Yostar

덤프버전 :

분류



Yostar
요스타 / 上海悠星網絡科技有限公司

파일:Yostar 로고 화이트.svg
설립
2014년 8월 14일
소재지
파일:중국 국기.svg 중국 상하이시 자딩구
파일:일본 국기.svg 일본 도쿄도 치요다구
업종
게임 개발 및 퍼플리싱
웹사이트
홈페이지 / 일본 홈페이지 / Yostar+

1. 개요
2. 역사
3. 사건 사고
3.1. Sunborn과의 소녀전선 상표권 분쟁
3.2. 명일방주
3.3. 블루 아카이브 일본 서버
3.4. 가디언 테일즈 일본 서버
4. 게임 목록
4.1. 개발
4.2. 퍼블리싱
4.3. 이전에 퍼블리싱 했던 게임들
5. 자회사




1. 개요[편집]


중국, 일본의 게임 회사. 자체 개발작도 있지만 주로 중국 개발 서브컬처 게임을 일본 및 중국 국외에 서비스하거나, 블루 아카이브, 가디언 테일즈 같은 한국 개발 서브컬처 게임을 일본에 서비스하는 등의 퍼블리싱으로 유명하다.

본사 CEO로 '야오멍'이 있고, 국내에선 이형달로 알려진 '리헝다'[1]가 일본 지사 사장 직책을 맡고 있다.


2. 역사[편집]


파일:280px-StudioGM.jpg
파일:250px-GameMaster.png
StudioGM (GameMaster) 시절 로고

요스타의 모체는 2007년에 설립된 동인 서클 StudioGM다. 오리지널 작품이나 하츠네 미쿠 -Project DIVA-의 팬게임 등 동인 인디 게임을 제작하다가, 이후 2013년에는 현 SUNBORN Network Technology(미카팀)의 CEO 우중, 현 Hypergryph(鹰角网络)의 프로듀서인 통칭 해묘와 함께 턴제 전략 게임 빵집소녀를 합작하여 괜찮은 성과를 거두게 된다. 이후 미카팀과 요스타는 합심하여 본격적인 밀리터리 오타쿠 게임을 만들기로 하고 2015년부터 소녀전선의 제작에 착수하였다. 이 과정에서 미카팀은 게임 출시를 위해 2015년 10월 26일 선본 네트워크 법인을 설립하였고, 요스타는 별개의 법인 '웨이브게임즈' 를 신설하여 소녀전선 운영을 맡기로 했다.

그러나 개발측인 선본과 운영측인 웨이브게임즈 모두 미숙했던 탓에 소녀전선은 베타 테스트부터 서버 다운과 버그가 난무했다. 급기야는 2016년 1월 25일 3차 베타테스트에서 9일 동안 서버가 다운되는 대형사고가 터지고, 이로 인해 웨이브게임즈와 선본 사이에는 서로에 대한 불신이 싹텄다. 결국 크고 작은 마찰 끝에 웨이브게임즈는 선본과 결별하였다. 이 때문에 소녀전선 유저들에게는 요스타에 대한 평가가 좋지 않다. 이후 소녀전선에서 내부 불화가 일어났던 것도 야오멍파에 의한 이간질도 한몫했다. 다만 사석에서는 똑같이 요스타 소속인 해묘가 유일하게 소녀전선의 우중과 친하다는 것만 알려졌다.

이후 2016년에 자체적으로 '이세계에서 온 노노'를 개발하였으나 성적은 좋지 못했고, Manjuu와 샤먼용시네트워크가 공동개발한 벽람항로를 퍼블리싱하게 되면서 대성공을 거두게 된다. 이후, 작혼, 명일방주[2], 블루 아카이브 등의 화제작을 연이어 퍼블리싱하면서 인기 게임회사의 반열로 오르는데 성공했다.

특히 블루 아카이브는 개발사인 넷게임즈(현 넥슨게임즈)가 일본에서도 퍼블리싱 사업을 전개하는 넥슨의 자회사임에도 넥슨 자체 퍼블리싱이 아니라 요스타에게 맡겼는데, 결과적으로는 이것이 블루 아카이브의 일본 시장 안착에 한 몫을 했다는 의견도 있다. 특히나 넥슨은 이전에 일본에 진출한 게임의 운영 때문에, 평이 안좋았기 때문에 악명을 가릴 필요가 있었다.[3] 물론 이후로도 운영에 대한 사건들이나 책임 떠넘기기가 일어나면서[4] 문제가 생겼지만 그럼에도 현재의 블루아카이브의 인기는 요스타 없이는 성립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정론이다. 현지화, 성우[5], 굿즈, 운영을 담당하고 있으며 특히나 서버 1년차 게임이 불안정했던 시기 홍보하며 도왔던 것도 요스타다. 대신인지 요스타의 권리 또는 권한도 꽤 큰 것으로 추정되고 있다.

이후 SSSS.GRIDMAN의 작화감독으로 유명한 사이토 켄고를 영입하여, 자사 IP의 프로모션 및 애니메이션 미디어믹스 확장을 위한 자회사 Yostar Pictures를 설립하였다.


3. 사건 사고[편집]


주의. 사건·사고 관련 내용을 설명합니다.
이 문서는 실제로 일어난 사건·사고의 자세한 내용과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다른 퍼블리셔에 비해 상대적으로 나은 운영을 하고 있는 요스타지만 요스타 또한 서비스 하는 게임들의 서비스 연차가 쌓이면서 여러 문제점들도 발생했다. 주로 벽람항로 일본서버, 명일방주, 블루 아카이브 일본 서버의 문제가 알려지는 편이다.


3.1. Sunborn과의 소녀전선 상표권 분쟁[편집]


소녀전선의 개발사 선본 네트워크와 최초 퍼블리셔 웨이브게임즈는 둘 다 경험이 많지 않은 소규모 회사로, 이들이 손을 잡은 것은 오롯이 양사의 대표 우중과 야오멍의 친분 때문이었다. 우중과 야오멍은 2008년부터 동인활동을 함께해 온 사이로, 2013년 동인게임 <빵집소녀> 를 같이 제작한 이후 2015년 다시 소녀전선 제작을 위해 뭉쳤다. 그러나 야오멍은 애초부터 소녀전선의 흥행 가능성을 높게 보지 않아, 개발에선 발을 빼고 퍼블리싱만 맡기로 함과 동시에 자신의 본사인 요스타 대신 별도 법인 웨이브게임즈를 신설하는 방식으로 리스크를 분산시켰다.

소녀전선은 2015년 8월 31일, 10월 26일에 각각 1차, 2차 베타테스트를 치렀다. 시장의 반응은 괜찮은 편이었지만 코딩과 서버 운영 등 양사의 일천한 능력이 발목을 잡았는데, 2016년 1월 25일 3차 테스트에서 이 결점이 제대로 폭발했다. 3차 테스트가 시작된 지 2시간만에 서버가 다운되었고, 그 상태로 9일이 흘러갔다. 유료결제 가능한 베타였기 때문에 유저들의 항의가 폭주했고, 양사는 이 때부터 서로를 불신하며 반목하기 시작했다.

양측은 결국 서로를 배신할 궁리를 하기 시작했다. 우중은 퍼블리셔를 다른 곳에 맡기기 위해 몰래 '풍제네트워크(风际网络)' 에 컨택을 넣었고, 야오멍은 '호래게임즈(胡莱游戏)' 에 게임 판권을 넘기는 계약서를 몰래 작성 중이었다. 이러한 공작들은 상대방에게 둘 다 들통이 났고, 마침내 신뢰가 완전히 무너진 양측은 계약 해지에 합의했다. 그러나 야오멍은 우중이 책상 서랍에 보관 중이던 계약해지 합의서를 훔쳐내어 숨겨버렸고, 이에 폭발한 우중은 직원들을 이끌고 당시 양사가 함께 쓰던 오피스에서 하룻밤 사이에 짐을 빼 나가버렸다. 이것이 미카팀 야반도주 썰로 알려져 있는 사진의 전말.

이렇게 양측의 협력은 끝이 났고, 선본은 투자자로부터 또다른 퍼블리셔 '스카이디지털(数字天空)' 사를 소개받아 2016년 5월 20일 중국 서버를 오픈했다. 그러나 원래 동시 오픈 예정이었던 일본 서버는 웨이브게임즈 측에서 일본 관련 모든 사무를 진행했던데다 일본 상표권(少女前線)도 그 쪽에서 소유하고 있었던 관계로 결국 오픈이 무산되고 말았다. 게다가 이로 인해 선본은 2년 뒤에 또다시 야오멍에게 엿을 먹게 된다.

2018년 7월 17일, 소녀전선이 일본서버 런칭을 준비 중이던 도중 돌연 상표권 분쟁으로 상표명을 돌즈 프론트라인(ドールズフロントライン)으로 변경한다는 공지번역가 올라왔다. 갑작스런 사태에 유저들의 관심이 집중되었고, 많은 유저들의 조사 끝에 그동안 국내엔 알려지지 않았던 선본의 과거가 밝혀지기 시작했다. 이 사건은 2016년에 있었던 퍼블리셔 분쟁의 연장선이다.

소녀전선의 운영이 어느 정도 궤도에 올라서자, 선본은 그동안 미루어 왔던 숙원인 일본서버 출시를 위해 요스타 측과 상표권을 돌려받기 위한 교섭을 개시했다. 선본과 요스타는 법정에서 화해를 성립시켜, 선본 측이 비용을 지불하고 상표권을 양도받는 것으로 합의하였다. 그러나 요스타는 처음부터 선본을 엿먹일 계획이었다. 요스타는 선본 측과의 양도계약에 앞서서 제3자인 '야지마 타카나리' 에게 이미 소녀전선 상표권을 양도신청한 상태였던 것이다.# 야지마 타카나리는 변호사이자 요스타 일본지사 사장 이형달의 전 직장 동료#로, 악의로 이중양도를 했을 가능성이 아주 큰 상황. 결국 선본은 상표권을 되찾기 위해 또다시 지리한 소송전에 돌입하였고, 더이상 런칭을 늦출 수 없었던 소녀전선 일본서버는 결국 상표명을 바꿔 오픈하게 되었다.관련기사번역 이러한 이유로 일본어로 "쇼죠젠센"이라고 외치는 오프닝 콜을 정작 일본 서비스에서는 들을 수 없다.

그러나 일본에서는 벽람항로 흥행으로 인해 요스타 쪽에 우호적인 여론이 많았고, 이 때문에 이런 요약본이 돌아 선본에 불리하게 여론이 흘러갔다. 그러나 해당 요약본은 퍼블리셔 분쟁 당시 요스타 측 잘못에 대해서는 전혀 언급하지 않고, 상표권 분쟁 역시 엄연히 요스타 측의 계약 위반으로 벌어진 일임을 언급하지 않아 공정한 요약이라 볼 수 없다. 게다가 요스타 측은 당시 벽람항로 공식 트위터에서 이 요약본을 리트윗하여 여론 선동을 시도하는 등 상당히 지저분한 모습을 보였다.[6]

2020년 11월에 선본이 소송전에 승리하여 상표권을 돌려받는 데 성공했다.# 하지만 일본 서버는 이미 도루후로 명칭이 완전히 자리잡은 상태라 이를 다시 소녀전선으로 바꾸는 것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이후 발표된 후속작 소녀전선 2: 망명이 일본측 보도나 인게임 타이틀 콜에서 명칭이 '돌즈 프론트라인 2' 명칭인 것으로 드러나면서, 결국 명칭을 변경하지 못하는 것이 확실해졌다.


3.2. 명일방주[편집]


  • 일정 관련 문제:요스타의 대표작중에 하나인 명일방주의 요스타 서버[7]는 일부 일정이 중국 서버인 비리비리 서버(또는 하이퍼그리프 직영섭) 일정과 다르게 나와서 일부 명일방주 유저들의 비판이 있었다.[8][9][10] 다만 다른 서버들에서는 비교적 일정을 지적하는 여론이 거세지 않은 탓인지 요스타 측에선 일정에 대해 문제가 없다고 판단하는 것으로 보인다. 루머와 달리 5월 15일 생방송때 일정에 대한 사과는 없었다. 커뮤니티에 돌아다니는 생방송때 했던 사과문은 굿즈 일정에 대한 사과문이였던 걸로 밝혀졌다.# 이후 한국서버 인게임 설문조사에서 이와 관련된 질문을 넣은 것으로 볼때 아예 인지하지 않고 있는 건 아닌 듯 하다. 또한 2023년 하반기 일정은 빠르게 진행하고 있는 걸 보면 문제점 인지 자체는 하는 모양.

3.3. 블루 아카이브 일본 서버[편집]


  • 블루 아카이브는 한국&글로벌은 넥슨이 운영하고 있으며 일본은 요스타가 담당하고 있다.

  • 초창기~1주년: 요스타의 대표작중에 하나인 블루 아카이브 또한 일본 서비스 초창기부터 불안정한 서버와 잦은 버그로 인해 최소 10시간 이상 되는 연장점검을 하는 날이 매우 잦아 이를 참지 못해 접는 유저층이 상당 수 있었고 이들 대부분이 당시 히트를 친 우마무스메로 이탈하는 것을 막지 못했다. 이렇게 우여곡절 끝에 진행한 1주년 방송은 와카모의 실장 소식과 여러 컨텐츠의 추가로 이탈한 유저층을 되돌아오게 만들기에는 성공한 듯 했지만 페스 가챠 이후 진행되는 14연차가 유저들의 속을 뒤집어놓았다. 당시 1주년 방송 전 후로 한정 3성 학생들의 이중픽업이 지속되는 시점에서 명일방주처럼 1일 1단챠라는 이벤트는 사람 놀리는 거냐며 수많은 비판이 쏟아졌다. 또한 1주년을 기점으로 터진 수많은 버그들도 무소통으로 일관하다 버그가 터진지 한달 후에 수정하겠다는 통보식 공지를 올려 유저들이 분노하는 일도 벌어졌다. 1.5주년 때를 기점으로 점점 게임이 판이 커져가기 시작하면서 1주년에 비하면 많이 나아졌었다.

  • Get Set, Go 사태:2022년 10월에 열린 황륜대제 이벤트에서는 이벤트의 참여 보상이 이상할 정도로 고효율이라는 것이 알려지자 아무런 대책 없이 서버를 닫고 이벤트 보상을 80% 너프하겠다는 통보식 공지를 또 내는 바람에 1주년 이상으로 유저들이 불타올랐다. 이렇게 너프를 해놓고 공식 홈페이지에 올려진 Get Set, Go 이벤트 관련 사진들에서 기존의 보상을 모자이크만 달아서 수정하는 치졸한 행적을 보였다. 하마터면 게임이 위기에 놓인 상황이지만 이후 김용하 PD의 사과문과 제대로 된 사과 보상으로 사태가 일단락되었다. 2주년 이후에는 문제없이 잘 순항 중이다.

  • 최종장 이후 서버 관련 문제: 최종장 이후에는 이벤트 업데이트 때 서버가 터지는 일이 매번 발생해서 유저들한테 비판을 받고 있다. 물론 요스타도 서버 문제에 대해 알고 있어서 긴급 점검한만큼 보상도 줘서 유저들의 불만은 크지 않은 편이다. 다만 이렇게 매번 서버가 터져나가는데 문제가 되는 서버를 증설하지도 않고 긴급 점검한 것을 많은 보상으로 무마하려고 하는 요스타를 비판하는 일본 여론도 많은 편.

  • 최종장 업데이트 이후 이벤트마다 긴급점검, 연장점검이 나온 상황이 신춘광상곡 복각, 이반 쿠팔라 상설화 업데이트, 래빗소대 수영복 이벤트로 이번이 세번째다. 거기다 래빗소대 수영복 이벤트는 직전 생방송까지 한 상황에서 유저들의 기대감이 높아졌다가 데이터베이스 문제로 45시간이나 점검하는 사태가 일어나는 바람에 유저들의 비판이 큰 상황이다. 거기다 래빗소대 수영복 이벤트의 경우 DB 관련 문제에 경과 설명에서도 요스타 사장이 직원들이 정신적 피폐를 걱정하여 서버 오픈 시간을 미루는 등 명백히 요스타 측의 실책임에도 불구하고 요스타 사장이 사과한 게 아니라 넥슨 게임즈의 대표와 김용하 PD의 사과가 올라오면서 한국 내에서 넥슨을 방패막이로 삼는다는 요스타에 대한 비판이 있었다.

  • 콘텐츠 관련: 요스타가 자체적으로 제작하는 컨텐츠가 있지만 한국을 비롯한 다른 서버에서 해당 컨텐츠를 경험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블루 아카이브에서 요스타 자체적으로 제작한 아로나 채널과 유우카&노아 채널 및 아리스 채널은 한국 서버의 공식적인 번역이 없어 유저들의 비공식 번역으로 봐야 하는 실정이였는데 2023년 3월 경에 요스타 측에서 한국 내에서 비공식 번역을 금지한다는 통보를 내려 번역 영상이 내려가는 사태가 발생했다. 이를 본 넥슨 측에서도 요스타 사이에 맺어진 계약 내용과 관련된 어른의 사정이 있어 요스타의 미디어믹스를 들고 오는 것에 차질이 생겼는지 이 문제를 계속해서 방치하다가 인게임 뿐만이 아닌 트위터랑 유튜브로 제공되는 미디어 매체의 스토리가 중요한 황륜대제 이벤트에서 황륜대제 외부 스토리 누락 논란이 터졌다. 이렇게 큰 홍역을 치른 한국 서버랑 글로벌 서버는 넥슨에서 자체 제작한 컨텐츠로 이를 보완하겠다는 방법을 사용해 공식 유튜브에 황륜대제 후일담 영상을 공개하는 것으로 이 사건 또한 일단락 되었다.[11]

  • 초창기 요스타의 행보 관련 비판&생방송,PV 단독 요스타 사명 비판: 2023년 6월 서버가 터지는 사태가 발생하면서 일본 여론중 소수 여론에서도 이에 대해 비판이 나오면서 초창기 때 요스타 단독 서비스인 것처럼 기만했던 시절이 재조명되기도 했다.[12] 그 외에도 현재도 각종 일본 서버 PV에서는 요스타 사명만 넣고 넥슨은 안 넣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으며, 공식 생방송에서도 개발팀인 넥슨게임즈는 일언반구 언급도 없이 요스타만 언급하지만[13] 서버 관련 사건사고가 터지면 사과문에선 개발팀인 넥슨게임즈의 김용하 PD를 방패막이로 이용한다는 점에서 이중적이라는 비판이 있다. 때문에 개발사에 관심이 없는 일(日)유저들은 요스타가 게임을 만들었다고 오해하기도 하나, 영미권이나 개발사를 찾아본 일본 유저는 오해를 바로 잡거나 혹은 제대로 이해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3.4. 가디언 테일즈 일본 서버[편집]


  • 콩스튜디오와 공동 운영을 맡았던 요스타가 2023년 9월 20일을 기점으로 가디언 테일즈의 운영업무를 종료한다. 공지사항의 내용으로는 2021년에 체결한 계약의 만료에 따른 것이지만, 유저들은 계약을 연장하지 않은 이유가 23년 전반기 일본서버의 부진한 성적이 원인이 아닐까 짐작하고 있다.# 콩스튜디오는 일본에 지사가 있기 때문에 기존 운영을 이어가기에 큰 걱정은 없지만 요스타는 가디언 테일즈에서 꽤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저들은 앞으로 똑같은 서비스를 받지 못할까봐 불안해 하고있다.
  • 9월 6일을 마지막으로 일본 전용 캐릭터 일러스트의 제공 중단을 예고 했는데, 공지사항의 내용으로 볼 때는 일본 일러스트와의 차이를 없애는 방향으로 신규 캐릭터의 일러스트를 제작해 왔고 차이가 없어졌다고 판단했기에 제공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한다.# 하지만 요스타의 운영이 종료되는 비슷한 시기인 점으로 볼 때, 요스타가 일본서버 일러스트를 담당 했고 운영에서 떠나기 때문에 더이상 만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pv 또한 요스타 픽쳐스에서 여러번 제작해주었지만 이또한 요스타가 물러남으로써 새로운 애니메이션pv를 볼 가능성이 줄어들었다. 또한 가디언 테일즈는 일본 내에서 더빙과 번역등 현지화가 잘 된 게임으로 호평을 받았지만 요스타가 떠난 이후 콩스튜디오가 과연 그러한 퀄리티까지 똑같이 이끌어 갈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이다.

4. 게임 목록[편집]



4.1. 개발[편집]


  • 이세계에서 온 노노
  • 네코파라이텐!


4.2. 퍼블리싱[편집]



4.3. 이전에 퍼블리싱 했던 게임들[편집]


  • 에픽세븐 - 일본 : 2022년 5월 부로 제작사인 스마일게이트 메가포트로 이관.
  • 깨어난 마녀 - 한국, 글로벌 : 2023년 5월 7일 서비스 종료
  • 가디언 테일즈 - 일본 : 콩 스튜디오와 공동 운영했으나 2023년 9월 20일부로 운영업무 종료.#[14][15]


5. 자회사[편집]


[1] 요스타 이전에 소속되었던 곳은 miHoYo.[2] 알다시피 해묘랑 요스타 출신 직원 3명이 설립한 하이퍼그리프에서 제작한 게임이다.[3] 한국도 별반 다르지 않았는데, 게임이 안착하고 개발진의 애착이 드러나기 전까지는 게임이 넥슨게임이기 때문에 안하거나 회의적으로 보는 사람도 많았다.[4] 특히 서버관련 문제에선 요스타의 대한 유저들의 비판이 많다.[5] 단, 히나만 예외. 히나는 특별히 넥슨의 요청에 의하여 성우가 결정되었다.[6] 이 사건으로 인해 한국 소녀전선 팬덤에서는 요스타의 운영 역량에 관계없이 요스타의 이미지가 매우 나쁜 상태이다. 그러나 상술했듯이 요스타가 퍼블리싱하는 게임들이 일본에서 흥행하고 있기 때문에, 요스타가 퍼블리싱하는 게임을 하는 일본 유저들 중에는 요스타 편을 들면서 선본과 소녀전선을 싫어하는 안티가 상당수 존재하기도 한다.[7] 참고로 명일방주 제작사인 하이퍼그리프의 지분 15%를 가진 회사가 요스타다.[8] 다만 중국 서버 일정하고 요스타 서버 일정의 경우 퍼블리싱 회사 운영으로 인해 일정에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으며 미래시 또한 유저들의 추측에 가깝기에 실제 요스타 서버 일정하고 차이가 있을 수 밖에 없다.[9] 이렇게 일정이 차이가 나게 느껴지는 이유는 2023년 2월달에 위기협약,미니스토리,도솔 복각 이 3가지밖에 없었기에 유저들이 당시 미래시 간격이 특히 길다고 느껴질 수 있었다.[10] 중국 서버에서 11지 직전에 같이 출시했던 미즈키 통합전략이 요스타 서버에서 11지가 출시되었는데도 불구하고 기간 이벤트가 아닌 상시 컨텐츠인 통합전략의 출시 시기가 미래시와 달라지게 되면서 특히 일정에 문제가 있다는 식의 여론이 본격적으로 타올랐다.[11] 사실 블루 아카이브 사태로 크게 번진 게 있긴 하지만 한국과 일본이 같은 퍼블리셔인 명일방주 또한 서버 유튜브 컨텐츠 차이가 있는데 일본 서버의 생방송의 경우 n주년&n.5주년 외에도 상반기&하반기 생방송을 하는 경우가 많으며 우들이 나와서 명일방주에 대해 알려주는 방송이 대표적 예시로 해당 컨텐츠의 경우 한국 서버랑 글로벌 서버 유튜브에는 제공되지 않는다. 단 한국 서버랑 글로벌 서버의 경우 n주년 이벤트&n.5주년 이벤트의 경우 따로 라이브 방송을 하는 편이고, 블루 아카이브도 마찬가지로 제작진들의 개발 비하인드 영상은 한국 서버와 글로벌 서버에서만 제공된다.[12] 극초창기 때 게임 기동 시 넷게임즈의 명의가 없고 요스타 단독으로만 출력된 바 있다. 이후 사건사고가 끊이질 않으면서 첫 이벤트 시작 즈음에 은근슬쩍 넷게임즈 이름을 끼워넣으며 욕받이로 써먹었단 비판이 있었다. 당시 영상[13] 현재도 PV 영상에서 처음에 성우까지 사용하며 요스타를 언급하지만, 정작 개발 주역인 넥슨게임즈는 화면 맨 뒤에 조그만하게 써놓는다.[14] 콩스튜디오와 공동 운영을 맡았던 요스타가 2023년 9월 20일을 기점으로 가디언 테일즈의 운영업무 종료. 공지사항의 내용으로는 2021년에 체결한 계약의 만료에 따른 것이지만, 유저들은 계약을 연장하지 않은 이유가 2023년 전반기 일본 서버의 부진한 성적이 원인이 아닐까 짐작하고 있다.# 콩스튜디오는 일본에 지사가 있기 때문에 기존 운영을 이어가기에 큰 걱정은 없지만 요스타는 가디언 테일즈에서 꽤나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기 때문에 유저들은 앞으로 똑같은 서비스를 받지 못할까봐 불안해 하고 있다.[15] 또한 9월 6일을 마지막으로 일본 전용 캐릭터 일러스트의 제공 중단을 예고 했는데, 공지사항의 내용으로 볼 때는 일본 일러스트와의 차이를 없애는 방향으로 신규 캐릭터의 일러스트를 제작해 왔고 차이가 없어졌다고 판단했기에 제공을 중단하기로 했다고 한다.# 하지만 요스타의 운영이 종료되는 비슷한 시기인 점으로 볼 때, 요스타가 일본서버 일러스트를 담당 했고 운영에서 떠나기 때문에 더이상 만들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애니메이션pv 또한 요스타 픽쳐스에서 여러번 제작해주었지만 이또한 요스타가 물러남으로써 새로운 애니메이션pv를 볼 가능성이 줄어들었다. 또한 가디언 테일즈는 일본 내에서 더빙과 번역등 현지화가 잘 된 게임으로 호평을 받았지만 요스타가 떠난 이후 콩스튜디오가 과연 그러한 퀄리티까지 똑같이 이끌어 갈지에 대해서는 회의적인 반응이다.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문서의 r158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문서의 r1587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문서의 r 판{{{#!wiki style="display: inline; display: none;"
, 번 문단}}} (이전 역사)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5 20:39:42에 나무위키 Yostar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