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개

덤프버전 :




이개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장릉배식록 수록자
[ 펼치기 · 접기 ]
육종영
六宗英
안평대군금성대군화 의 군한 남 군영 풍 군하 령 군
사의척
四義戚
판돈녕부사
송현수
예조판서
권자신
영양위
정종
돈녕부판관
권완
삼상신
三相臣
영의정
황보인
좌의정
김종서
우의정
정분
삼중신
三重臣
이조판서
민신
병조판서
조극관
이조판서
김문기
양운검
兩雲劍
도총부 도총관
성승
증 병조판서
박정
육신
六臣
우승지
성삼문
형조참판
박팽년
직제학
이개
예조참판
하위지
성균사예
유성원
도총부부총관
유응부
기타형조판서
박중림
지평
하박
좌참찬
허후
수찬
허조
증 이조참판
박계우
순흥부사
이보흠
도진무
정효전
영월호장
엄흥도



진승총(震乘總)
[ 본기(本紀) ]
권1기
,제1대 「태조기(太祖紀)」,,제2대 「정종기(定宗紀)」,,제3대 「태종기(太宗紀)」,,제4대 「세종기(世宗紀)」,
이단이경이방원이도
권2기
,제5대 「문종기(定宗紀)」,,제6대 「단종기(端宗紀)」,,제7대 「세조기(世祖紀)」,,제8대 「예종기(睿宗紀)」,
이향이홍위이유이황
권3기
,제10대 「연산기(燕山紀)」,,제11대 「중종기(中宗紀)」,
이융이역
권4기
,제12대 「인종기(仁宗紀)」,,제13대 「명종기(成宗紀)」,
이호이환
권5기권6기권7기
,제14대 「선조기(宣祖紀)」,,제14대 수정기,,제15대(중초본, 정초본) 「광해기(光海紀)」,
이연이혼
권8~9기
,제16대 「인조기(仁祖紀)」,
이종
권10기
,제17대 「효종기(孝宗紀)」,,제18대(개수록) 「현종기(顯祖紀)」,
이호이현
권11~12기권13기
,제19대(보궐정오) 「숙종기(肅宗紀)」,,제20대(수정록) 「경종기(景宗紀)」,
이순이윤
부록
금상(今上)
[ 평전(評傳) ]
평전
이용 · 김종서 · 황보인
,「부록 사육신(死六臣)」,,「부록 생육신(生六臣)」,
성삼문 · 박팽년 · 하위지 · 이개 · 유성원 · 유응부김시습 · 원호 · 이맹전 · 조려 · 성담수 · 남효온
[ 부록(評傳) ]




1. 개요
2. 생애
3. 대중 매체에서


1. 개요[편집]


李塏
1417~1456(39세)

조선 전기의 문신이다. 본관은 한산. 자는 청보 또는 사고. 호는 백옥헌. 시호는 충간이다.

토정비결의 저자 토정 이지함은 그의 종증손이고, 조선 중기의 동인, 북인의 당수 아계 이산해는 그의 종고손이 된다.


2. 생애[편집]


고려 말기의 대학자인 목은 이색이 그의 증조부이며 할아버지는 이종선이고 할머니는 권근의 딸이며 아버지는 이계주이고 어머니는 진명례의 딸이다. 이개는 이률의 딸과 결혼했다.

세종 때인 1436년 과거에 급제하여 1441년에 집현전에 들어갔다. 집현전 부수찬 시절 훈민정음 해례본 제작에 참여하기도 했다. 이후 <운회>를 언문으로 번역하고 <동국정운>을 편찬한 뒤, 용비어천가의 주석을 다는 데에도 참여하였다.

문종 때에는 좌문학으로서 세자를 지도해 달라는 부탁을 받았다. 1456년 집현전 부제학으로 임명되었고 이후 정난공신을 배정할 때 환관 엄자치가 명단에 들어있자 이에 반발하였지만 실패하고 사직을 청하기도 했다. 이후 단종 복위 계획이 발각되자 체포되어 사육신들과 함께 거열형을 당했다. 훗날 이조판서추증되었다.

육신전에 따르면 그는 원래 병약하였으나 인두로 지지는 형벌을 받으면서도 조금도 얼굴색이 변하지 않았다고 한다.

젊은 나이에 역모로 죽었기 때문에 그의 문집은 남아 있지 않고 절명시와 시조 한두 편만이 남아 있다.


3. 대중 매체에서[편집]


KBS2 드라마 한명회에서 김경하가 연기했다.

KBS1 드라마 왕과 비에서 이동신이 연기했다.

KBS2 드라마 공주의 남자에서 엄효섭이 연기했다.

JTBC 드라마 인수대비에서 주우가 연기했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3 02:10:51에 나무위키 이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