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명항

덤프버전 :


조선 정승

영조 ~ 정조
[ 좌의정 ]
제225대}}}
이광좌
제226대}}}
류봉휘
제227대}}}
조태억
제228대}}}
정호
제229대}}}
민진원
제230대}}}
이관명
제231·232대}}}
홍치중
제233대}}}
조태억
제234대}}}
홍치중
제235대}}}
이태좌
제236대}}}
이집
제237대}}}
조문명
제238·239대}}}
서명균
제240·241대}}}
김재로
제242대}}}
송인명
제243대}}}
정석오
제244대}}}
조현명
제245대}}}
김약로
제246대}}}
조현명
제247대}}}
이종성
제248·249대}}}
이천보
제250대}}}
김상로
제251대}}}
신만
제252대}}}
김상로
제253대}}}
신만
제254대}}}
이후
제255대}}}
홍봉한
제256대}}}
정휘량
제257대}}}
홍봉한
제258·259대}}}
윤동도
제260대}}}
김상복
제261대}}}
김치인
제262대}}}
윤동도
제263대}}}
김치인
제264대}}}
한익모
제265대}}}
김양택
제266대}}}
한익모
제267대}}}
김양택
제268대}}}
김상복
제269대}}}
한익모
제270대}}}
신회
제271대}}}
이은
제272대}}}
김상철
제273대}}}
이은
제274대}}}
김상철
제275대}}}
이은
제276대}}}
김상철
제277대}}}
이은
제278대}}}
이사관
제279대}}}
홍인한

제280대}}}
이사관
제281대}}}
이은
제282대}}}
신회

제283대}}}
김상철
제284대}}}
정존겸
제285대}}}
서명선
제286대}}}
홍낙순
제287대}}}
이은
제288대}}}
서명선
제289대}}}
홍낙성
제290대}}}
이복원
제291대}}}
홍낙성
제292대}}}
이복원
제293대}}}
홍낙성
제294대}}}
이복원
제295대}}}
이재협
제296대}}}
이성원
제297대}}}
이재협
제298대}}}
채제공
제299대}}}
김종수
제300·301대}}}
김이소
제302대}}}
유언호
제303대}}}
채제공

>{{{#!wiki style="display: inline-block; min-width:25%"
[ 우의정 ]
제258대}}}
류봉휘
제259대}}}
조태억
제260대}}}
정호
제261대}}}
민진원
제262대}}}
이관명
제263대}}}
홍치중
제264대}}}
조도빈
제265대}}}
이의현
제266대}}}
홍치중
제267대}}}
심수현
제268대}}}
오명항
제269대}}}
이태좌
제270대}}}
이집
제271대}}}
조문명
제272대}}}
서명균
제273대}}}
김흥경
제274대}}}
송인명
제275대}}}
유척기
제276대}}}
송인명
제277·278대}}}
조현명
제279대}}}
정석오
제280대}}}
민응수
제281대}}}
김약로
제282대}}}
정우량
제283대}}}
이천보
제284대}}}
김상로
제285대}}}
조재호
제286대}}}
신만
제287대}}}
이후
제288대}}}
신만
제289대}}}
이후
제290대}}}
민백상
제291대}}}
홍봉한
제292대}}}
정휘량
제293대}}}
윤동도
제294대}}}
김상복
제295대}}}
김치인
제296대}}}
서지수
제297대}}}
김치인
제298대}}}
김양택
제299대}}}
김상철
제300대}}}
이창의
제301대}}}
김상철
제302대}}}
이은
제303대}}}
신회
제304대}}}
이사관
제305대}}}
원인손
제306대}}}
이사관
제307대}}}
원인손
제308대}}}
이사관
제309대}}}
원인손
제310대}}}
이사관
제311대}}}
홍인한
제312대}}}
이사관
제313대}}}
이은

제314대}}}
정존겸
제315대}}}
서명선
제316대}}}
정홍순
제317대}}}
홍낙순
제318·319대}}}
이휘지
제320대}}}
이복원
제321대}}}
김익
제322대}}}
이복원
제323·324대}}}
김익
제325대}}}
조경
제326대}}}
유언호
제327대}}}
이성원
제328대}}}
채제공
제329·330대}}}
김종수
제331대}}}
박종악
제332대}}}
김이소
제333대}}}
김희
제334대}}}
이병모
제335대}}}
채제공
제336대}}}
윤시동



오명항 관련 틀
[ 펼치기 · 접기 ]
파일:조선 어기 문장.svg 조선 분무공신
[ 펼치기 · 접기 ]
1728년 4월 26일 영조에 의해 책록
수충갈성결기효력분무공신 (1등)
오명항
수충갈성결기분무공신 (2등)
김중만박문수박찬선박필건
이만빈이 삼조문명
수충갈성분무공신 (3등)
권희학김 협박동형이보혁
이수량이익필조현명






조선 정승
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 충효공(忠孝公)
오명항
吳命恒
파일:오명항 양무공신도상.jpg보물 1177호 〈오명항 초상 및 양무공신교서〉 중 초상화
출생1673년 5월 29일
(음력 현종 14년 4월 14일)
사망1728년 10월 11일 (향년 55세)
(음력 영조 4년 9월 9일)
봉호해은부원군(海恩府院君)
시호충효(忠孝)
본관해주 오씨
사상(士常)
모암(慕菴)
붕당소론
부모부친 - 오수량(吳遂良, 1644 ~ 1692)
모친 - 함양 여씨(咸陽呂氏) 여성제(呂聖齊, 1625 ~ 1691)의 딸
형제자매형 - 오명준(吳命峻, 1662 ~ 1723)
남동생 - 오명신(吳命新)
부인해주 최씨 - 최기창(崔起昌)의 딸
자녀장남 - 오언구(吳彦耇)
장녀 - 한덕길(韓德吉)의 처

1. 소개
2. 생애
3. 관련 문서



1. 소개[편집]


조선 후기의 문신으로 분무공신, 우의정에 올랐다. 붕당은 소론이며, 영조 집권초기 이인좌의 난을 진압한 것으로 유명하다. 조선의 마지막 1등 공신이다. 오윤겸의 현손이자 소론계 중진인 대제학 오도일의 종손이다.

해주 오씨 경파의 시조 묘역인 용인 처인구 모현면 오산리에 묘소가 있다.


2. 생애[편집]


1673년(현종 14) 태어나 1705년(숙종 31) 문과 급제했다. 여러 관직을 역임하다가 숙종소론을 여당으로 삼으면서 1715년 이조 좌랑이 된다. 이듬해 경상도, 강원도, 평안도 관찰사 등을 역임하다가, 1724년 영조 즉위 후 소론이 실각하자 사직서를 낸다. 1727년 정미환국으로 소론이 다시 여당이 되면서 오명항도 이조판서, 병조판서에 잇달아 오른다.

1728년 이인좌의 난이 일어나자, 영조는 오명항을 4도 도순무사 겸 판의금부사로 임명하고 난을 진압하게 한다. 이인좌 역시 소론으로, 소론이 스스로 진압케 하려는 궁리도 있었다. 본인도 병조판서를 역임한 적이 있고 전략·전술에 능했다. 이인좌의 첩자와 자객을 모두 잡아냈고, 안성·죽산에서 반군을 격퇴해 이인좌를 생포했다. 파죽지세로 추풍령을 넘어 영남의 반란군을 조기에 분쇄하면서 호남의 역도들과 합세하지 못하게 해 한 달 여만에 난을 평정했다. 결국 반란군의 핵심이었던 충청의 이인좌군을 조기에 격파한 것이 반란 진압의 열쇠가 된 셈.

상당히 덕장 스타일이었던 것으로 보이는데, 발걸음을 숨기고 산 뒤쪽을 점거하기로 한 부대가 군령을 어기고 깃발을 세우고 북소리까지 울리며 진군한 바람에 이인좌가 남은 군을 이끌고 미리 산을 올라가버려 전략이 크게 꼬일뻔했음에도 나무라기만 했을뿐 벌을 내리지 않았으며 이후 종사관 조현명이 군법은 엄격해야 한다고 지적하자, "국가가 태평한 지 1백 년이어서 군기가 느슨해졌으니, 갑자기 엄격한 군율을 들이대면 원망만 늘 것 아니겠나"라고 답했다. 또한 군영에서 잠을 잘 때 부하들이 볼 때는 일부러 크게 코를 골면서 잠을 자는척 했는데, 얼마나 자신이 있으면 저렇게 편안하게 자겠냐면서 사기가 올랐다고 한다.

이인좌의 난 진압 후 분무공신 1등에 봉해졌고 우찬성을 거쳐 우의정에 임명돼 해은부원군의 작위를 받았다. 얼마 안돼 사망했는데 영조가 직접 제문을 짓고 아들을 중용하게 했다. 그가 장수했으면 영의정은 따놓은 당상이었고 소론도 더 집권할 수 있었을지 모른다. 이인좌 때문에 숙청되고 세가 약해진 소론은 곧 권좌를 놓는다. 영조는 이후 노론을 여당으로 삼고 순조 때의 세도정치 전까지 조선 조정은 노론 일색이 됐다.

항목 위에 있는 오명항 초상화는 보물 1177호로, 장만의 초상 등과 더불어 조선시대 사실주의 기법을 잘 보여준다. 얼룩같은 검은 점들은 마마 자국을 묘사한 것이다. 얼굴이 검어 간질환이 상당히 진행된 상태이며 사인이 간경변이라는 것을 보여준다. 오명항의 초상은 두 점이 더 남아 있는데 모두 같은 특징을 띈다. 그의 집안은 선조인 오도일부터 오명항 본인을 거쳐 후손인 오태증에 이르기까지 대대로 애주가로 유명했는데 이게 영향을 주지 않았나 싶다.
파일:1680190360367.jpg
위 초상화와 같은 해에 그려진 초상화인데, 병세가 심각하게 악화되어 흑색황달이 일어난 나머지 얼굴이 완전히 갈색으로 변해버린 모습이 그려져 있다. 이 초상화는 덴리대학 도서관에 소장되어있다.


3. 관련 문서[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0 07:24:04에 나무위키 오명항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