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건명(조선)

덤프버전 :


조선 정승

인조 ~ 경종
[ 좌의정 ]
제141대}}}
정창연
제142대}}}
윤방
제143대}}}
신흠
제144대}}}
오윤겸
제145대}}}
김류
제146대}}}
이정구
제147대}}}
김류
제148대}}}
오윤겸
제149대}}}
홍서봉
제150대}}}
이성구
제151대}}}
최명길
제152·153대}}}
신경진
제154대}}}
심열
제155대}}}
심기원
제156대}}}
김자점
제157대}}}
홍서봉
제158대}}}
심열
제159대}}}
홍서봉
제160대}}}
김자점
제161대}}}
김상헌

제162대}}}
이경석
제163대}}}
남이웅
제164대}}}
이경석

제165대}}}
정태화
제166·167대}}}
조익
제168대}}}
이시백
제169대}}}
김육
제170대}}}
이시백

제171·172대}}}
구인후
제173대}}}
심지원
제174대}}}
원두표
제175·176대}}}
심지원

제175·176대}}}
심지원
제177대}}}
원두표
제178대}}}
홍명하
제179·180대}}}
허적
제181대}}}
정치화
제182대}}}
허적
제183대}}}
정치화
제184대}}}
송시열
제185대}}}
김수항
제186대}}}
이경억

제187대}}}
송시열
제188대}}}
정지화
제189대}}}
김수항

제190대}}}
정치화
제191대}}}
김수항
제192대}}}
권대운
제193대}}}
민희
제194대}}}
정지화
제195대}}}
민정중
제196대}}}
정지화
제197대}}}
남구만
제198대}}}
이단하
제199대}}}
조사석
제200대}}}
목내선
제201대}}}
박세채
제202대}}}
류상운
제203대}}}
윤지선
제204대}}}
최석정
제205대}}}
서문중
제206대}}}
이세백
제207대}}}
이여
제208대}}}
서종태
제209대}}}
김창집
제210대}}}
이유
제211대}}}
이이명
제212·213대}}}
서종태
제214·215대}}}
김창집
제216대}}}
서종태

제217대}}}
이이명
제218·219대}}}
김창집
제220대}}}
이이명
제221대}}}
권상하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161대}}}
윤방
제162대}}}
신흠
제163대}}}
오윤겸
제164대}}}
김류
제165대}}}
이정구
제166대}}}
김상용
제167대}}}
김류
제168대}}}
김상용
제169대}}}
홍서봉
제170대}}}
이홍주
제171대}}}
이성구
제172대}}}
최명길
제173대}}}
장유
제174대}}}
신경진
제175대}}}
심열
제176대}}}
강석기
제177대}}}
심기원
제178대}}}
김자점
제179대}}}
이경여
제180대}}}
심열
제181대}}}
서경우
제182대}}}
심열
제183대}}}
이경석
제184대}}}
남이웅
제185대}}}
이행원

제186대}}}
남이웅
제187대}}}
정태화

제188대}}}
조익
제189대}}}
김육
제190대}}}
조익
제191대}}}
이시백
제192대}}}
한흥일
제193대}}}
이시백
제194대}}}
구인후
제195대}}}
심지원

제196대}}}
원두표
제197대}}}
이후원
제198대}}}
원두표

제199대}}}
정유성
제200대}}}
원두표
제201대}}}
정유성
제202대}}}
홍명하
제203대}}}
허적
제204대}}}
정치화
제205·206대}}}
송시열
제207대}}}
홍중보
제208대}}}
송시열
제209대}}}
김수항

제210대}}}
이경억
제211대}}}
김수흥
제212대}}}
이완
제213대}}}
정지화

제214대}}}
김수항
제215대}}}
권대운
제216대}}}
허목
제217대}}}
민희
제218대}}}
오시수
제219대}}}
민정중
제220대}}}
이상진
제221대}}}
김석주
제222대}}}
남구만
제223대}}}
정재숭
제224대}}}
이단하
제225대}}}
조사석
제226대}}}
이숙
제227·228대}}}
여성제
제229대}}}
김덕원
제230대}}}
민암
제231대}}}
윤지완
제232대}}}
류상운
제233대}}}
신익상
제234대}}}
윤지선
제235대}}}
서문중
제236대}}}
최석정
제237대}}}
이세백
제238대}}}
민진장
제239대}}}
신완
제240대}}}
김구
제241대}}}
이유
제242대}}}
서종태
제243대}}}
김창집
제244대}}}
이이명
제245대}}}
서종태
제246대}}}
윤증
제247대}}}
김창집
제248대}}}
조상우
제249대}}}
김창집
제250대}}}
김우항
제251대}}}
이이명
제252대}}}
권상하
제253대}}}
조태채
제254대}}}
이건명




조선 정승
충민공(忠愍公)
이건명
李建命
파일:이건명(초상화).png
출생1663년 11월 12일
(음력 현종 4년 10월 13일)
사망1722년 9월 23일 (향년 58세)
(음력 경종 2년 8월 13일)
전라도 흥양현 나로도
(現 전라남도 고흥군 봉래면)
참수형
시호충민(忠愍)
본관전주 이씨
중강(仲剛)
한포재(寒圃齋)
붕당노론
저서「한포재집」
가족외할아버지 원두표
아버지 이민서
사촌 이이명

1. 개요
2. 생애
3. 여담
4. 저서



1. 개요[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세종의 서5남 밀성군의 8대손이다.


2. 생애[편집]


1684년에 과거에 급제해 관직생활을 시작했다. 정유독대[1] 이후 우의정이 되었으며 연잉군의 보호를 부탁받았다. 이후 늙은 숙종이 죽고 경종이 즉위했다. 이때 이건명은 총호사로 숙종의 장례식을 총괄했다.

경종의 치세때는 좌의정에 올라 노론의 영수가 되었는데 조태채 등과 연잉군을 세제로 올리자고 제안이라고 쓰고 강요라고 읽는다하면서 김일경 등의 소론 강경파에게 미움을 샀다. 목호룡의 고변으로 위기에 놓이고 다행히 사형을 피했지만 전라도 흥양의 뱀섬에 유배를 가며 위리안치당하고 만다. 하지만 주청사로 청나라에 가서 한 말이 문제가 됐다. 당시 청나라의 황제였던 강희제와 청나라의 여러 대신들이 경종의 연잉군 세제 인정 요구에 의아해하며 '너희들의 임금은 아직 젊으니 얼마든지 아들을 낳을 수 있지 않는가? 그런데 세제는 무슨 세제냐.'라고 태클을 걸자[2], 이를 둘러댄답시고 "임금이 양기가 없어 여자를 가까이 하지 못한다."는 무엄한 망발을 내뱉었던 것. 이게 빌미가 되어 소론의 탄핵을 받았고 경종마저 격노하여 다른 노론 4대신들은 사약을 마셔 곱게 사사당한 것에 비해, 이건명은 목이 잘려서 시신조차 온전히 보존 못하는 가장 비참한 죽음을 맞이했다.[3]

영조가 즉위했을 때 노론의 주청으로 복권되어 충민이라는 시호를 얻는다.


3. 여담[편집]


정승으로 있을 때부터 백성들의 생활에 깊은 관심을 보였고, 백성들을 위한 많은 정책을 제안했다고 한다. 이때 군포를 낮추자고 제안한 것이 이후에 영조가 균역법을 제정하는 데 영향을 주었다.

시를 잘 썼다고 한다.


4. 저서[편집]


저서에 「한포재집」이 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2:16:41에 나무위키 이건명(조선)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이건명의 종형인 이이명이 숙종을 단독으로 독대한 사건[2] 사실 이게 당연한 반응이다. 강희제의 말대로 연잉군을 세제로 책봉할 당시의 경종은 30대 초반이였고, 그의 왕비인 선의왕후 어씨는 아예 20세도 되지않은 매우 젊은 나이였다. 즉, 경종 부부가 합방을 하면 얼마든지 자식을 낳을 수 있는 상황이였던 것. 게다가 강희제는 60대의 나이에도 증손주뻘의 어린 자식들을 후궁에게서 계속 보던 황제였으니 더욱 의아했을 것이다. 그런데 조선에서는 멀쩡히 아들 낳을 수 있는 국왕이 있음에도 그의 동생을 세제로 책봉하겠다고 하니, 청나라의 입장에서는 황당함을 넘어 조선에서 왕자의 난이라도 벌어진 건 아닌가하는 우려를 할 법도 했다.[3] 사실 이건명의 발언은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현대의 입헌군주제에서도 명예훼손죄 내지 모욕죄로 고소당해도 할말이 없는 수준의 망발이다. 하물며 국왕이 신적 존재로 군림하는 전제군주제의 왕을 이런 식으로 능멸했으니 하단의 업적과 별개로, 목이 잘려도 할말 없는 큰 잘못을 저지른 게 확실하며 오히려 목은 물론 사지 전체가 잘려나가지 않은 게 다행인 수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