushi Tera아루바, 아름다운 땅이여
파일:웨일스 국기.svg
웨일스Hen Wlad Fy Nhadau나의 아버지의 땅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300px-Flag_of_the_Chechen_Republic.svg.png
체첸 공화국 || Шатлакхан Илли || 샤틀락의 노래 ||
파일:카탈루냐 기.svg
카탈루냐Els Segadors수확자들
파일:칼미키야 공화국 국기.png
칼미키야 공화국Хальмг Таңһчин частр칼미키야 공화국의 국가
파일:퀴라소 기.svg
퀴라소Himno di Kòrsou퀴라소 국가
파일:타타르스탄 공화국 국기.svg
타타르스탄 공화국Татарстан Республикасы Дәүләт гимны타타르스탄 공화국의 국가
파일:투바 공화국 국기.png투바 공화국Мен – тыва мен나는 투바인이다
파일:페로 제도 기.svg
페로 제도Tú alfagra land mítt그대, 나의 가장 아름다운 땅
국가로서의 지위를 상실한 노래
파일:나치 독일 국기.svg
나치 독일Horst-Wessel-Lied호르스트 베셀의 노래
파일:남아프리카 연방 국기.svg
남아프리카 연방Die Stem van Suid-Afrika남아프리카의 외침
파일:대한제국 국기.svg
대한제국大韓帝國愛國歌대한제국 애국가
파일:독일 제국 국기.svg
독일 제국Heil dir im Siegerkranz그대에게 승리의 왕관을
파일:동독 국기.svg
동독Auferstanden aus Ruinen폐허에서 부활하여
파일:러시아 제국 국기.svg
러시아 제국Гром победы, раздавайся!승리의 천둥이여, 울려라!
Молитва русского народа러시아인의 기도
Боже, Царя храни!하느님, 차르를 보호하소서!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00px-Flag_of_Rhodesia.svg.png
로디지아Rise O Voices of Rhodesia로디지아의 목소리를 상승시키리
파일:대리비아 아랍 사회주의 인민 자마히리야국 국기.svg
리비아 자마히리야الله اكبر신은 위대하다네
파일:만주국 국기.svg
만주국滿洲國建國歌만주국 건국가
파일:민주 캄푸치아 국기.svg
민주 캄푸치아ដប់ប្រាំពីរមេសាមហាជោគជ័យ영광스러운 4월 17일
파일:베트남 공화국 국기.svg
베트남 공화국Tiếng Gọi Công Dân공민에게 고함
파일:비시 프랑스 대통령기.svg
비시 프랑스Maréchal, nous voilà !원수여 우린 여기에 있습니다
파일:소련 국기.svg
소련Интернационал인터내셔널가
Государственный гимн СССР소비에트 연방 찬가
파일:스페인 제2공화국 국기.svg
스페인 제2공화국Himno de Riego리에고 찬가
파일: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 국기.svg
슬로베니아 사회주의 공화국Naprej, zastava slave영광의 깃발을 향해
파일: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 국기.svg
아프가니스탄 이슬람 공화국ملی سرود국가
파일:아프가니스탄 민주 공화국 국기(1987–1992).svg
아프가니스탄 민주공화국ملی سرود국가
파일:오스만 제국 국기.svg
오스만 제국문서 참조문서 참조
파일: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 국기.svg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Kaiserhymne황제 찬가
파일: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 국기.svg
유고슬라비아 사회주의 연방공화국Хеј Словени슬라브족이여
파일:팔라비 왕조 국기.png
이란 팔레비 왕조سرود شاهنشاهی ایران황례포
파일:시리아 국기.svg
아랍 연합 공화국والله زمان يا سلاحي오 나의 무기여, 오랜 시간이 지나왔구나
파일:이탈리아 왕국 국기.svg
이탈리아 왕국Marcia Reale왕의 행진곡
파일:이탈리아 사회 공화국 국기.png
이탈리아 사회 공화국Giovinezza청춘
파일:중화민국 북양정부 국기.svg
중화민국 북양정부卿雲歌경운가
파일:청나라 국기.svg
청나라鞏金甌공금구
頌龍旗송룡기
파일:34eb222edb2f63062f6eabf8daec52cad80dca7320038e9e4ae6e8343ad0f55fc5ff445c4b04f6270f71ca0b8c2338d83df2a676a2c402ab7e4dcc255452f43fb8cc4f1149ee3aa0cfc6fd7f2b2e7de33795b01ca761a663fa33d763aa007f91.png
캄푸치아 인민공화국ចម្រៀងនៃសាធារណរដ្ឋប្រជាមានិតកម្ពុជា캄푸치아 인민공화국 애국가
현재는 사용되지 않는 노래
파일:러시아 국기(1991-1993).png
러시아Патриотическая Песня애국가
파일:미국 국기.svg
미국Hail, Columbia컬럼비아 만세
My country, 'Tis of Thee나의 조국, 그분의 땅
국가 외 단체의 상징가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1280px-Flag_of_Esperanto.svg.png
에스페란토 운동La Espero희망
파일:오륜기.svg
올림픽Ολυμπιακός Ύμνος올림픽 찬가
파일:유럽 연합 깃발.svg
유럽연합Anthem of Europe유럽 찬가


TVK 방송.[7]

가사는 이 링크 참조. 영문 위키백과조차 이 가사를 한 동안 제대로 번역하지 못했고, 한국에서는 독자 연구로 번역된 가사가 위키백과에 있어 매우 부정확한 해석이 있었다. 불교에 대한 지식까지 있어야 하므로 번역이 어려우며 영어 중역도 포함되어 있다. 한국인 크메르어 강사가 번역한 이 링크도 참조할 수 있다.

제목은 《장엄한 왕국》(, Nôkôr Réach)이다. 작사자인 '쭈언 낫(Chuon Nath)' 스님은 한국으로 따지면 주시경과 비슷한 반열의 유명한 사전 편찬자이기도 하다. 이 스님의 사전이 현대의 크메르어 사전의 기반이 되기도 한다.

그동안 캄보디아 정부가 사용해온 공식 음원은 1969년에 전통 악기 오케스트라로 녹음한 아날로그 음원이 거의 유일했다. 그러다가 지난 2019년 경상북도가 캄보디아 문화부와 협력하여 새로운 디지털 음원을 녹음하였다. 여기에는 경상북도 도립교향악단의 연주에 맞춰 캄보디아 왕립예술합창단이 합창하였다. 해당 음원은 4년이 지난 2023년 8월 12일에 캄보디아 정부에 전달되어 앞으로 공식 행사에 사용할 예정이라고 한다.#

예전에 사용된 국가는 다음과 같다.



3. 지리[편집]




파일:external/vswed.net/5043_vscam01-1.jpg

인도차이나에서 국토면적이 가장 작지만, 그 면적이 남한의 1.8배쯤 되는 관계로 국토가 그렇게 좁진 않다. 전반적으로 평지가 많은 편이고 국경지대로 가면 산지가 조금 있다. 산맥다운 산맥으로는 서쪽에 끄라바인(Krâvânh) 산맥이 하나 있는데, 여기에 캄보디아 최고봉으로 해발고도 약 1,800m인 프놈 우랄이 있다. 위성사진으로 보면 태국-캄보디아 국경이 아주 잘 보이는데, 태국 쪽은 전부 개간된 농지인 반면 캄보디아 쪽은 전부 숲이라 국경이 잘 보인다. 마찬가지로 캄보디아-베트남도 전부 논인 베트남 남부와 캄보디아의 사바나가 두드러져 국경이 잘 보이는 편. 실제로 캄보디아는 태국과 베트남과 달리 아직 자연이 그런대로 보존되었다. 국토 중서부에 톤레삽 호수(씨엠립 바로 아래)가 있는데, 건기에도 큰 호수이지만 우기에는 심하게는 10배 가량 커지며, 국토의 동쪽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메콩강의 수량조절역할을 한다.

기후는 강수량이 많지만 우기에 집중되어 있다. 날씨는 건기엔 건조하며 덥고 우기엔 습하며 더운 열대기후가 일반적으로 나타난다. 다만 연교차는 좀 있는 편으로 1월 즈음엔 25℃ 정도로 따뜻한 날씨를 띄지만 3월부터 더워져 40℃ 가까이 올라가고 5월부턴 비가 차츰 오기 시작하는데 만약 우기가 늦게 시작하면 관개시설이 부실한 연유로 헬게이트가 열린다. 우기는 9-10월쯤 정점을 찍고 난 후부터 기온도 내려가고 비도 덜 내린다. 다만 북동부 로타나끼리(Rotanakiri) 주 일부는 이러한 전형적인 캄보디아 기후와는 약간 다르다. 이 주에 위치한 비라체이 국립공원 주변 지대는 1,500m 정도 되는 높은 해발고도와 캄보디아 내에서 북위 15°정도의 그나마 높은 위도에 위치해 있는 덕분에 여름에 열대야가 존재하지 않으며[8], 심지어 1962년 푸미 캄 도랑(Ban Kham Dorang)이라는 마을에서 겨울에 최저 기온 8°C를 찍은 적이 있기도 했다.

지질의 경우 히말라야 산맥에서 뻗어나온 비소 지층이 다량 있는데, 이것도 모르고 한국을 비롯한 NGO (주로 민간단체)에서 기증한 우물들은 비소를 엄청나게 머금게 되었고, 2009년경 캄보디아 시골사람들이 이러한 우물을 먹고 피부암으로 죽어나가서 정부가 조사한 결과 경악했다. 의도는 좋았지만 캄보디아의 특수성을 고려하지않은 마구잡이 기증사업이 오히려 독이 된 셈. 그나마 관공서에서 설치/기증한 우물은 사정이 낫다.
하지만 정상적인 NGO에 의해서나 정부 지원사업으로 설치되는 우물들은 이렇게 마구잡이로 설치되지 않는다. 마구잡이로 설치된 우물들은 주로 근본을 알 수 없는 정체불명의 단체들로부터 설치된것들이 대부분이다.

PD수첩 보도.
➖➖➖➖➖➖➖➖➖➖➖➖➖➖➖➖➖➖➖
야생동물로는 반텡, 쿠프레이, 물소, 엘드사슴, 말레이천산갑, 인도차이나표범, 아시아코끼리, 사향고양이, 빈투롱, 몽구스, 수달, 승냥이, 말레이곰, 아시아흑곰, 구름표범, 고기잡이삵, 정글고양이, 인도차이나호랑이, 큰두루미, 수리, , 올빼미, 부엉이, 공작, , 원숭이[9], 악어, 도마뱀, 독사, 박쥐 등이 서식한다.


4. 역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역사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앙코르와트로 대표되는 크메르 제국을 세웠고 참파와 대립하는 강대국이었으나 몰락한 후에는 베트남태국에 시달리다 프랑스의 식민지가 되었다.

독립 후 시아누크 왕조의 독재를 론 놀이 뒤엎고 크메르 공화국을 세웠으나 크메르 루주에 의해 무너져 킬링필드를 겪었고, 베트남의 괴뢰정부를 겪고 난 뒤 투표를 통해 입헌군주국이 되었다.


5. 정치[편집]





파일:캄보디아 총리 집무실.jpg

캄보디아의 정치 정보
부패인식지수24점2022년, 세계 150위
언론자유지수42.02점2023년, 세계 147위
민주주의 지수3.18점2022년, 세계 121위

5.1. 국왕[편집]


''''''
[ 펼치기 · 접기 ]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 국왕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2. 정당[편집]



파일:캄보디아 상원 로고.png[[파일:170px-National_Assembly_(Cambodia)_emblem.png
캄보디아 의회의 원내 구성
(괄호 안은 캄보디아 상원•국회(하원) 의석 수)
[ 펼치기 · 접기 ]
[각주]


여당인 캄보디아 인민당이 국회(하원) 의석의 100%를 차지하고 있는 나라이기 때문에 공산국가는 아니지만 옆나라인 라오스, 베트남처럼 1당독재 국가다.


6. 경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경제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통화에 관해서는 캄보디아 리엘 문서 참고.


7. 교통[편집]



8. 군사[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군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9. 외교[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캄보디아/외교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0. 문화[편집]


▲ 캄보디아 가수 VANNDA의 KHMER BLOOD. 캄보디아인, 캄보디아의 전경 등을 다루는 곡이다.

역시 동남아시아 국가들인 태국, 미얀마, 라오스와 마찬가지로 국민 대다수가 상좌부 불교를 믿는다. 2015년에는 러시아 정교회 성당이 건립되었다. 관련 기사.

인지도가 낮지만 크메르 루즈 정권 이전엔 의외로 영화 산업이 발달했던 시기가 있었다. 1년에 300편이나 만들어질 정도였다고. 비록 내수 성향이 강했지만 동남아시아 쪽에서는 제법 인기를 끌었다고 한다. 다만 크메르 루주 도래 이후론 그야말로 쑥대밭이 되어 망해버렸다. 독재 종식 후 리티 판이라는 감독이 1990년대에 등장해 국제적 인지도를 얻었다. 그가 1993년에 만든 라이스 피플은 캄보디아 최초로 칸 영화제 경쟁 부문에 진출했을 정도로 성취를 거뒀으나 산업이 크질 못해 아직도 침체에서 못 벗어나고 있다. 리티 판은 크메르 루주 정권 탄압 때문에 가족 대다수를 잃고 프랑스로 망명한 캄보디아 난민이었고, 거기서 영화 공부를 했다고 한다. 라이스 피플이 국제적 성공을 거두면서 캄보디아와 프랑스를 오가며 작업하고 있다. 리티 판은 "크메르루즈(Khmer Rouge)는 사람들을 죽이지 않았습니다. 크메르루즈가 죽인 것은 문화이며, 이 나라의 정신입니다."라고 표현했다.

태국처럼 공포 영화가 강세를 보인다.
킬링필드가 일어나기 전 음악 수준도 상당히 높은 편이었다. 당대 유행하던 사이키델릭 록과 팝을 그들 특유의 전통음악이 가진 몽환적 리듬과 결합시켜 완전히 독특하고 새로운 대중음악을 만들어 냈었다. 하지만 킬링필드 이후 대부분의 가수들이 잡혀가 사망하거나 실종되었고 캄보디아의 음악 문화도 궤멸 수준까지 갔다가 현대에 와서야 다시 그 명맥을 되찾고 있는 추세이다.[10]

또한 크메르 루주를 비롯한 공산정권이 끝난 이후, 한동안 폐지되었던 전통춤들이 다시 복원되어가고 있다. 의식주에서 의상은 인도의 영향을 받았다. 음식도 인도의 영향을 받았으며, 베트남, 라오스, 태국의 영향을 받아 이들 요리와도 비슷하다고 한다. 다만 태국 등에 비해 향신료가 적게 들어가는 차이점이 있다.

캄보디아 사람들의 부족한 철분을 보충하기 위해, 캐나다의 크리스토퍼 찰스가 행운의 철 물고기를 만들었다. 이를 요리에 녹여 철분을 섭취할 수 있게 했다.


11. 관광[편집]


대한민국 여권 소지자는 전자비자 혹은 도착비자를 발급받아 입국할 수 있다. 전자비자의 경우 사용할 수 있는 입국 장소가 정해져 있기 때문에 입국하려는 곳이 전자비자를 받는지 확인해야 하며, 받지 않을 경우 도착비자를 신청할 수 있다.

앙코르와트말고는 관광지로 유명한 곳이 딱히 존재하지는 않는다. 하지만 앙코르와트가 너무 유명해서 웬만한 사람들은 다 알고 있다. 그래도 앙코르와트 주변으로 워낙 사원 유적이 많고, 영화 툼 레이더의 촬영지인지라 영화에 등장한 장소 위주로 관광이 이루어지는 편. 한국에서는 한때 캄보디아 초저가 패키지 여행이 성업한 적이 있으나 후려치기가 많아서 저질 패키지 여행이 되어버렸다.

2023년에는 한국 유명인 두명이 현지에서 사망하는 사건이 발생해 가선 안될 곳이라는 오명을 뒤집어 쓰고 말았다. 자세한 내용은 서세원, BJ아영 사망 사건 참조.[11]


12. 언어[편집]


공용어는 크메르어다. 크메르어는 다른 동남아 언어와 달리 성조가 없다. 소수지만 중국어, 태국어, 프랑스어, 영어도 사용된다. 교육과정에서는 영어프랑스어를 사용하지만, 영어가 훨씬 대중적이다.

크메르어는 크메르 문자라는 고유 문자를 사용한다. 현지인들은 서양의 라틴 문자를 빌려 쓰는 베트남의 문자, 자신들의 문자를 개량한 태국 문자보다 독창적인 크메르 문자를 자랑스럽게 여긴다.


13. 스포츠[편집]


캄보디아 최대의 인기스포츠는 의외로 배구이다. 공터만 있으면 기둥 세우고 네트 대충 걸치고 배구를 즐기는 캄보디아인들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실력은 영 좋지 않은 편으로 동남아 배구 최강인 태국은 물론이고 베트남, 인도네시아, 라오스, 말레이시아 등 다른 동남아시아 나라들도 압도하지 못한다.

축구는 그 다음으로 인기있다. 과거에는 조금 잘 나갔지만, 현재는 최약체급이다. 캄보디아 축구 국가대표팀 참고. 리그도 존재하지만, 옆의 베트남 V.리그 1에 비하면 인지도가 턱없이 약했다. 그러나 이태훈베트남 팀 측의 행보에 데인 뒤 캄보디아로 돌아오게 되면서 캄보디아 팬들 중 보응 켓 FC로의 감독 취임을 권하기도 했다. 2020시즌 캄보디아 프리미어리그의 참가팀은 보응 켓 말고도 최다 우승팀인 프놈펜 크라운을 포함하여 <스베이 리엥(Svay Rieng), 국가보안군(National Defense, TIFFY ARMY), 비사카(Visakha), 나가월드 FC, 앙코르 타이거, 키리봉 속센 체이(Kirivong Soksen Chey), 아시아 유로 유나이티드(AEU), 일렉트리시테 두 캄보드지(Electricite du Combodge), 솔틸로 앙코르 FC, 캄보디아 경찰청(National Police Commissary), 바티(Bati) 아카데미 FFC>가 있다.

2014년 인천 아시안게임에서 여자 태권도 73kg 종목에서 금메달이자 캄보디아의 유일한 메달을 획득. 주인공은 손 시에우메이(19). 캄보디아 스포츠 역사상 최초의 금메달이자 1970년 방콕 아시안게임 이후 최초의 메달. #

시아누크 국왕 1기이던 1966년 신흥국 경기 대회를 개최했다. 그런데 이 가네포 주경기장을 캄보디아 정부나 여행관련 커뮤니티에서 올림픽 스타디움이라고 통칭해 캄보디아를 처음 방문하는 관광객들을 어리둥절하게 한다.

캄보디아 당구계에서는 스롱 피아비가 본국에서 위상을 높이고 있다. 캄보디아 당국에서는 스롱 피아비를 위해 캄보디아 당구 캐롬 연맹을 창립하였다.

올림픽에서는 아직 메달을 하나도 따지 못했다. 허나 2024 파리 올림픽부터는 종목에 당구가 추가된다는 소식에 스롱 피아비에게 기대를 걸었으나, 결국 파리 올림픽 종목에서 당구가 제외되어 첫 메달의 꿈이 더 멀어졌다. 캄보디아는 올림픽과 같은 IOC에서 주관하는 청소년 올림픽에서 동메달 1개를 가지고 있다. 싱가포르 청소년 올림픽에서 유도 여자 -44kg에 출전한 Sothea Sam 선수이다.

상기된 투기종목의 스포츠 중 태권도,레슬링,유도 등의 지도자로는 현재 대한민국의 인원들이 감독으로 임명되어 있다.

알려진바로는 태권도의 최용석 감독, 레슬링의 김수길 감독, 유도의 이승찬 감독이 국위선양을 위해 힘쓰고 있는데, 재밌게도 2013년 이전까지는 감독이 북한 출신의 지도자들도 있었다고 한다.

캄보디아에 '보카토'라는 9세기 앙코르제국이 건설되기 전부터 전승되어온 무술이 존재한다.

14. 창작물에서[편집]


국내 창작물에선 '북한과 친하게 지내는 최빈국 독재국가'라는 점 때문에 북한 관련 창작물에 간혹 등장한다.

60일, 지정생존자에서는 북한 강경파 지도자의 의붓아들인 명해준(이도국 분)이 북한 내부에서의 숙청에 불만을 품고 과거에 용병으로 근무했던 캄보디아의 한 병원을 도피처로 사용하다가 707 특임대에 의해서 생포되고 이후 유도심문에 넘어가다가 끝내 배후세력의 입막음으로 독살당한다.

아이리스 2에서 유중원의 처음 등장은 캄보디아에서 도박과 술로 시간을 보내고, 그리고 가짜 정력제를 팔며 묵돈을 모아 남한에 가 중고차를 들여와 캄보디아에서 중고차 딜러가 된다는 생각을 갖고 있다. 허나 현실은 돈은 영 모이지 않았고 그런 찰나에 김연화가 와서 수익성이 큰 일, 아이리스라는 초거대 비밀 범죄조직과의 협조를 권유 받게되면서 헝가리로 이동한다.

코드 기어스: 반역의 를르슈 시리즈에서는 슈나이젤이 숨어서 다모클레스를 만들고 있었다.

하이보리아 대륙에서는 캄보디아를 모티브로 하는 캄부자(Kambuja)라는 나라가 나온다.

영화 킬링필드는 크메르 루주 대학살을 다룬 영화로 한국에선 합동영화[12]가 수입해 1985년 6월 1일에 개봉했다. 국내에는 반공 영화로 간주하여 초.중.고교에서 학교 단체관람을 주도하면서 서울 관객 92만 5천이라는 엄청난 흥행을 하며, 그해 흥행 1위를 기록했다.[13] 이는 당시 헐리우드 블록버스터급 흥행이자 지금으로 쳐도 전국 관객 800만 이상급이다.

영화 이스케이프의 배경이 되는 동남아시아 국가는 캄보디아가 모티프이다. 영화의 내용이 학살을 피해서 나라를 탈출하는 미국인 가족의 이야기를 다룬데다, 작중 국가의 모습은 크메르 루주 시절의 캄보디아와 매우 유사해서 캄보디아에선 개봉하지 못했다.

메탈슬러그 1 미션 1이나 철권1 배경에서 앙코르 와트가 나온다.

캄보디아 인구의 대다수를 차지하고 있는 크메르인에이지 오브 엠파이어 2의 4번째 확장팩인 라이즈 오브 라자에서 베트남, 버마, 말레이와 함께 등장, 코끼리와 스콜피온 노포를 활용한 후반지향형 스타일로 후반 조합의 기대치가 엄청난 문명으로 등장했다. 자세한 건 문서 참고.

킹스맨: 골든 서클에서 포피의 최종 본거지가 있는 곳으로 등장한다. 멀린이 Take Me Home, Country Roads을 부른 장면도 이곳.

영국 가수 킴 와일드(Kim Wilde)가 부른 캄보디아라는 곡이 있다. 트래커 음악이 유행하던 시기 캄보디아를 트래커 음악으로 만든 파일이 널리 퍼지기도 했다.

한국 공포영화 알포인트의 촬영지인 캄폿은 캄보디아의 도시이다

[1] Preăh Réachéanachâkr Kâmpŭchéa [prĕəh riə.ciə.naː.caʔ kam.pu.ciə\][2] Chéatĕ, Sasânéa, Preăh Môhaksâtr. 태국의 표어와 같다. 공문서에는 이 표어가 반드시 들어가야만 공식으로 인정한다.[3] 수도 프놈펜 같은 경우 2010년대 후반 이후 활발히 건설된 고층 빌딩숲이 있어 한국의 광역시 같은 모습도 조금 있다. 관련 영상.[4] 원래는 아프가니스탄에 살던 이란계 부족을 가리켰으나 전설에 따르면 그 부족의 자손 중 한 남자가 남해의 용족 해적과 눈이 맞아 부남을 세웠고 따라서 캄보디아라고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5] 러시아어에서 유래됐다는 말도 있지만 일제시대 유일의 한글 신문인 매일신문에서도 일본군이 캄보디아를 점령했던 제2차 세계 대전 때 '캄보쟈'라고 불렀으므로 근거 없는 말이다.[6] 중세 크메르어 발음을 음차한 국호다.[7] TVK는 캄보디아의 국영 방송사이다.[8] 날씨가 딱히 덥지 않은 관계로 숙소에 에어컨이 일절 없다![9] 늘보로리스, 필리핀원숭이, 북부돼지꼬리원숭이, 붉은정강이두크, 노란뺨긴팔원숭이[10] 위 영상의 가수들의 끝도 좋지 못했다. Yol Aularong, Sinn Sisamouth, Pan Ron은 킬링필드 때 크메르 루주에게 잡혀간 후 그대로 실종되어 현재도 생사불명으로 남아 있다. Ros Serey Sothea는 노로돔 시아누크가 칭송할 정도로 유명 가수였지만 영양실조로 쓸쓸히 죽어야 했다.[11] 참고로 두 사고 모두 주사에 의한 의료사고라는 공통점이 있다. 다만, 둘 다 일어난 원인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12] 배우 고은아의 남편 곽정환이 세운 영화 수입/제작사로, 서울극장도 운영했다.[13] 이 시기만 해도 관객수는 서울 관객만 집계되었다. 지방은 커녕 직할시(오늘의 광역시)인 부산, 대구, 대전 관객도 집계가 되지 않았다. 게다가 수도권 인구 집중 현상도 지금 보다 덜 한 시절이라 서울 관객 100만이면 지방 관객까지 추산할 경우 최소 200만 이상이 관람했다고 할 수 있다. 실제 당시 초중고교 가릴 것 없이 이 영화를 단체 관람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20 06:56:05에 나무위키 캄보디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