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짝반짝 캐치! 티니핑

덤프버전 :

파일:KBS 2TV 로고.svg 시사교양 프로그램

[ 펼치기 · 접기 ]

||<tablealign=center><tablewidth=100%><tablebgcolor=#fbb800><width=20%><height=80><color=#373a3c> 교양 ||<width=80%><colbgcolor=#ffffff,#1f2023>해 볼만한 아침 M&W
평일
07:00, UHD
2TV 생생정보
평일
18:40
|세상의 모든 다큐

17:10
|영상앨범 산

07:10
||
||<height=80><color=#373a3c> 시사 ||9층 시사국

22:40
KBS 재난방송센터

07:00
||
||<height=80><color=#373a3c> 어린이 ||TV유치원
월 - 목
15:30
신비아파트 고스트볼 ZERO

17:00
누가 누가 잘하나

16:00
|거멍숲을 지켜라! 버디프렌즈

17:00
다이노파워즈 2

17:15
||
||<-2><bgcolor=#f0f0f0,#1f2023> 전체 방송 프로그램 보기 ||



티니핑 시리즈 목록
극장판
1대2대3대
^극장판 캐치! 티니핑 1기 (가제)^
(2024)
^극장판 캐치! 티니핑 2기 (가제)^
(미정)
^극장판 캐치! 티니핑 3기 (가제)^
(미정)




반짝반짝 캐치! 티니핑 (2021~2022)
파일:반짝반짝 캐치! 티니핑.jpg

1. 개요
2. 방영 전 정보
3. 줄거리
4. PV
6. 주제가
6.1. 오프닝
6.2. 엔딩
6.3. 삽입곡(보석티니핑송)
8. 성우진
8.1. 기존 성우진
8.2. 2기 추가 성우진
9. 평가
9.1. 호평
9.2. 비판
10. 기타



1. 개요[편집]


SAMG 엔터테인먼트TV 애니메이션티니핑 시리즈 중 제2기. 2021년 9월 22일부터 2022년 3월 16일까지 재능TV에서 본방송했으며[1], 2021년 10월 28일부터 2022년 5월 5일까지 KBS에서도 재방송으로 방영했다.


2. 방영 전 정보[편집]


  • 2020년 12월 즈음 공식 홈페이지의 시청자 게시판에서 감독 장성이 2기를 제작하고 있다는 어조의 답변을 내놓은 적 있었다. 이후 2021년 1월 28일 시청자 게시판에서 장성이 2기에 등장할 티니핑이 제작이 완료되었다고 언급되었다. 추가 티니핑 관련 게시물에서는 추가 티니핑을 더 기획할 생각이 있고 차후 시즌이 제작될 수도 있다는 어조로 언급되었으며 추가될 티니핑의 이름과 대략적인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 2021년 2월 2일, 컴퓨터 그래픽 커뮤니티인 씨지링크에 삼지애니메이션이 글을 올렸는데, 캐치! 티니핑 시즌1의 완구판매 호조로 시즌2가 결정되어서 스토리보드 작가 및 조연출을 구한다는 내용이었다. 이후 2021년 3월 3일에 2021년 하반기 방영과 시리즈의 중국, 영미권 외의 해외 수출이 확정되었다.
  • 2021년 2월경 올라온 제1회차 KBS애니메이션공모 심사결과에 따르면 제목이 "캐치! 티니핑 2-반짝반짝 보석 티니핑"으로 기재되어 있다. # 이로써 2기에서는 보석을 모티브로 한 티니핑들의 등장이 예상되었다.
  • 2021년 3월 22일, KBS 시청자 게시판에 장성 PD가 밝힌 내용으로는, 2021년 9월에 캐치! 티니핑 시즌 2 방송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후 2021년 8월 18일, 캐치! 티니핑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로고 이미지가 떴는데, 설명란에 Coming soon이라고 알려졌으며, 첫 방영 기준 KBS2에서는 아직 시간대를 뒤이어 하고 있는 몬스터 탑이란 애니메이션이 완결되지 않은 걸 감안했는지, 재능TV 아침 방영으로 변경되었다.
  • 2021년 4월 13일에 에스에이엠지 엔터테인먼트의 공식 인스타그램 계정에서 제목이 '반짝반짝 캐치! 티니핑'으로 확정되었다고 한다. #
  • 2021년 8월 20일, 티니핑 공식 인스타 계정에서 2기 포스터가 올라왔으며, 2기에는 로미의 새로운 변신체와 새로운 로열핑 3명[2]조아핑, 방글핑, 믿어핑이 나올 사실과 하츄핑의 소품 변경, 로미의 새로운 아이템의 등장이 확정되었다.
  • 이후 9월 1일, 시즌2 예고가 올라왔으며, 9월 22일 재능TV 첫방송이 결정되었다. 여기서 가면핑, 까르핑, 아야핑, 맛나핑, 포근핑이 선행 공개되었다.
  • PV 공개 며칠 후, 퍼즐 굿즈의 사진이 공개됐는데, 여기서 신규 로열핑들의 이름과 금발머리의 새로운 여성 캐릭터 제니의 모습이 공개됐다.


3. 줄거리[편집]


로미 사고뭉치 티니핑들과 함께 잃어버린 보석티니핑들을 찾아라!

사고뭉치 새로운 티니핑들과 함께 펼쳐지는 흥미진진한 로미의 이야기!

하모니 마을로 돌아와 행복한 나날을 보내고 있던 로미.

하츄핑을 제외한 머지 로열티니핑은 왕립 티니핑 학교의 교사가 되어 이모션 왕국으로 돌아간 상태다.

“다들 잘 지내고 있을까?”

한편, 이모션 왕국 보석의 숲.

수수께끼의 티니핑[스포일러]

이 나타나, 보석숲에 살고 있던 보석티니핑들을 지구로 떨어뜨린다.

왕립 티니핑 학교 학생으로 로열티니핑 후보생인 조아핑, 방글핑, 믿어핑은 친구들을 구하기 위해 제멋대로 지구로 향하는데…

지구에 도착해 좌충우돌하는 조아핑, 방글핑, 믿어핑.

로미는 우여곡절 끝에 세 티니핑을 만나고, 몬쥬 박사가 만든 새로운 아이템 쥬얼 하트윙폰과 챠밍 쥬얼밴드를 받는다.

로미와 하츄핑은 아직 미숙한 조아핑, 방글핑, 믿어핑과 함께 팀을 이루어야 한다.

과연 잃어버린 보석티니핑들을 찾아내 캐치할 수 있을까?

사고뭉치 새로운 티니핑들과 함께 펼쳐지는 흥미진진한 로미의 이야기가 지금부터 시작된다!

©CATCHTEENIEPING

-

재능TV 공식 홈페이지



4. PV[편집]


티저 영상


5. 등장인물[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티니핑 시리즈/등장인물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5.1. 티니핑[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티니핑 시리즈/티니핑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6. 주제가[편집]



6.1. 오프닝[편집]


OP
TV ver.
Full ver.
티니핑×룰루팝 ver.
노래이정은
작사에스에이엠지 엔터테인먼트
작곡뜻밖의 녹음실
편곡

이 시즌부터는 가수 이정은이 오프닝을 담당하게 됐으며, 그 시즌에 등장하는 주요 로열핑들의 이름을 언급하는 가사가 추가되었다.


6.2. 엔딩[편집]


엔딩 또한 1기랑 마찬가지로 가사가 나오지 않고,[3] 영상에는 티니핑 스쿨과 수영장, 놀이터, 마카롱 가게 그림이 나오고, 다해핑을 포함한 보석핑들의 그림이 나오다가, 마지막에는 보석 로열핑들의 그림과 로고가 나오며 엔딩이 끝난다.


6.3. 삽입곡(보석티니핑송)[편집]


보석티니핑송[4]
24화 영상
노래이정은
작사뜻밖의 녹음실
작곡
편곡
다해핑을 제외한 모든 보석핑들의 이름이 언급된다.
24화 본편에서는 졸업식 장면에서 졸업 노래로 이 곡을 부르며 보석핑들이 학사모를 쓰고 그 유명한 문워크, 셔플댄스, 시바견 춤, 트월킹 등등을 춘다.


7. 회차 목록[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티니핑 시리즈/회차 목록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8. 성우진[편집]


중반부까지는 예산 문제 때문이었는지[5] 주연 성우[6]를 제외하면 지상파(KBS, EBS) 소속의 신인 성우들이 주로 추가됐었다. 그래도 2022년도에 들어서면서부터 투니버스대원, MBC 성우도 섭외되면서, 최종적으로 18명[7]의 성우가 추가됐다. 1기에서는 거의 홀대나 다름없었던 EBS 외 지상파 성우(KBS, MBC 소속 성우)를 조금 더 투입한 것이 의의.[8]


8.1. 기존 성우진[편집]


2기에서 새롭게 맡은 배역은 볼드체.
엔딩 크레딧에는 이 성우들[9]박지윤, 김선혜, 문남숙[10] 표기돼 있다.



8.2. 2기 추가 성우진[편집]


2기까지 누적 60명의 성우[11][12]가 출연했다.
이번 작품 역시 추가 캐스팅은 유튜브 채널의 예고편 설명란에서 확인 가능하다.[13]

  • 문남숙 - 방글핑
  • 김선혜 - 믿어핑[A]
  • 박지윤 - 조아핑
  • 이명희 - 다해핑, 가면핑
  • 이명호 - 까르핑
  • 김예림 - 소원핑
  • 유보라 - 토닥핑
  • 이상준 - 쪼꼼핑[14][B]
  • 김보민 - 맛나핑
  • 민아 - 포근핑
  • 김아롱 - 메모핑[B]
  • 방시우 - 공쥬핑
  • 이민규 - 도둑 1[15]
  • 김혜성 - 짝짝핑, 도둑 2[16]
  • 장미 - 주네핑
  • 김지율 - 뚝딱핑
  • 박신희 - 발레핑[A]
  • 김영은 - 원더핑


9. 평가[편집]



9.1. 호평[편집]


같은 제작사가 만들고 비슷한 시기에 방송되었던 작품인 미니특공대 애니멀트론이 전반적으로 전작보다 퇴보한 그래픽 퀄리티와 작품 하나하나의 센스의 평가가 나빴던 것에 비해 전체적인 그래픽은 1기 캐치! 티니핑과 비슷해서 그래픽 면의 평가는 혹평이 그다지 없다. 또한 후반부 에피소드의 충격적이지만 품질이 좋은 스토리 덕에 학부모 사이에도 인기가 좋은 편이다.

또한, 전작에서는 일반 티니핑들의 수가 압도적으로 많아서 일부 티니핑들은 비중이 첫 등장 에피소드를 제외하고는 1~2번[17]이거나 1도 없는 경우[18]가 대다수였다. 하지만 이번에는 전체 에피소드 수를 반으로 줄인 데다가, 등장하는 일반 보석핑을 15명으로 줄였고, 티니핑 스쿨의 일상 장면에서 가끔 모습을 비추거나, 대사를 말하는 것으로 일반 보석핑들의 비중을 조금 더 신경써줬다.[19]


9.2. 비판[편집]


티니핑을 전부 수집해야 한다는 작품 특성 탓에 전작에도 존재하던 후반부 급전개가 다시 생겼다. 또한, 전작에도 있었던 특정 티니핑 편애 문제 또한 개선되지 않았다. 특히 조아핑과 로미의 프린세스 에메랄드 변신은 7, 14, 19화로 26화 중 단 3화뿐이며, 심지어 6화에서 본인이 이를 직접적으로 말한 바도 있었다.


10. 기타[편집]


  • 차회예고는 매주 수요일 오후 4시[20]에 유튜브 채널에서 업로드됐었다.
  • 만약 보석핑들이 흑화될 경우 머리장식의 위치와 보석이 바뀔 수도 있다.
  • 이 시리즈부터 시작 브금이 바뀌었다.
[1] 4화부터를 기점으로 재방송 3화 + 본방송 1화의 형식으로 변경했으며, 실질적인 본방 시간은 6시 30분경.[2] 셋 다 배에 황금 문양이 그려져 있지만, 기존 로열핑 마크와는 달리 가운데 부분이 왕관 대신 보석이다.[스포일러] 방영 초기에는 '수수께끼의 티니핑(다해핑)'이라고 표기되어 있었으나, 스포일러 방지를 위해 이후 다해핑의 이름이 삭제되었다.[3] 주제가 MR이 흘러나온다. (사랑의 하츄핑~빛나는 마법을 보여줘 부분)[4] 음원 사이트에는 '티니핑 졸업송'으로 기재되어 있다.[5] 뮤지컬: 프린세스 다이어리로 인한 준비 때문인 것으로 추정.[6] 박지윤, 문남숙, 김선혜, 이명희[7] 투니버스 3명, 대원 4명, KBS 4명, EBS 5명, MBC 2명[8] 전작의 경우, EBS 외 지상파 성우는 남도형, 사문영, 윤용식, 김영선밖에 없었으며, 이는 1기 전체 성우진 중 약 10%에 불과했다(4/42). 하지만 이번 시리즈에서는 6/18(1/3)로, 전작의 홀대 문제가 어느 정도 개선됐다.[9] 1기 중도 추가 성우진인 강은애, 남도형, 홍범기, 최낙윤, 홍소영은 제외.[10] 다해핑의 등장 이후부터는 이명희도 추가로 표기됐다.[11] 투니버스 출신 15명, 대원 출신 18명, EBS 출신 17명, KBS 출신 7명, MBC 출신 3명[12] 주제가까지 확장 시 대교 소속의 김유림까지 총 61명이 된다.[13] 단, 이민규는 설명란에 적혀있지 않지만, 에스에이엠지 엔터테인먼트 문의 결과 실제로 출연한 것이 맞다고 밝혀졌다. 1기의 시영준과 비슷한 사례.[A] A B 2기 내 추가 성우진 중에서는 최고참이다.(2000년 데뷔) 단, 박신희는 처음에는 대교 소속이었으나 2002년에 MBC로 이적했다.[14] 동기인 김아롱이보용과는 달리 이 작품이 그의 첫 외부 작품 녹음 참여다. [B] A B 2기 내에서, 그리고 티니핑 전체 성우진 중에서는 제일 후배다.(2019년 데뷔)[15] 파란색 잠바를 입고 목걸이를 찬 뚱뚱한 도둑[16] 빨간색 바지를 입은 홀쭉한 도둑[17] 이에 해당하는 건 부끄핑, 부투핑, 주르핑, 따라핑, 나르핑, 무셔핑, 투투핑, 차캐핑, 떠벌핑, 다조핑, 화나핑, 시러핑, 바네핑, 덜덜핑, 그림핑, 무거핑, 꺼꿀핑, 씽씽핑, 베베핑, 코자핑, 딱풀핑, 모야핑, 찌릿핑. 1기 내에서 등장 에피소드 수가 (첫 등장 에피소드를 포함해) 2개 혹은 3개뿐인 티니핑들이다.[18] 토이핑, 또까핑, 플라핑, 노라핑&노리핑, 아휴핑, 똑똑핑, 꽁꽁핑, 홀로핑. 전부 작품 후반부에 등장했으며, 1기 내에서 활약이 오직 첫 등장 에피소드 뿐이다.[19] 26화 중 (실루엣으로 등장한 에피소드를 제외 시) 까르핑 - 14편(2~3, 5, 7, 10, 11, 15~18, 20, 21, 24, 26), 아야핑 - 12편(4~5, 7, 10~11, 15~18, 21, 24, 26), 소원핑 - 10편(5, 7, 10~11, 15~16, 18, 21, 24, 26), 토닥핑 - 11편(6, 10~11, 15~18, 21~22, 24, 26), 쪼꼼핑 - 10편(7, 10~11, 15~16, 18, 21~22, 24, 26), 싹싹핑 - 12편(8, 10~12, 14, 15~18, 21, 24, 26), 맛나핑 - 12편(1, 9~12, 15~18, 21, 24, 26), 포근핑 - 11편(1, 11, 14~18, 21~22, 24, 26), 메모핑 - 10편(14~18, 20~22, 24, 26), 공쥬핑 - 6편(16, 18, 21~22, 24, 26), 짝짝핑 - 5편(18, 21~22, 24, 26), 주네핑 - 5편(19, 21~22, 24, 26), 뚝딱핑 - 5편(20~22, 24, 26), 발레핑 - 3편(22, 24, 26), 원더핑 - 3편(23, 24, 26). 일반 보석핑들의 등장을 최소 3번 이상 시켜주면서 어느 정도 개선되었다고 할 수 있다.[20] 아침 본방송이 끝난 뒤 약 7시간 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캐치! 티니핑 문서의 r53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캐치! 티니핑 문서의 r53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30 01:16:09에 나무위키 반짝반짝 캐치! 티니핑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