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디스/국가별 신용등급

덤프버전 :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무디스

국가별 지수



1. 개요
2. 신용등급
2.1. A등급
2.1.1. Aaa(1등급)
2.1.2. Aa1 ~ Aa3(2 ~ 4등급)
2.1.3. A1 ~ A3(5 ~ 7등급)
2.2. B등급
2.2.1. Baa1 ~ Baa3(8 ~ 10등급)
2.2.2. Ba1 ~ Ba3(11 ~ 13등급)
2.2.3. B1 ~ B3(14 ~ 16등급)
2.3. C등급(17 ~ 21등급)
3. 관련 문서


1. 개요[편집]


무디스에서 매년 발표하는 국가신용등급을 정리한 문서.

국제금융센터 참조

파일:US-credit-ratings-scale-Moodys-SP-Fitch.png

투자자들 사이에서 Ba1(11등급)부터는 junk 등급이라고 불리며 투자를 유의할 것을 강조한다.[1]

2. 신용등급[편집]


출처 : https://ko.tradingeconomics.com/country-list/rating
다음 순위는 2022년 6월 기준.

2.1. A등급[편집]



2.1.1. Aaa(1등급)[편집]



2.1.2. Aa1 ~ Aa3(2 ~ 4등급)[편집]



2.1.3. A1 ~ A3(5 ~ 7등급)[편집]


A1
A2
A3

2.2. B등급[편집]



2.2.1. Baa1 ~ Baa3(8 ~ 10등급)[편집]


Baa1
Baa2[2]
Baa3

2.2.2. Ba1 ~ Ba3(11 ~ 13등급)[편집]


Ba1[3]
Ba2
Ba3

2.2.3. B1 ~ B3(14 ~ 16등급)[편집]


B1
B2
B3

2.3. C등급(17 ~ 21등급)[편집]


Caa1
Caa2
Caa3
Ca
C


3. 관련 문서[편집]




[1] 1997년 외환위기 때, 한국의 신용등급이 Ba1 단계까지 떨어졌다.[2] 1997년 외완위기 때 한국의 신용 등급이 Baa2 등급으로 떨어진 후, Ba1 등급까지 떨어졌다. (A1→Baa2→Ba1)[3] 1997년 외환위기 때 한국의 신용 등급이 Ba1 등급까지 떨어졌다. (A1→Baa2→B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