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드워드 엘가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엘가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일본의 대형 버스에 대한 내용은 이스즈 엘가 문서
이스즈 엘가번 문단을
이스즈 엘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아파트 브랜드에 대한 내용은 모아엘가 문서
모아엘가번 문단을
모아엘가#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사랑의 인사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씨야의 정규 2집 수록곡에 대한 내용은 Lovely Sweetheart 문서
Lovely Sweetheart번 문단을
Lovely Sweetheart#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 펼치기 · 접기 ]
고대메소포타미아 음악후르리인의 닌갈 찬가
그리스 음악세이킬로스의 노래
중세노트르담 악파레오냉 · 페로탱
아르스 노바노바 · 비트리 · 마쇼
기타란디니 · 던스터블 · 빙엔
르네상스 음악부르고뉴 악파뒤파이 · 뱅슈아
플랑드르 악파오케겜 · 프레 · 이자크
이탈리아팔레스트리나 · 카치니 · 가브리엘리 · 라수스
영국탈리스 · 버드 · 다울런드
독일스벨링크 · 프레토리우스 · 하슬러
바로크 음악프랑스샹보니에르 · 륄리 · 마레 · 캉프라 · 샤르팡티에 · 라모 · 쿠프랭 · 드 라 게르 · 르클레르 · 루아예
이탈리아몬테베르디 · 프레스코발디 · 카발리 · 스트로치 · 스트라델라 · A. 스카를라티 · 토렐리 · 스테파니 · 코렐리 · 로티 · 칼다라 · 보논치니 · 알비노니 · 비발디 · D. 스카를라티 · 포르포라 · 페오 · 타르티니 · 제미니아니 · 빈치 · 로카텔리 · 레오 · R. 브로스키 · C. 브로스키
중부유럽비버 · 쉿츠 · 프로베르거 · 파헬벨 · 툰더 · 북스테후데 · 바흐 · 텔레만 · 파슈 · 마테존 · 젤렌카 · 피젠델
영국퍼셀 · 헨델 · 애비슨
고전주의전고전(로코코)하세 · 마르티니 · 갈루피 · 페르골레지 · 루소 · W. F. 바흐 · 보이스 · C. P. E. 바흐 · J. 슈타미츠 · 글루크 · L. 모차르트 ·
초기 고전파트라에타하이든고세크 · M. 하이든C. 슈타미츠 · J. C. 바흐 · 파이지엘로 · 보케리니 · 클레멘티
후기 고전파와 과도기치마로사 · 살리에리 · 모차르트 · 케루비니베토벤 · 훔멜 · 카룰리 · 소르 · 줄리아니 · 쿨라우 · 리스 · 카르카시
낭만주의전기 낭만주의초기 낭만파아구아도 · 베버 · 파가니니 · F. 모차르트 · 슈베르트 · 글린카 · 슈포어 · 메르츠
독일, 오스트리아
낭만주의
멘델스존 · 슈만 · C. 슈만
미국, 프랑스
낭만주의
메로 · 베를리오즈 · 구노 · 포스터 · 고트샬크
비르투오소 피아니스트쇼팽 · 리스트 · 알캉 · 헨젤트 · 체르니
오페라로시니 · 마이어베어 · 도니체티 · 벨리니
빈 왈츠J. 슈트라우스 1세 · J. 슈트라우스 2세 · 페피 · E. 슈트라우스 · 주페 · 치러
후기 낭만주의독일, 오스트리아
후기 낭만
브람스 · 바그너 · 브루크너 · 브루흐 · R. 슈트라우스 · 말러 · 레거 · 로트 · 코른골트 · 라프 · 라이네케 · 모슈코프스키 · 라인베르거 · 이바노비치
이탈리아
낭만주의 오페라
베르디 · 폰키엘리 · 푸치니 · 레온카발로 · 마스카니
프랑스
후기 낭만
비외탕 · 생상스 · 비제 · 오펜바흐 · 발퇴펠 · 뒤카 · 포레 · 프랑크 · 랄로 · 이자이
러시아
후기 낭만
차이콥스키 · 라흐마니노프 · 스크랴빈 · 메트네르 · 아렌스키 · 글라주노프 · 칼리니코프보르트키에비치
영국
낭만주의
엘가 · 홀스트 · 브리지 · 본 윌리엄스 · 블리스 · 핀치
국민악파러시아무소륵스키 · 보로딘 · 림스키코르사코프 · 발라키레프 · 큐이 · 글리에르
중부유럽스메타나 파일:체코 국기.svg · 드보르자크 파일:체코 국기.svg · 야나체크 파일:체코 국기.svg · 에네스쿠 파일:루마니아 국기.svg · 도흐나니 파일:헝가리 국기.svg · 블라디게로프 파일:불가리아 국기.svg · 비에니아프스키 파일:폴란드 국기.svg
북유럽닐센 파일:덴마크 국기.svg · 그리그 파일:노르웨이 국기.svg · 시벨리우스 파일:핀란드 국기.svg · 알벤 파일:스웨덴 국기.svg
스페인사라사테 · 타레가 · 알베니스 · 라라 · 그라나도스 · 파야 · 요베트 · 투리나 · 로드리고
프랑스, 이탈리아쇼송 · 당디 · 레스피기
20세기 음악
인상주의드뷔시 · 라벨 · 고베르이베르
신고전주의스트라빈스키 · 힌데미트
제2빈악파쇤베르크 · 베베른 · 베르크
프랑스
근현대음악
사티 · 풀랑크 · 불랑제 · 미요 · 테유페르 · 오네게르 · 메시앙 · 뒤티외 · 불레즈 · 졸리베 · 페송
영국
근현대음악
브리튼 · 월튼 · 티펫
미대륙
근현대음악
코플런드 · 피아졸라 · 히나스테라 · 폰세 · 빌라-로부스 · 캐시디조플린 · 거슈윈 · 번스타인 · 바버 · 아이브스 · 바레즈 · 케이지 · 크럼 · 펠드먼 · 볼컴 · 글래스 · 라이히 · 애덤스 · 리버만 · 로사스
소련-러시아
근현대음악
프로코피예프 · 쇼스타코비치 · 하차투리안 · 시닛케 · 카발레프스키 · 먀스콥스키 · 구바이둘리나 · 셰드린카푸스틴스코릭
헝가리
근현대음악
버르토크 · 코다이 · 리게티
폴란드
현대음악
루토스와프스키 · 펜데레츠키구레츠키
독일-오스트리아
현대음악
슈토크하우젠 · 치머만 · 라헨만 · 헨체
이탈리아
현대음악
노노 · 달라피콜라 · 베리오 · 샤리노 · 페델레
한국
현대음악
백병동 · 강석희 · 나인용 · 나운영 · 이만방
기타크세나키스 · 김순남
윤이상 · 라우타바라 · · 타케미츠 · 진은숙 · 박-파안 영희 · 요시마츠 · · 도이처


[ 펼치기 · 접기 ]
100 Greatest Britons
※ 2002년 영국 BBC 방송이 영국인을 대상으로 실시한 여론조사를 바탕으로 '가장 위대한 영국인 100명'을 선정
TOP 10
1위2위3위4위5위
윈스턴 처칠이점바드 킹덤 브루넬다이애나 스펜서찰스 다윈윌리엄 셰익스피어
6위7위8위9위10위
아이작 뉴턴엘리자베스 1세존 레논호레이쇼 넬슨올리버 크롬웰
11위~100위
[ 펼치기 · 접기 ]
11위12위13위14위15위
어니스트 섀클턴제임스 쿡로버트 베이든 파월알프레드 대왕아서 웰즐리
16위17위18위19위20위
마거릿 대처마이클 크로포드빅토리아 여왕폴 매카트니알렉산더 플레밍
21위22위23위24위25위
앨런 튜링마이클 패러데이오와인 글린두르엘리자베스 2세스티븐 호킹
26위27위28위29위30위
윌리엄 틴들에멀린 팽크허스트윌리엄 윌버포스데이비드 보위가이 포크스
31위32위33위34위35위
레오나르드 체셔에릭 모어캠브데이비드 베컴토머스 페인부디카
36위37위38위39위40위
스티브 레드그레이브토머스 모어윌리엄 블레이크존 해리슨헨리 8세
41위42위43위44위45위
찰스 디킨스프랭크 휘틀존 필존 로지 베어드어나이린 베번
46위47위48위49위50위
보이 조지더글러스 베이더윌리엄 월레스프랜시스 드레이크존 웨슬리
51위52위53위54위55위
아서 왕플로렌스 나이팅게일토머스 에드워드 로렌스로버트 스콧이넉 파월
56위57위58위59위60위
클리프 리처드알렉산더 그레이엄 벨프레디 머큐리줄리 앤드류스에드워드 엘가
61위62위63위64위65위
엘리자베스 보우스라이언조지 해리슨데이비드 애튼버러제임스 코널리조지 스티븐슨
66위67위68위69위70위
찰리 채플린토니 블레어윌리엄 캑스턴바비 무어제인 오스틴
71위72위73위74위75위
윌리엄 부스헨리 5세알레이스터 크로울리로버트 1세밥 겔도프 (아일랜드인)
76위77위78위79위80위
무명용사로비 윌리엄스에드워드 제너데이비드 로이드 조지찰스 배비지
81위82위83위84위85위
제프리 초서리처드 3세J. K. 롤링제임스 와트리처드 브랜슨
86위87위88위89위90위
보노 (아일랜드인)존 라이든버나드 로 몽고메리도날드 캠벨헨리 2세
91위92위93위94위95위
제임스 클러크 맥스웰J. R. R. 톨킨월터 롤리에드워드 1세반스 월리스
96위97위98위99위100위
리처드 버튼토니 벤데이비드 리빙스턴팀 버너스리마리 스톱스
출처
같이 보기: 위대한 인물 시리즈


OM[1] GCVO[2] 1st Baronet[3]
에드워드 엘가
Sir Edward Elgar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640px-Edward_Elgar.jpg
본명에드워드 윌리엄 엘가
Edward William Elgar
출생1857년 6월 2일
영국 잉글랜드 우스터
사망1934년 2월 23일 (향년 76세)
영국 잉글랜드 우스터
국적
파일:영국 국기.svg

직업작곡가, 지휘자, 오르간 연주자
사조낭만주의, 국민악파
배우자캐롤라인 앨리스 엘가(1889 ~ 1920)
종교가톨릭[4]

1. 개요
2. 작품
2.1. 관현악곡
2.2. 실내악
2.3. 독주
2.4. 협주곡
2.5. 현악합주
2.6. 합창
2.7. 가곡&독창



1. 개요[편집]


영국작곡가. 낭만주의 또는 넓은 의미의 국민악파 작곡가로 분류된다. 잉글랜드우스터 근처에서 태어났다. 가톨릭 교회 오르간 연주자이며 피아노 조율사였던 아버지의 영향으로 독학으로 음악을 공부했으며 성년이 된 엘가도 가톨릭 교회에서 오르간 연주를 했다. 그 사이 아버지의 권유로 변호사 사무실에서 일을 하기도 했다.
그가 영국 왕실의 요청으로 작곡한 위풍당당 행진곡은 영국의 제2국가로 자리매김했으며 메리트 훈장과 빅토리아 여왕 훈장을 받았다. 영국의 고전음악 작곡가들 중에서는 그나마 일반인들에게 이름이 널리 알려진 작곡가.[5]

우리에겐 위풍당당 행진곡과 사랑의 인사[6]로 알려진 영국의 클래식 음악가이다. 영국은 헨리 퍼셀(1659-1695)이 요절한 후로는 200년 넘게 유명한 영국 출신 음악가가 없어서[7] 그 시대 영국인들도 당황스러워할 정도였는데 드디어 20세기를 시작하며 200년만에 나타난 대작곡가이다. 엘가를 시작으로 본 윌리엄스, 벤저민 브리튼 등의 세계적으로도 명성을 누리는 작곡가들이 등장했고[8], 덕분에 20세기의 영국 고전음악은 중흥기였다고 평가받는 편이다.

노년기에는 회의론자가 되긴 했지만, 장년기까지 독실한 가톨릭 신도로서 반가톨릭 정서가 강했던 당시 영국에선 성공이 쉽지 않던 소수계층이었으며, 40살 넘게까지는 그리 알려지지 않은 작곡가였다. 하지만 1899년에 발표한 수수께끼 변주곡이 엄청난 인기를 끌었고, 그 이후 오라토리오 제론티우스의 꿈, 위풍당당 행진곡, 교향곡 1번, 바이올린 협주곡이 연타석으로 당시 영국은 물론이고 유럽에서도 대박이 나서 영국에서는 당대 최고의 작곡가로 제1차 세계대전 발발 전까지는 슈퍼스타와 같은 인기와 관심을 받기도 했다.

다만 1918년 이후에는 낭만적의 정점을 달리는 엘가의 작품들은 당시 치고 올라오던 다른 젊은 영국 작곡가나 시벨리우스에 밀려 예전만큼의 인기는 없었다고 한다. 그래도 교향곡 2번과 첼로 협주곡은 유명하고 현재도 연주를 많이 하는 편.

영국 20파운드에도 모습을 드러냈는데, 150번째 생일을 맞이하기 직전인 2007년 3월 13일 애덤 스미스와 교체당했다. 때문에 에드워드 엘가 탄생 150주년 기념행사를 준비하고 있던 단체들이 이게 무슨 지거리야 허탈해했다고 한다. 참고로 이렇게 지폐에서 하차하게 된 이유는 얼굴 도안이 너무 위조하기 쉬워서였다고(...)

소설 멋진 징조들에서 살짝 놀림감이 된 적이 있다. 천사인 아지라파엘과 악마인 크롤리가 천국과 지옥에 대한 이야기를 나누는데, 크롤리가 "우리 지옥에는 베토벤, 브람스, 바흐, 모차르트 등등이 있지. 너희 천국에는 엘가와 리스트 뿐이잖아? 엘가의 곡과 함께 영원히 시간을 보낸다는 게 말이 되냐?"라며 신나게 깐다. 이에 아지라파엘은 "편안한 마음으로 보낼 수 있지 뭐......"라고 얼버무리는데 사실상 크롤리의 주장에 손을 든 격.

아내 캐롤라인 앨리스 로버츠(결혼 후 캐롤라인 앨리스 엘가)와의 러브스토리도 유명하다. 엘가가 학생들에게 피아노를 가르치며 가난하게 살던 시절, 귀족(육군 중장)의 딸인 연상의 여성 앨리스가 피아노 제자로 들어왔다. 앨리스는 엘가의 재능과 자질을 알아보고 그를 응원했으며 이내 두 사람은 사랑에 빠지게 된다. 두 사람의 배경이 너무나 크게 차이났기에[9] 앨리스의 가족들은 둘의 관계를 극렬히 반대하였으나, 두 사람은 굴하지 않고 결국 자기들끼리 약혼을 했다. 이 때 엘가가 앨리스에 대한 사랑과 감사를 담아 지어 헌정한 곡이 우리에게 7공주의 러브송으로 잘 알려져 있는 명곡 '사랑의 인사(Salut D'Amour, 1888)'이다.[10][11] 이에 앨리스는 '바람부는 새벽(The Wind at Dawn)'이라는 자작시를 지어 화답했다고 한다. 이듬해 두 사람은 마침내 결혼을 했고, 이후로도 엘가는 앨리스의 내조를 받으며 수많은 명곡을 지었다. 하지만 앨리스는 1920년 남편보다 먼저 세상을 떠났고, 슬픔에 빠진 엘가는 앨리스의 죽음 이후 한동안 작곡을 하지 않았다.

도라벨라 암호의 창시자이기도 하다. 아직까지 해독이 안 되었다.

시대가 시대이다보니 본인 지휘의 녹음도 꽤 남겼는데 EMI(현 워너뮤직)에서 이 녹음들을 묶어 CD 9장 분량의 전집을 발매한 적이 있다.


2. 작품[편집]



2.1. 관현악곡[편집]


위풍당당 행진곡 1번수수께끼 변주곡
  • 교향곡 1번 A플랫 장조
  • 교향곡 2번 E플랫 장조
  • 교향곡 3번 C단조(미완성)
  • 연주회 서곡 '남국에서'
  • 수수께끼 변주곡
  • 위풍당당 행진곡 1~5번
  • 프루와사르 서곡 Op.19
  • 코케인 서곡 Op.40
  • 3개의 성격 소품 Op.10
  • 소관현악을 위한 '어린이의 꿈'
  • 교향적 전주곡 '폴로니아'
  • 교향시 '팔스타프'
  • 대관식 송가


2.2. 실내악[편집]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품 '사랑의 인사(Salut d'amour)' Op.12

  • 바이올린 소나타 E단조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소품 '사랑의 인사' Op.12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2개의 소품 Op.13
  • 바이올린과 피아노를 위한 2개의 소품 Op.15
  • 현악 4중주 E단조
  • 피아노 5중주 A단조


2.3. 독주[편집]


  • 피아노곡 콘서트 알레그로 C장조 Op.46
  • 오르간 소나타 G장조


2.4. 협주곡 [편집]


첼로 협주곡 E단조
  • 첼로 협주곡 E단조
  • 바이올린협주곡 B단조
  • 바순과 관현악을 위한 로망스 D단조
  • 피아노 협주곡 C단조

2.5. 현악합주[편집]


  • 현악합주곡 서주와 알레그로
  • 현을 위한 세레나데 Op.20
  • 현을 위한 비가(悲歌) Op.58
  • 현, 하프, 오르간을 위한 '소스피리' Op.70


2.6. 합창[편집]


  • 아베 베룸 코르푸스 Op.2
  • 오라토리오 제론티우스의 꿈 Op.38
  • 칸타타 카락타쿠스 Op.35
  • 대관식 송가 Op.44
  • 합창곡 '흑기사' Op.25


2.7. 가곡&독창[편집]


  • 가곡 '3개의 노래' Op.16
  • 스모킹 칸타타
  • 가곡 '바다 풍경' Op.37
  • 가곡 '2개의 노래' Op.41
  • 가곡 '3개의 노래' Op.59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09 02:47:18에 나무위키 에드워드 엘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메리트 훈장(Order of Merit). 국위선양을 한 사람에게 수여하며, 최대정원이 24명으로 한정되어 있다. 엘가는 1911년에 받았다.[2] 이 훈장은 Royal Victorian Order to Knight Grand Cross(빅토리아 훈장의 최고등급)이며, 대영 제국 훈장에서 가장 높은 GBE와 급이 같다. 1933년에 이 훈장을 받았기 때문에 엘가가 녹음하던 시기의 LP표지에는 한단계 낮은 KCVO라고 적혀있다 이 훈장은 대영 제국 훈장의 KBE와 급이 같다. 현재 이 훈장은 국가에 봉사한 사람에게 수여하고 있으며, 정원에 제한은 없으나, 그 대상이 왕족, 군인, 외교관 등 국가에 관계된 사람에 한정되어 있다.[3] 1931년 준남작서임.[4] 영국이 세계를 호령하던 시대에 영국에서 가장 사랑받는 작곡가였지만 가톨릭 신자이자 가톨릭 교회에서 오르가니스트로 일했던 부친의 영향을 받아 당시 영국 내 대세였던 성공회가 아닌 가톨릭을 믿었다. 오라토리오 제론티우스의 꿈이 성공회에서 가톨릭으로 개종한 추기경 성 존 헨리 뉴먼의 시를 바탕으로 작곡되었다.[5]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헨델은 영국에서 활동하여 웨스트민스터 사원에 묻혔으나, 독일 태생이다.[6] 컬러링 베이비 7공주의 러브송이 이 곡에 가사를 붙이고 편곡한 것이며, 씨야의 동명의 곡에도 샘플링되어 있다. 신기한 건 두 그룹 모두 슈가맨에 출연해 레전드를 찍었다. 거기다가 두 팀 모두 희열팀으로 배정되었다.[7] 그나마(?) 르네상스음악 시기에는 영국에도 탤리스(Thomas Tallis), 버드(William Byrd), 다울런드(John Dowland) 같은 네임드들이 있었다.[8] 영국 국가 편곡 중 가장 인기가 많은 버전들이 에드워드 엘가벤저민 브리튼이 각각 편곡한 것들이다.[9] 엘가는 평민 출신에 빈곤했고 가톨릭 신자였던 반면 앨리스는 귀공녀 엘리트였고 개신교 신자였다.[10] 사랑의 인사 악보에는 'à Carice' 라는 헌사가 적혀 있다고 한다. 아내의 이름 캐롤라인 앨리스(Caroline Alice)를 줄인 애칭. 1890년 엘가 부부의 외동딸이 태어났는데, 부부는 이 딸의 이름도 Carice라고 지었다.[11] 앨리스가 독일어를 잘 해서 엘가도 원래는 독일어로 Liebesgruss라는 제목을 붙였는데 출판 시 출판사에서 임의로 프랑스어로 제목을 바꿨다는 이야기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