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노 래티튜드

덤프버전 :

파일:다른 뜻 아이콘.svg
래티튜드은(는) 여기로 연결됩니다.
델의 노트북에 대한 내용은 Dell Latitude 시리즈 문서
Dell Latitude 시리즈번 문단을
Dell Latitude 시리즈#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 {{{#!html }}}에 대한 내용은 문서
#s-번 문단을
#s-번 문단을
# 부분을
# 부분을
참고하십시오.





파일:르노 로고(2015-2021).svg
파일:르노 래티튜드.png
LATITUDE

1. 개요
2. 1세대(2010~2016)
2.1. 전기형
2.2. 후기형
2.3. 파워트레인
2.4. 판매량
3. 여담
4. 둘러보기


RENAULT LATITUDE[1] / SAFRANE
RENAULT-SAMSUNG SM5


1. 개요[편집]


프랑스의 자동차 제조사인 르노에서 생산했던 세단 차종으로, 르노삼성 SM5배지 엔지니어링 버전이다.[2] 한국에서는 2.0L 위주의 중형차로써 판매된 반면, 유럽과 중동 시장에서는 3.5L 엔진이 적용되어 준대형 차량의 역할도 겸했다.


2. 1세대(2010~2016)[편집]



2.1. 전기형[편집]


파일:IMG_5803.jpg파일:IMG_5804.jpg파일:08B4255C-0202-44DA-B197-79C59AC9EF03.jpg
유럽형러시아 및 국제형
실내 모습 [ 펼치기 · 접기 ]
파일:B88DD10D-31AD-4970-8A19-7E136CBAAD78.jpg파일:861E84F4-ABA5-45CF-AF0A-6E57D8D86DBF.webp
3세대 공통 실내[1]
[1] SM7의 실내도 추가되어 적용되었다.

2009년 8월에 단종된 벨 사티스의 후속 차량이며, 2010년 8월에 개최된 모스크바 국제 자동차 전시회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출시 이후 플래그쉽 승용차의 지위를 누렸다. 생산은 부산광역시 르노삼성자동차 공장, 러시아 모스크바 공장에서 이루어졌다.

D 플랫폼이 적용됐으며 아시아, 호주, 동유럽 시장 등지에서 판매되었고, 멕시코 시장에서는 2011년 1분기부터 '사프란'으로 배지 엔지니어링되었다.

유럽형과 국제형은 약간 다른데, 장비 및 파워트레인에서 차이가 났고 2012년 파리 모터쇼에서 최초로 공개되었다. 이후 영국을 제외한 서유럽 시장에서 판매가 이루어졌다.

인테리어는 사프란과 같이 기존 3세대 SM5와 2세대 SM7의 2가지 실내가 적용되었으며 고급스럽다는 반응도 있었다.

2011년 판매량 면에서 크게 흥행했으나, 2012년부터 유럽 판매량이 급락했고 한국을 포함한 해외에서 무난한 실적을 올리면서 장수했다.


2.2. 후기형[편집]


파일:르노 래티튜드.png파일:87010586-9F69-49F8-92B3-7F105E0DCE22.jpg
실내 모습 [ 펼치기 · 접기 ]
파일:RS_5838.jpg파일:rs_5839.webp

2015년, SM5 노바가 출시된 시기에 SM5 플래티넘 전면부와 후면부가 적용되는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2016년에 탈리스만이 라구나와 래티튜드를 대체하면서 단종되었다. 국내 사양인 SM5는 2019년까지 후속 차종인 SM6와 함께 생산되었다.


2.3. 파워트레인[편집]


르노 래티튜드 파워트레인 정보(가솔린)
구분엔진 종류최고 출력최고 토크제로백최고 속도연비Co2 배출량
2.0L 16vDOHC I4138마력/6,000rpm194Nm/3,750rpm10.7초195km/h12.6km/L181g/km
2.5L 24vDOHC V6178마력/6,000rpm235Nm/4,400rpm9.3초208km/h12.4km/L230g/km
3.5L 24vDOHC V6240마력/6,000rpm330Nm/4,200rpm6.4초239km/h13.1km/L250g/km

르노 래티튜드 파워트레인 정보(디젤)
구분최고 출력최고 토크제로백최고 속도연비Co2 배출량비고
2.0L dCi148마력/4,000rpm340Nm/2,000rpm10.3초208km/h22.7km/L140g/kmECO2 사양
2.0L dCi173마력/3,750rpm360Nm/2,000rpm9.9초204km/h18.5km/L170g/km-
3.0L dCi237마력/3,750rpm450Nm/1,500rpm7.6초235km/h16.7km/L188g/km-


2.4. 판매량[편집]


르노 래티튜드 판매량
연도유럽 시장 판매량
2010년268대
2011년10,718대
2012년2,338대
2013년631대
2014년508대
2015년83대
2016년1대


3. 여담[편집]


파일:르노 래티튜드 싱가폴 택시.png파일:르노 래티튜드 마카오 택시.png파일:르노 래티튜드 칸 영화제 에디션.png
싱가포르 택시 모델마카오 택시 모델칸 영화제 에디션

싱가포르[3]마카오에서 택시로 많이 돌아다니는데, 이는 모두 부산광역시에서 만들어진 수출형이다. 2011년에는 칸 영화제에서 공식 의전차로 활용되기도 했었다.[4]


4. 둘러보기[편집]


>
[ 펼치기 · 접기 ]
차급판매차량단종차량
마이크로카-트위지
경차트윙고 · 트윙고 Z.E.3 · 4
소형차클리오 · 탈리안트 · 조에4CV · 도핀 · 5 · 7 · 로간/심볼 · 산데로 · 펄스
준중형차메간6 · 8/10 · 9/11 · 얼라이언스/엥코르 · 14 · 19 · 스칼라 · 플루언스 · 플루언스 Z.E.
중형차-12 · 16 · 18 · 20/30 · 21 · 라구나 · 사프란(2,3세대) · 래티튜드 · 탈리스만(2세대)
준대형차-25 · 사프란(1세대) · 벨 사티스 · 탈리스만(1세대)
스포츠카-카라벨 · 15/17 · 푸에고 · 스포트 스파이더 · 아반타임 · 윈드
경형 SUV크위드 · 크위드 E-테크 일렉트릭시티 K-ZE
소형 SUV캡처 · 캡처 E-테크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 산데로 스텝웨이/스텝웨이 · 더스터 · 카이거 · 메간 E-테크 일렉트릭 · 카르디안-
준중형 SUV오스트랄 · 오스트랄 E-테크 하이브리드 · 아르카나 · 아르카나 E-테크 하이브리드 · 라팔 · 라팔 E-테크 하이브리드 · 세닉 E-테크 일렉트릭카자르 · 콜레오스(1세대)
중형 SUV에스파스 · 에스파스 E-테크 하이브리드콜레오스(2세대)
소형 MPV트라이버모뒤스 · 롯지
준중형 MPV-세닉
중형 MPV-에스파스
픽업트럭알래스칸 · 더스터 오로크-
상용밴트래픽 · 캉구 · 마스터캉구 Z.E.
전차-FT · B1 · B1 비스 · R35 · R40
장갑차-UE 슈니예트
군용차-TRM 500
르노의 포뮬러 1 레이스카
알핀의 차량
다치아의 차량
르노코리아자동차의 차량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26 05:27:14에 나무위키 르노 래티튜드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위도 또는 사진기의 노출(露出) 허용 범위를 뜻하는 단어.[2] 다만 제원만 같을 뿐 플랫폼도 일부 다르고 초기형 한정으로 외관 디자인도 약간 다르다.[3] 택시 대부분이 아이오닉, i40, NF 쏘나타(트랜스폼 포함), 쉐보레 에피카, K5일 정도로 한국산 택시의 비중이 높은 편이다.[4] 이후 후속 차량인 탈리스만 2세대도 활용된 적이 있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