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희관

최근 편집일시 :

분류



유희관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 ||
[ 펼치기 · 접기 ]

||<tablewidth=100%><tablebgcolor=#011171><width=20%><colcolor=#FFFFFF> 투수 ||<colbgcolor=#FFFFFF,#191919><colcolor=#314DB1> 11 이대은 · 13 장원삼 · 15 오주원 · 19 신재영
20 선성권 · 21 송승준 · 47 유희관
||
|| 포수 || 12 박재욱 · 27 이홍구 ||
|| 내야수 || 1 유태웅 · 2 최수현 · 4 서동욱 · 5 문교원 · 8 정근우 · 10 이대호 · 16 정성훈 ||
|| 외야수 || 24 김문호 · 29 이택근 · 33 박용택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11171; font-size: 1.0em"
[[주장#s-1.2|
C]]}}} · 37 정의윤 ||
||<-2><bgcolor=#ffffff,#191919> * : 임대 선수 ||
||<-2><bgcolor=#314DB1>
단장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장시원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8 김성근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1 이광길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72 오세훈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32 김선우 ||











유희관의 수상 경력 / 보유 기록 / 역대 등번호
[ 펼치기 · 접기 ]

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4.svg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5.svg파일:두산 베어스 우승 엠블럼 V6.svg
KBO 리그 한국시리즈
우승반지
201520162019









파일:일구상 로고.jpg 2013 일구상 신인상

파일:일구상 로고.jpg 2016, 2020 일구상 최고 투수상

[ 펼치기 · 접기 ]

1000경기
[ 펼치기 · 접기 ]
정우람
(2004~)
2023년 / 1004경기

100승
[ 펼치기 · 접기 ]
김시진
(1983~1992)
1987년 / 124승
최동원
(1983~1990)
1990년 / 103승
선동열
(1985~1995)
1990년 / 146승
장호연
(1983~1995)
1993년 / 109승
윤학길
(1986~1997)
1994년 / 117승
정삼흠
(1985~1996)
1996년 / 106승
이강철
(1989~2005)
1996년 / 152승
조계현
(1989~2001)
1996년 / 126승
송진우
(1989~2009)
1997년 / 210승
김용수
(1985~2000)
1998년 / 126승
정민철
(1992~2009)
1999년 / 161승
김상진
(1989~2003)
1999년 / 122승
이상군
(1986~2001)
2000년 / 100승
한용덕
(1987~2004)
2000년 / 120승
정민태
(1992~2008)
2000년 / 124승
김원형
(1991~2011)
2005년 / 134승
임창용
(1995~2018)
2007년 / 130승
김수경
(1998~2012)
2007년 / 112승
이상목
(1990~2009)
2008년 / 100승
손민한
(1997~2015)
2009년 / 123승
이대진
(1993~2012)
2009년 / 100승
박명환
(1996~2015)
2010년 / 103승
배영수
(2000~2019)
2012년 / 138승
장원삼
(2006~2020)
2015년 / 121승
윤성환
(2004~2020)
2016년 / 135승
김광현
(2007~)
2016년 / 158승
장원준
(2004~2023)
2016년 / 132승
양현종
(2007~)
2017년 / 168승
송승준
(2007~2021)
2017년 / 109승
니퍼트
(2011~2018)
2018년 / 102승
차우찬
(2006~2023)
2019년 / 112승
유희관
(2009~2021)
2021년 / 101승

300세이브
[ 펼치기 · 접기 ]
오승환
(2005~)
2021년 / 400세이브

100홀드
[ 펼치기 · 접기 ]
류택현
(1994~2014)
2009년 / 122홀드
정우람
(2004~)
2011년 / 145홀드
권혁
(2002~2020)
2012년 / 159홀드
이상열
(1996~2015)
2012년 / 118홀드
안지만
(2002~2016)
2013년 / 177홀드
정대현
(2001~2017)
2014년 / 121홀드
강영식
(2000~2017)
2014년 / 116홀드
이동현
(2001~2019)
2016년 / 113홀드
윤길현
(2002~2019)
2017년 / 111홀드
진해수
(2005~)
2019년 / 152홀드
한현희
(2012~)
2019년 / 108홀드
김상수
(2006~)
2021년 / 120홀드
주권
(2015~)
2022년 / 110홀드
정우영
(2019~)
2023년 / 109홀드
구승민
(2013~)
2023년 / 107홀드
우규민
(2003~)
2023년 / 106홀드
김진성
(2005~)
2023년 / 100홀드

2000이닝
[ 펼치기 · 접기 ]
송진우
(1989~2009)
2001년 / 3003.0이닝
이강철
(1989~2005)
2002년 / 2204,2이닝
한용덕
(1987~2004)
2002년 / 2080.0이닝
정민철
(1992~2009)
2006년 / 2394.2이닝
김원형
(1991~2011)
2007년 / 2171.0이닝
배영수
(2000~2019)
2017년 / 2167.2이닝
양현종
(2007~)
2022년 / 2332,1이닝
김광현
(2007~)
2023년 / 2015.1이닝
장원준
(2004~2023)
2023년 / 2000.0이닝

2000탈삼진
[ 펼치기 · 접기 ]
송진우
(1989~2009)
2008년 / 2048탈삼진


시즌 40세이브
[ 펼치기 · 접기 ]
정명원
태평양 돌핀스
1994년 / 40세이브
진필중
두산 베어스
2000년 / 42세이브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2006년 / 47세이브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2007년 / 40세이브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2011년 / 47세이브
손승락
넥센 히어로즈
2013년 / 46세이브
오승환
삼성 라이온즈
2021년 / 44세이브
고우석
LG 트윈스
2022년 / 42세이브
서진용
SSG 랜더스
2023년 / 40세이브

시즌 30홀드
[ 펼치기 · 접기 ]
권오준
삼성 라이온즈
2006년 / 32홀드
박희수
SK 와이번스
2012년 / 34홀드
한현희
넥센 히어로즈
2014년 / 31홀드
안지만
삼성 라이온즈
2015년 / 37홀드
김상수
키움 히어로즈
2019년 / 40홀드
서진용
SK 와이번스
2019년 / 33홀드
주권
kt wiz
2020년 / 31홀드
장현식
KIA 타이거즈
2021년 / 34홀드
정우영
LG 트윈스
2022년 / 35홀드
김민수
kt wiz
2022년 / 30홀드
박영현
kt wiz
2023년 / 32홀드

시즌 200탈삼진
[ 펼치기 · 접기 ]
장명부
삼미 슈퍼스타즈
1983년 / 220탈삼진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1984년 / 223탈삼진
김시진
삼성 라이온즈
1985년 / 201탈삼진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1986년 / 214탈삼진
최동원
롯데 자이언츠
1986년 / 208탈삼진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1988년 / 200탈삼진
선동열
해태 타이거즈
1991년 / 210탈삼진
주형광
롯데 자이언츠
1996년 / 221탈삼진
정민철
한화 이글스
1996년 / 203탈삼진
에르난데스
SK 와이번스
2001년 / 215탈삼진
류현진
한화 이글스
2006년 / 204탈삼진
류현진
한화 이글스
2012년 / 210탈삼진
스트레일리
롯데 자이언츠
2020년 / 205탈삼진
미란다
두산 베어스
2021년 / 225탈삼진
안우진
키움 히어로즈
2022년 / 224탈삼진
페디
NC 다이노스
2023년 / 209탈삼진

[각주]


두산 베어스 등번호 29번
이원재
(2007~2008)
유희관
(2009)
김성배
(2010~2011)
두산 베어스 등번호 28번
이석만
(2009)
유희관
(2010)
최현진
(2011)
두산 베어스 등번호 29번
서동환
(2012)
유희관
(2013~2021)
이병헌
(2023~)

KBS · KBS N SPORTS 해설위원
{{{#0066b3,#4cb1fe 유희관[* KBO 등록명은 유희관이지만, 원래 이름은 류희관이며 주민등록상에도 류희관이라고 이름이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름 영어 로마자 표기로 성이 유(yoo)로 되어 있고 자기소개를 할 때 항상 유희관이라고 한다.]
柳熙寬|Yoo Hee-Kwan}}}
출생1986년 6월 1일 (38세)
서울특별시 강남구 압구정동[1]
거주지경기도 남양주시
국적
파일:대한민국 국기.svg

학력방배초 - 이수중 - 장충고[2] - 중앙대[3]
신체180cm[4]|95.7kg|A형#혈액형
포지션투수
투타좌투좌타[5]
프로 입단2009년 2차 6라운드 (전체 42번, 두산)
소속팀두산 베어스 (2009~2021)
해설 위원KBS / KBS N SPORTS 야구 해설 위원 (2022~)
병역상무 피닉스 야구단
(2010년 11월 29일~2012년 9월 3일)
링크파일:인스타그램 아이콘.svg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유희관희유[6]파일:유튜브 아이콘.svg 은퇴하고 뭐하니
정보 더 보기
[ 펼치기 · 접기 ]
본관진주 류씨[1]
가족부모님
MBTIESFJ
등장곡솔레노이드 - 유희왕 오프닝[2]
소속사리코스포츠에이전시[3]
[1] 이류계 안간공파 34세 희(熙) 항렬.[2] 최강야구 에서는 원곡이 아닌 TULA커버 버젼을 사용한다. TULA가 개사한 "포커페이스"라는 가사가 들리는지 여부로 구분할 수 있다.[3] # 유튜브 활동 및 선수 매니지먼트.

1. 개요
3. 해설 위원 경력
4. 유튜버 및 방송 활동 경력
5. 출연 작품
5.1. 드라마
8. 수상 경력
9. 관련 문서
10. 둘러보기



1. 개요[편집]


제 야구 인생은 시속 70km 커브로 날아가고 있습니다. 느리고 돌아가지만 스트라이크존에 꽂히는 공처럼 언젠가 성공할 거라고 믿었거든요.

본격적으로 이름을 알리기 시작한 2013시즌을 마무리하는 인터뷰 중에서. #


유희관은 나보다 더 하이퀄리티의 야구를 했던 선수. 우리나라 선수 중에서 이만큼 자기를 개발했던 선수는 없지 싶다.

김성근


대한민국의 前 야구 선수이자 現 KBS N SPORTS 소속 해설위원.

OB-두산 베어스 좌완 투수 중 통산 승리, 이닝, WAR 1위 기록을 보유중에 있으며, 8년 연속 10승 달성을 기록했다. 또한 프랜차이즈 최초이자 유일한 통산 100승을 달성한 좌완투수이다.[7]

창단 이래 30년이 넘도록 계속되었던 베어스의 좌완투수 불운에 종지부를 찍은 주인공으로 잘 알려져 있다.[8] 그리고 최고 130km/h 초반대에 불과한 구속으로도 훌륭한 성적을 기록한 것으로 잘 알려져 있어서 현역 시절 별명인 '느림의 미학'도 여기서 유래했다.[9]


2. 선수 경력[편집]




3. 해설 위원 경력[편집]


2022년 2월 24일 본인의 SNS를 통해 KBS N SPORTS의 해설 위원으로 발탁되었다는 사실을 알렸다. KBO 리그 모든 해설진 중 최연소 위원이 된[10] 것은 덤. 선수 시절에 화려한 말솜씨로 이름을 알렸던 만큼, 해설위원 데뷔는 기정사실이었으며, 많은 야구팬들의 기대를 받고 해설위원 경력을 시작하게 되었다. 좋은 입담을 갖고 있는 만큼 편파만 하지 않는다면 최고의 해설위원이 될 것으로 보인다.

이후, 3월 15일 고척 스카이돔에서 열리는 LG 트윈스 vs 키움 히어로즈 간의 시범경기에서 해설 데뷔전을 치렀다. 처음 해설을 맡은 것을 감안하면 꽤 괜찮았다는 호평을 받았다. 비슷한 시기에 해설위원으로 데뷔한 권혁, 정성훈이 크게 혹평받은 것을 감안하면 비교적 스타트를 잘 끊은 듯.

3월 27일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서 열린 한화 이글스KIA 타이거즈의 시범경기에서도 해설을 맡았는데, 9회초 정우람한승택에게 역전 만루홈런을 맞는 모습을 보며 감정이입을 하는 모습을 보였다. 본인도 꾸준함의 대명사였다가 말년에 급격한 기량 악화로 은퇴한 만큼 정우람의 모습이 남 일같지 않았던 듯 하다.

이후, 4월 3일 잠실 홈 경기 한화 이글스전에서 은퇴식을 갖는다. 본인은 시구를 맡게 되며, 시포는 현재 두산의 주전 포수이자 데뷔 통산 첫 승, 100승을 함께 했던 박세혁이 맡는다. #

2022년 올스타전에서 박용택과 함께 신들린 예능 해설을 선보였다.


4. 유튜버 및 방송 활동 경력[편집]



샌드박스 네트워크와 계약을 체결하여 유튜버 활동도 병행하게 되었으며, 구독자 10만명 돌파로 실버버튼을 받게 되었다.# MBC플러스와 함께 <은퇴하고 뭐하니>라는 채널을 운영 중이다. 파일:유튜브 아이콘.svg

2022년 7월 유튜브 계정 <유희관희유윾힉판힉윾>를 개설했는데, 얼굴만 봐도 웃기다는 반응이 많다. [11] 또한 SSG.COM에서 SSG 랜더스 유니폼 라이브커머스 네이버 쇼핑라이브에 출연하기도 했다.[12] 이 이후 10개 구단 홈구장을 돌아다니는 콘텐츠를 업로드하고 있는데, 목격담에 의하면 서울종합운동장 야구장에서 이웃팀 LG 트윈스 유니폼을 입거나 수원 케이티 위즈 파크에서 KT 유니폼을 입고 인생네컷에서 두산, KIA 타이거즈 팬과 사진을 찍었다는 목격담도 있다[13]. 그리고 조회수가 잘 나오니까 진짜 각 팀 홈구장 투어를 돌고 있다. 그 중 압권은 LG 트윈스 유니폼 입고 잠실에서 응원하기. 최근엔 대전 한화생명 이글스파크에 온 것이 포착됐다. 10월 7일 두산 베어스의 경기에서는 직접 생맥주통을 매고 맥주보이 알바를 하거나 응원단상에 올라 직접 춤을 추었고[14] 다음날에는 이대호의 은퇴식을 보러 사직 야구장에 갔다. 2022 시즌 기준 삼성과 NC를 제외한 나머지 팀들의 홈구장을 모두 갔다. 이후 2023년 6월 24일 엔씨 다이노스 파크와 7월 1일 삼성 라이온즈 파크를 방문하며 KBO 흥행단장의 마무리를 지었다.

또한 아는 형님에서는 IVELOVE DIVE싸이That That 안무를 보여주면서 흥부자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었는데, 인터넷상의 반응은 '킹받는데 잘 춘다'가 많다. 두산 치어리더들에게 춤을 배우기도 했는데 습득력은 최고수준이라는 말을 들었지만 앞에서 트월킹을 시전하다가 정희정 치어리더에게 무섭다는 평을 들었다.

예능인뿐만 아니라, 최강야구에서도 야구선수로서의 유희관이 재평가되고 있다. 특히 최강야구에서 보여준 공 0.5개~1개 차이도 조정 가능한 정교한 제구력의 경우에는 고교, 대학 팀들과 프로의 차이를 보여주는 사례로도 활용되고 있다. 다만 충암고 3차전에서는 아리랑볼이 제구가 안되는[15] 등 장점이 많이 희석되고, 타자들이 이미 1차전으로 경험한 뒤라 꽤 많이 얻어맞았다.

2022년 11월 BEARS TV 기획으로 베어스 파크에 왔다 갔는데, 고토 코지 타격코치도 일본에 있을 때 유희관의 유튜브 채널인 유희관희유를 봤다고 하며 유희관을 코미디언으로 부르고 있다. 또한 즉석에서 김한수 수석코치와 함께 중앙대 동문회를 결성하고 김상진 재활군 투수코치에게는 "왜 이래 전직 야구선수가"라는 평을 들었다.

ootb STUDIO 대표자에 서울 대표로 출연중이다.

12월 15일 본인의 나무위키 문서를 읽어보는 컨텐츠가 올라왔다.# 본인의 나무위키를 읽어볼 때, 가장 먼저 사진이 맘에 안 든다면서 바꿔달라고 했다. 그리고, 다 읽어보고 난 뒤에는 과거를 다시 되돌아보는 기분이라 재미있었다는 소감을 밝히면서 앞으로도 적극적으로 이야기를 많이 갱신해달라고 부탁했다.

2024년 4월 7일에 열리는[16] 레슬매니아 40 1일차 IB SPORTS 특별해설로 출현한다.

5. 출연 작품[편집]



5.1. 드라마[편집]


연도방송사방송명배역비고
2023년파일:Disney+ 로고.svg레이스인플루언서특별출연
2024년파일:SBS 로고.svg재벌X형사

6. 플레이 스타일[편집]


유희관/플레이 스타일

7. 여담[편집]


유희관/여담 문서 참조

4월 6일에는 미국 레슬링 단체인WWE에서 제일 큰 행상인 WWE 레슬매니아 XL 1일차 중계를 하기도 했다.


8. 수상 경력[편집]


수상한국시리즈 우승 3회 (2015, 2016, 2019)
플레이오프 MVP (2013)
최동원상 (2015)


9. 관련 문서[편집]




10. 둘러보기[편집]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4년 4월 KBO 리그 월간 MVP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유희관
(두산 베어스)
박병호
(넥센 히어로즈)
파일:KBO 리그 로고(엠블럼/영문, 2013~2021).svg 2016년 8월 KBO 리그 월간 MVP
양현종
(KIA 타이거즈)
유희관
(두산 베어스)
최형우
(삼성 라이온즈)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2 08:39:32에 나무위키 유희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유튜브 영상에 서울 대표로 나와서 직접 언급했다. [2] 배재고에서 전학.[3] 사회체육학 2005학번.[4] 네이버 프로필 기준. 정수빈, 허경민과 키가 비슷한 것으로 보아 실제 키는 175cm 전후로 추정된다.[5] 사인하는 모습을 보면 오른손으로 사인을 한다. 따라서 야구를 할 때만 왼손으로 던지고 일상생활은 오른손으로 하는 다른손잡이이다.[6] 2023년 4월 5일에 올라온 유튜브 공지에 의하면, 샌드박스와의 계약이 만료되어 영상 업로드가 잠시 중단되었다고 한다. 이후 원래 소속사였던 리코스포츠에이전시의 지원 하에 유튜브를 운영하고 있다.[7] 베어스 최초의 통산 100승 투수는 109승을 거둔 우완투수 장호연이다.[8] 그동안 베어스 프랜차이즈로 이름을 알린 좌완 투수는 황태환, 윤석환, 이혜천, 게리 레스 정도로 이들 중 꾸준히 활약하며 간판 스타의 위상을 가진 건 유희관이 유일하다.[9] 느림의 미학이라는 별명은 원조이자 상징격인 성준을 시작으로 전병호를 거쳐서 유희관에게 넘어갔다.[10] 2021년까지 리그 내 최연소 해설위원은 1983년생 이동현이었다. KBS N SPORTS 소속만으로 보면 1982년생의 김태균.[11] 실제로 자신이 탈모인이라고 밝혔는데, 영상에서는 부분가발 협찬 제의가 많이 들어왔다고 한다.[12] 유희관 관련 퀴즈가 나오기도 했는데 내용이 SSG 타자들 중 누가 유희관에게 홈런을 가장 많이 쳤는가? 라는 내용이어서 벙찐 표정을 보여주기도 했다. 정답은 최정.[13] 실제로 유튜브에 올라와서 진실로 확인됐다.[14] 이 날 경기는 하필이면 8:2로 두산이 대패하는 바람에 유희관의 단독 콘서트 현장이 되어버렸다는 반응이 압도적이다.[15] 방송에서 그 날 초저속 커브가 전부 볼이 나왔다고 언급된다. 물론 여기서 초저속 커브란 아리랑볼이다.[16] 미국시간: 2024년 4월 6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