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GF:RP/팩션

덤프버전 : r20180326 (♥ 0)




1. 개요
2. 정부 팩션
2.1. Los Santos Police Department ( L.S.P.D )
2.1.1. 논란/비판
2.1.1.1. 파벌간 파워게임
2.1.1.2. 팩션리더 의견에 반대하면 팩션퇴출
2.2. San Andreas Sheriff's Department ( S.A.S.D )
2.2.1. 논란/비판
2.2.1.1. 합병과정 논란
2.2.1.2. 쿠데타 논란
2.3. Los Santos Fire Department ( L.S.F.D )
3. 범죄 팩션
3.1. 정식 팩션
3.1.1. Black Mafia Family
3.2. 승인된 팩션
3.2.1. Uptown Kilo Block
3.3. 신청단계 팩션
3.3.1. The Krokov Bratva
3.3.2. Devils Dozen MC
3.3.3. あくま 會
3.3.4. Piru Central Motel 516 W/F
3.3.5. 휘월양명회 (輝月兩明會)
3.3.6. South Side Sureno'z XIII
4. 사설 팩션
4.1. S. A. N
5. 존재했던 팩션
5.1. 6 SHOTS PINOY REAL
5.2. Watts Avenue Heights : Compton Crips
5.3. Corozzo Crime Family
5.4. Vinewood Players : The El Dritch Theatre
5.5. 푸른밤, 청야
5.6. Uptown 424 Kilo Block
5.7. しのやすらぎ
5.8. The Mongols Motorcycle Club


1. 개요[편집]


TGF:RP의 팩션은 특정 목적을 가진 집단을 의미한다. 과거엔 당파라고 불렀던 적도 있고, 지금도 그렇게 부르는 사람들이 소수나마 있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RPG 게임의 길드에 해당한다.

팩션을 크게 정부기관, 사설단체, 범죄조직의 세 범주로 나눌 수 있는데, 정부기관의 경우 정부 예산을 사용하므로 장비나 복지 면에서 굉장히 우월하지만 법과 규정을 준수해야하므로 운신의 폭이 좁은 편이고(=자유도가 낮고), 사설단체는 예산도 없고 범죄도 안저지르는 대신 경찰의 감시에선 자유로우나, 돈이 안벌려서(...) RP의 폭은 좁은 편이다. 범죄조직은 법도 막 어기고 다니므로 자유도는 제일 높으나 경찰의 감시를 받기 때문에 체포된다면 세시간씩 교도소에서 시간 버리는 것을 각오해야 하는 등, 각자의 장단점이 구별되어 있다.

현재로서 정부기관은 3개[1], 범죄조직은 그때그때 생겼다 없어졌다를 반복해서 수를 세는게 무의미할 정도로 많고, 사설단체는 Fred's Picture가 유일하다.

아래 항목에는 사실관계가 파악된 객관적인 사실만 기록하고 주관적인 의견은 기술을 자제 해주시길 바랍니다.

2. 정부 팩션[편집]



관리자가 담당하는 시청(LSCH)의 지휘감독을 받는 팩션들이다. 정부 예산을 받아 운영되며, 채용시 다른 팩션과 다르게 공무원 시험 비슷한 것을 보아야 한다.

규정과 법을 준수해야해서 타 팩션에 비해 운신의 폭은 많이 좁은 편이지만. 세 기관 모두 권한 자체는 파워풀해서 완장질(...)이 논란이 되는 경우가 많다.

2.1. Los Santos Police Department ( L.S.P.D )[편집]


파일:external/vignette1.wikia.nocookie.net/Seal_of_the_LSPD.png/

TO PROTECT AND SERVE

로스 엔젤레스 시 경찰국 (LAPD)를 모티브로 한 정부기관으로, SASD와 함께 서버 내 양대 경찰기관 중 하나이다. 2017년 03월 19일 기준으로 현재 실무상 최고책임자는 Aquillani Gavazzi[2], 계급은 경찰 국장(Chief of Police). 1국장 1차장 6부서 1대로 구성된다. 제복의 색은 남색, 순찰차 색상은 검은색과 흰색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미국 경찰의 이미지다.

한국어 번역이 SASD와는 다르게 들쭉날쭉한 편으로[3] "로스 산토스 (시) 경찰국"[4], "로스 산토스 경시청" [5], "로스 산토스 시립 경찰청"[6] 등이 있다.

약칭은 LSPD, 그 외에 서버 내에서 통용되는 약칭으로 PD[7], 시경[8] 등이 있다.

사실상 서버 최고의 권력기관으로, 총기면허의 발급권한을 LSPD가 가지고 있는 관계로[9] 서버 내에서 합법적으로 총을 차고 다니고 싶다면 PD/SD에 들어가든지, 아니면 LSPD로부터 승인을 받아야 한다.

아무래도 오래된 팩션이다다 보니[10] 운영 방식에 있어서는 최근에 다시 복구된 SASD보다는 체계적인 편이며, 특히 신임 팩션원의 교육 분야에서는 타 부서인 SASD나 LSFD에 비해서 노하우가 있다. [11] 따라서 일반 순경급의 팩션원들의 자질은 SASD보다는 많이 나은 편이다.

간부급이 문제인데, 특정 파벌에 과하게 힘이 쏠려 있다는 비판이 항상 존재하고, 경위급 이상 간부의 경우 SASD에 대해 과도한 선민의식을 가지고 있어서[12] [13] [그러나]종종 SASD와 분쟁이 터지는 편. 하지만 LSPD가 면허를 주고 SASD가 교도소를 굴리는 이상 서로 공생할 수 밖에 없어 간부급에서나 분쟁이 벌어지지 실무담당자들 사이에선 큰 문제가 없다.

LSPD가 스스로 지정한 블랙리스트 제도 [14]를 스스로 박살내버리고 SASD에서 파면당한 유저를 적극적으로 특채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15] [16] 그러나 이런 행동에도 이유가 있는데, 그것은 바로 SASD에서 내부적의 파벌 싸움이 존재했는데 이때 사소한 이유이더라도 해고, 파면되어 추방된 SASD팩션원들이 LSPD에 소명자료를 제시하고 부당함을 밝혀 교육생부터 시작하거나 LSPD 경력직으로 지원하여 합격 한 것이다.


2.1.1. 논란/비판[편집]


2.1.1.1. 파벌간 파워게임[편집]

전통적으로 LSPD에는 순찰부서와 행정부서를 제외한 모든 부서[17]에 파벌이 존재했다. 이 중 경찰특공대 파벌과 범죄진압대 파벌이 서로 첨예하게 대립하였는데, 그 이유로는 서로의 업무가 겹치기 때문에 현장에서의 지휘권 문제가 주를 이루었다. 이 두개의 부서의 권한 중 CODE 0 상황, 내부진입전, 총격전, 폭동 상황에서 지휘권을 우선적으로 가지는 권한[18]이 있는데 두개 부서 모두 권한을 가지다보니 사소한 다툼이 항상 크게 번지게 되었다. 서로 같은 기관끼리 스파이(...)를 침투시키거나 팩션에서 해고시키거나 TGF:RP를 영구히 이용하지 못하도록 유도하는 등 파벌싸움이 극에 달하자 결국 이를 보다못한 팩션 간부진은 범죄진압대를 해체하고 경찰특공대에 흡수시킴으로써 대규모 파벌 싸움은 막을 내리게 되었다. SASD와는 다르게 형사부와 항공지원부는 팩션 내 주도권에 대한 큰 욕심이 없다.

2.1.1.2. 팩션리더 의견에 반대하면 팩션퇴출[편집]

최근, LSPD 의 리더진이 팩션에 지대한 공헌과 영향을 끼친 간부급 유저 몇몇을 TGF:RP 보다 다른 게임을 더 많이 한다는 이유로 해고했다. 해고 사유는 무단결근, 근무태만으로 이는 현 리더진중 한명이 " 예산이 없는 상태에서 기타게임을 하는 행위는 무단결근으로는 해고하지 않겠다 " 라는 발언과 대비되는 모습이라 다소 논란의 소지가 있다.

2.2. San Andreas Sheriff's Department ( S.A.S.D )[편집]


파일:external/e785d77c50cc79628752966dc4a42a833879cd9bf6cedc82bf739a3a6f259e2e.png

봉사의 전통[19][20]

로스 엔젤레스 카운티 보안국(LASD)과 캘리포니아 주립 고속도로 순찰대(CHP)를 모티브로 삼는 팩션으로, LSPD와 함께 서버 양대 경찰기관 중 하나이다. 2017년 3월 19일 기준으로 팩션 리더는 Rivera Henderson, 계급은 보안 국장(Sheriff). 1국장 1차장 2부 6과 3계 1대 1담당[21]으로 구성된다. 제복의 색은 베이지색, 순찰차 색상은 흰색[22]으로,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미국 보안관의 이미지다.


약칭은 SASD, 그 외에도 서버 내에서 통용되는 약칭으로 SD, 보안국[23], 셰리프국[24] 교정국[25] 등이 있다.

전통적인 LSPD의 라이벌로, 현재로선 LSPD와의 파워 게임에서 좀 밀리는 양상을 보이는데[26] 현임 관리진이 LSPD에 넣어주는 푸쉬가 꽤 강한편인 반면, SASD는 아무런 모드적 지원을 받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SASD의 존재가치는 두가지로 대표되는데, 일단 관할이 넓다는 점이고, 교도소를 관리한다는 점이다. 서버 형사절차상 체포된 중범죄자는 무조건 교도소에 가야하는데 바로 그 시점에 형량 결정을 SD가 하기때문에[27] 최종 구속을 담당하는 기관이다보니 사건의 시작과 끝을 책임진다는 점에서 중요하고, LSPD가 실제로 커버하지 못하는 먼 곳[28]을 커버한다는 점에서 중요하다. 다만 어디까지나 이론상 얘기고, 실제론 터무니없이 넓은 순찰구역과 밀려드는 재소자로 인해 보안관은 영원히 고통받는다[29](...)

신생 기관이다 보니[30] 전체적으로 교육이나 인사관리면에서 많이 미흡한 편을 보인다. 거기다 2017년 초반을 휩쓸었던 대규모 인사대란으로 인해 [31] 대규모 소요사태[32]가 발생했고, 그 피해는 두 달이 지난 3월 후반이 되어서야 서서히 복구되고 있다. 하지만 CUBE 관리자[33][34]가 SASD 팩션원의 의견을 묻지 않고[35] 자기 자신을 특채해서 SD에 들어온 이후, Rivera Henderson 현임 리더에 대한 불만 의견을 조사하러 다니는 등 다시 한 번 갈아엎을 시도를 하고 있는 관계로 미래는 밝지 않은 편.

전통적으로 SASD 팩션은, 특수기동대[36] 파벌과 수사과[37] 파벌로 갈렸는데, 역설적으로 상기한 대규모 인사대란으로 그 책임자들이 다 나가버려서(...) [38][39] 파벌간 분쟁은 이제 줄어들은 상태.

SASD에서 블랙리스트 제도[40]를 박살내버리고 C모 유저 등 SASD에서 파면당한 유저를 적극적으로 특채하여 논란이 되고 있다. [41]

최근 LSPD와의 합병설이 붉어지고 있다.

2.2.1. 논란/비판[편집]


2.2.1.1. 합병과정 논란[편집]

현 팩션 리더인 R과 지금은 사임한 수사과 책임자 G에 대하여 논란이 있다.
두 플레이어는 모두 SADoC가 SASD로 흡수 합병되는 과정에서 SASD의 간부 [42] 로 임명되었다.
문제는 합병 협상 과정에 있었는데 당시 반쯤 죽어가던 SADoC 팩션에 산소호흡기를 달아놓고 살려서 협상 무대까지 팩션을 유지시킨 플레이어들은 SADoC와 SASD의 합병 사실을 전혀 알지 못하고 있었는데 왜 협상 테이블에 당시 부국장인 I도 아니고 실권을 쥐고 현장 교정국을 일으켜 세운 W(LT)과 C(MSGT)도 아니고 4개월 이상 팩션에서 활동한 팩션원이 저 사람 누구냐고 물어보았던 G가 R과 협상을 주도 한 것이다. 이에 대다수 팩션원들이 항의하자 나름 해명을 했는데 그 이유는 W과 C는 과거 부터 SASD와 SADoC의 합병을 강경하게 반대해서였고 I는 팩션 활동을 자주 하지 않는다는 이유에서(...) 협상 테이블에서 제외 되었다고 한다. 그러나 W과 C를 협상에서 제외한 건 두 사람이 테이블에 앉으면 밥 상 뒤엎기(...)를 시전할 가능성이 있으니 어느 정도 정당성이 있으나 똑같이 접속률이 떨어지는 G를 무슨 근거로 테이블에 앉혀놨는지는 해명하지 못했다.[43] 거기다 합병에 항의하며 팀스피크 퍼블릭 채널에서 구 SASD 팩션원들과 설전을 벌이던 C를 같은 계급인 G가 팩션의 명예를 실추하였다며 즉석에서 파면하여 더욱더 논란이 가중되었다.[44][45][46]


2.2.1.2. 쿠데타 논란[편집]

현 팩션 리더인 R은 전 리더인 M가 같은 팩션원의 행동을 비호하다[47] 블럭당한 상황을 틈타 관례적으로 실제 플레이어가 아닌 NPC로 놔두던 Sheriff에 스스로 올라서서 M를 해고하고 팩션 리더가 되었다. 당시 M는 억울하고 사적인 감정으로 Joker 관리자가 자신을 블럭 했다고 다른 관리자에게 적극적으로 소명을 하고 있었으며 인게임 업무를 제외하고 인사권을 행사하는 등 행정업무를 보고 있었다. 그런데 최근 제보로 의미심장한 부분이 있는데, 이 당시 SASD 간부들이 모여있는 카카오톡 오픈 채팅방에서 R과 M가 팩션의 향후 운영 방향에 대해서 이야기를 주고받다가 싸움이 발생했고 이 과정에서 과거 이야기까지 들추며 감정 싸움을 했다는 것(...)결국 M는 최고 계급자가 되어버린 R으로부터 파면당해 팩션에서 퇴출되었다.[48]


2.3. Los Santos Fire Department ( L.S.F.D )[편집]


Los Angeles Fire Department 와 Emergency Medical Technician 을 모티브로 하는 팩션이다.
이 팩션은 소방관과 의료진으로 역할 연기를 한다.
인원이 부족한 만큼 화재가 날 때는 소방관을, 치료를 할 때는 의사를 겸하고 있다. 게임에서 즐길 수 있는 대표적인 건파이트와 거리가 멀어 대부분의 사람들이 선호하지 않지만 LSPD, SASD 정부팩션에게 클래릭으로써 봉사정신이 투철한 성실한 사람들이 있는 곳이다.


3. 범죄 팩션[편집]



3.1. 정식 팩션[편집]



3.1.1. Black Mafia Family[편집]

흑인 맙스터를 컨셉으로 하는 팩션
유일한 정식 팩션

3.2. 승인된 팩션[편집]



3.2.1. Uptown Kilo Block[편집]

흑인 스트릿 갱스터를 컨셉으로 하는 팩션
2016년 12월 경에 설립 되었으며
2017년 01월 20일 기존의 업타운 킬로블락 팩션과 합병을 진행하였고
2017년 02월 14일 우수한 활동력과 인원 수를 인정받아 단기간에 정식 팩션으로 등극 하였다.
업타운 킬로블락 팩션과의 합병에 대하여 이름만 자메이카 포스지 사실상 업타운 킬로블락 시즌 2 아니냐는 비판도 있었으나 팩션 관리진이 직접 나서 합병의 주체는 업타운 킬로블락이 아닌 자메이카포스(구 야디스) 인 점을 분명하게 하였다.
2017년 06월 거절된 크립스와의 갈등으로 승인된 팩션으로 강등되었다.

516 Outskirts에서 Uptown Kilo Block으로 다시 변경되었다.

3.3. 신청단계 팩션[편집]



3.3.1. The Krokov Bratva[편집]

러시아 레드마피아를 컨셉으로 하는 팩션
2012년 9월 포리노프 유저에 의해 처음으로 비정식 팩션으로 승급하였으며 2015년 4월 안톤 유저에 의해 서버 유일의 정식 팩션으로 등극하였다.
2016년 9월 까지 TGF:RP의 유일한 정식팩션으로 총기팩을 독점 공급하여 막강한 영향력을 행사하였으나, 2017년 2월을 기점으로 접속자 수가 급격하게 줄어들고 몰락의 길을 걷고 있다.

2017년 6월 결국 신청단계 팩션으로 강등되었다.

끝내 해체되었다

3.3.2. Devils Dozen MC[편집]

미국의 바이커 갱단을 컨셉으로 하는 팩션
2016년 01월 31일 설립되었다.
2017년 6월 결국 신청단계 팩션으로 강등되었다.

해체된 팩션이다.

3.3.3. あくま 會[편집]

일본인 야쿠자를 컨셉으로 하는 팩션
한 때 시노 야스라기 팩션과 함께 로스 산토스를 일본인으로 가득차게 했던 팩션
TGF:RP의 최장수 팩션, 그러나 동시에 몰락의 길을 걷고 있는 팩션

무려 2007년 TGF:RP 카페가 개설된 시점 부터 활동을 했던 팩션으로 TGF:RP의 최장수 팩션이다.
그러나 2016년 동맹 팩션인 크로코프의 정식 승급과 동시에 몰락의 길을 걷고 있으며 여러 올드비들의 노력에도 불구하고 존립 자체가 위협받고 있다.

3.3.4. Piru Central Motel 516 W/F[편집]

모텔에 모여있는 범죄청소년들을 컨셉으로 하는 팩션이다.

해체된 팩션이다.

3.3.5. 휘월양명회 (輝月兩明會)[편집]

미국으로 이주한 한국인 조폭을 컨셉으로 하는 팩션이다.

현재는 해체 되었다.

3.3.6. South Side Sureno'z XIII[편집]

히스패닉 갱단을 컨셉으로 하는 팩션이다.

해체되었다.

4. 사설 팩션[편집]



4.1. S. A. N[편집]


San Andreas를 담당하는 방송국


5. 존재했던 팩션[편집]



5.1. 6 SHOTS PINOY REAL[편집]

라틴계 영향을 받은 필리피노 갱단을 컨셉으로 하는 팩션이다.
팩션 설립 자체가 거절되었다.
사유는 부적절한 데스매치

5.2. Watts Avenue Heights : Compton Crips[편집]


갠튼 빨래촌을 거점으로 활동하던 팩션으로
2017년 06월 팩션이 거절되었다.
사유는 부적절한 데스매치


5.3. Corozzo Crime Family[편집]


2017년 공식적으로 해체를 선언

해체를 하기까지 많은 일들이 있었다.
대표적인 일로 Coozzo Crime Family (CCF) Wimber Morretio는 관리자 asdf로 활동하고 있는중 자신의 팩션원으로 IP우회, 핵사용을 한 유저가 블럭을 우회하여 게임을 하고 있는 것에 묵인을 하고 심지어 자신이 운영하고 잇는 CCF에 가입시켜주게 되었다.
이때부터 Landolf를 비롯한 CCF 올드비 유저들이 하나둘씩 떠나가게 되었고 CCF는 옛명성을 되찾지 못하고 점차 팩션해체를 향했다.


5.4. Vinewood Players : The El Dritch Theatre[편집]


다양한 문화 공연과 퍼포먼스를 전문적으로 보여주던 사설 팩션으로 승급 전의 이름은 프레드 픽쳐스 이다.
롤 플레잉에서는 참신한 공연과 퍼포먼스로 관리자들의 전폭적인 지지와 많은 유저들의 관심에 승인 팩션으로 등극하였다.
롤 플레잉 게임에서도 높은 수준의 공연이 가능하다는 점을 보여줌과 동시에 한계점도 명확하게 보여주었다.


5.5. 푸른밤, 청야[편집]


한국인 건달을 컨셉으로 하는 팩션
타서버에서 단체로 이주하여 TGF:RP에 성공적으로 정착한 사례
살아남는자가 강하다는 것을 몸소 보여준 팩션

2013년 LA:RP가 몰락의 길을 걷던 시절에 안춘배를 비롯한 청야 팩션원들은 단체로 TGF:RP로 이주하였다.
꾸준한 팩션 활동으로 1년만인 2014년 승인팩션이 되었으나 불미스러운 사건으로 팩션이 폭발하여 신청 팩션으로 강등되었다.
빈사 상태가 되어버린 팩션을 김한성 유저가 잘 이끌어 마침내 2016년 10월 승인 팩션으로 재등극 하였다.
그러나 청야의 4년 여정은 2017년 04월 팩션 해체를 선언함으로써 막을 내리게 되었다. 그리고 2017년 9월
안춘배는 다시한번더 기존 살아있는 팩션원을 모으고 팩션을 신청하게된다.
는 어짜피 망한 당파가 될 뿐이다..

5.6. Uptown 424 Kilo Block[편집]


자메이카 포스와 합병


5.7. しのやすらぎ[편집]


2017년 3월 해체되었다.
팩션리더 Nagato Ashikaga가 승계를 하지 않고 박수칠 때 떠나라는 말에 포인트를 두고 역사속으로 사라졌다.

일본 야쿠자를 컨셉으로 하는 팩션.
TGF:RP에서 최근까지 승인된 팩션에 위치한 팩션 ,TGF:RP에서 손꼽히는 장수 팩션. 리더는 나가토라는 닉네임을 가진 유저이며, 평소 과도한 친목을 이용하여 자신과 친한 유저들에게 인게임 내에서 특별한 혜택을 준다는 얘기가 종종 들리고는 한다. 하지만 무슨 이유에서인지 모르겠지만 시노 팩션의 리더로써 자리 매김하고 팩션에 큰 사건없이 팩션을 안정적으로 운영한다. 과거 여러번 논란의 중심에 서 있었고 흑역사도 존재한다. 초코송이 신생팩션 길들이기로 악명이 높았다.


5.8. The Mongols Motorcycle Club[편집]


2000년대 초반부터 2016년까지 생기고 해체하고를 반복한 할리 갱스터 집단이다.
LSRP에서 생성된 팩션을 모티브하여 TGF:RP에서 탄생 하였는데 태초 설립자는 불분명하다.
12년도 이시도르 올메도가 똘마들을 데리고 만들었는데 여기엔 미래에 핵쟁이와 막장들도 있었다.
(신지수포함)이후에 13~15년도 시즌엔 비정식 승인을 받고 정식 팩션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는가 싶더니 서버 초기화 사건으로 인해 해체 하였다.
[1] 시청은 관리자가 관리하므로 사실상 없는 팩션 취급한다. 존재감이 공기급이다.[2] =Jules Antoinette[3] SASD의 경우 Gordon Alexander 유저가 발의했던 "국문표기법 통일안"으로 인해 부서명칭이 전부 하나로 통일된 상태이나, LSPD는 표기법을 통일하려는 조직적인 시도는 없었다.[4] 제일 많이 쓰이는 표현[5] LSPD에서 한때 밀었으나 "경시청"이 사실 일본에서만 쓰는 표현이어서(...) 현재는 잘 쓰이지 않는다. 입에 잘 감기지도 않고...[6] SAN에서 2014년 경 사용했던 표기법.[7] OOC적 성격이 강한 약칭이나 IC에서도 쓰는 경우가 비일비재하다. 보통 RP 경험이 많지 않은 신규 유저가 쓰는 약칭.[8] SASD측에서 쓰는 용어로, "우린 주를 담당하고 너네는 시를 담당한다"는 의미의 약간 비하섞인 약칭이다.[9] 동일한 서열의 기관임에도 불구하고 SASD는 면허 발급권이 없다. 대신 교도소를 관리하므로 형량 최종 결정권을 가지고 있으므로, 서로가 이걸 바탕으로 견제한다고 보면 된다.[10] 과거에 한 번 해체된 이후 몇 년간 지휘부가 급격히 바뀌는 일이 없었다.[11] SASD의 경우 간단한 업무교육 뒤 2주간의 시보기간을 거쳐 즉시 임용되지만. LSPD의 경우는 아예 경찰학교라는 별도의 교육기관에서 교육을 받는다.[12] 이러한 LSPD 팩션의 선민의식은 과거 SASD 간부진들의 책임이 크다. 팩션 내 부패 롤플레잉을 적절히 관리하지 못했으며 시도때도 없이 좋지 못한 사건이 터지고 해체 위기설이 나돌던 시절이 3년 가량이다.[13] 지금의 SASD는 사실상 과거 SASD보다는 SADOC를 승계했다고 보아야 하고, LSPD가 전통적으로 교도소 팩션이었던 SADOC를 무시했던 것이 이어지고 있는 것이다.[그러나] 구 SASD와 SADOC의 관계는 다른 것이 교정기관으로 교정업무와 보호관찰에 집중했던 SADOC는 LSPD와 협력관계였지 무시당하지 않았다. 특히나 LSPD만으로 감당이 불가능한 대규모 총격전에서 증원되었던 중무장 교도관과 체계적인 보호관찰 제도는 LSPD 팩션원들이 SADOC를 좋게 보았던 이유 중 하나[14] 각 정부기관 팩션에서 부패나 기타 부정행위를 저질러 파면된 사람이 그 사실을 숨기고 타 정부기관에 지원하지 못하도록 한 제도로, 타 기관도 그렇게 하기로 합의를 보았던 제도이다.[15] 그러나 블랙리스트 제도는 어디까지나 "참조"일 뿐이지 실제로 뭔가 서버 내에서 법적 구속력이 있는건 아니다. 따라서 규정 위반은 아닌 셈.[16] 또한 블랙리스트에 지정된 사용자가 LSPD에 지원하면 인사권자들이 소명자료를 검토하고 면접시 직접 소명을 듣도록 되어있다. 즉 경찰국 입장에서는 저게 큰 잘못은 아니라는 이야기[17] 경찰특공대, 범죄진압대, 항공지원부, 형사부[18] 아무리 높은 계급을 가진 유저라도 국장을 제외하고는 늘어놓은 상황에서 항상 지휘 우선권을 가진다.[19] 특이하다면 특이한 것이, SASD는 로고나 워터마크를 제외한 곳에는 영어를 쓰는걸 꺼려한다. 모토의 원문은 "A tradition of service"이다.[20] 이외에도 SADOC 시절의 모토로 "QUI PRO DOMINA JUSTITIA SEQUITUR" 또한 교정시설운영계의 모토로 쓴다. 뜻은 "정의의 여신을 대표해 법을 집행한다".[21] 스포츠카 순찰차를 타고 추격할 수 있게 하는 "고출력자격증"의 자격취득을 담당하는 담당관을 말한다.[22] 원래는 녹-흰 구성이었으나, 2017년 3월 부로 "LSPD와의 이미지 차별화"를 위해 다른 방식의 도색을 도입했다.[23] 가장 많이 쓰이는 용어고, 실제로도 권장되는 약칭이다.[24] 전임 국장 Marcus Hoelschner 시대의 유산으로, 틀린 번역이라 이제는 쓰지 않는다.[25] SASD의 전신인 SADOC가 교도소 운영을 담당하던 교정국이다. 그냥 교도소를 잘못 말할 떄(...) 쓴다.[26] 다만, 부서 구성에는 차이가 없는데 활동 인력규모 자체는 경찰국이 조금 더 많다. [27] 그렇다고 자기들 맘대로 한다는건 아니고, 형량감경에 관한 규정이 존재한다.[28] LS 바깥으로 가면 LSPD의 작전능력은 극도로 제한된다. 아무래도 본부가 LS에 있으니...[29] 17년3월 부로 딜리모어는 기동부서가 사용하고 나머지는 교정기관을 사용한다. 하지만, 대부분 인력이 교정업무 보다 순찰업무를 중시하기에 수감동 치안이 취약한 편에 속한다.[30] SASD에선 2015년 해체 이전을 역사로 삼지만 실제론 SADOC를 승계했다고 보는게 맞다. 현재의 SD는 2016년 7월에 창설되었다.[31] 당시 국장이었던 M가 밴당한 상태에서 업무를 보던 것에 대해 기관 내에서 항의가 있었고, 인사권을 가지고 있던 현 국장에 의하여 해임조치가 이루어지면서 해당 유저의 파벌이었던 중간간부가 업무 인수인계 없이 전부 사임해버렸다. 그러나 이는 사직서를 바로 결재하는 현 사직서 시스템의 문제로 결국 스스로 논란을 만든셈.[32] 해당 파벌에 속했던 유저들이 팀스피크 채널에서 대놓고 뒷담화 하다가 누군가의 내부고발로다크템플러 잘려나간 것을 시작으로 본다. 이후 대규모 사임 러쉬가 발생했다[33] 해당 관리자는 Marcus 유저와 친분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멀리 갈것도 없이 팀스피크 채널에서도 같이 많이 있는 편이고...[34] 근거 없는 이야기로 첨언하자면 CUBE 관리자는 과거 LSPD가 이유없이 SASD를 싫어하던 시절에 LSPD로 활동하는 사람이었다.[35] 총관리자 대행이라 막을 방법이 없다(...)까라면 까야지[36] Tactical Response Unit, TRU[37] Investigations Unit, IU[38] 수사과 책임자였던 G유저는 행정업무를 선호하고 접속률이 낮았으며 실무 능력이 제로 수준이라 경무부장으로 발령이 났고, 그 발령이 나오자 마자 때려치고 나가버렸다.[39] TRU 책임자였던 Ch 유저는 현장을 중시하며 팩션원들과 함께 뛰었기 때문에 팩션원들의 신임도 높은 편이었지만 자신이 지지하던 파벌의 리더였던 M유저가 해임되자 갑작스럽게 임원단에서 뉴비 유저한테 쌍욕했다는 의혹과 경사 업무를 세달간 두 건(...) 봤다는 의혹을 주장했고 이에 질린 Ch는 사임 의사를 밝히고 사직서를 작성하였으나 인수인계를 하지 않았다고 파면되었다. 사실 이 사건은 사직서를 작성 즉시 결재하는 SASD의 특이한 시스템 때문에 발생한 해프닝으로 시간도 주지 않고 인수인계를 하지 않았다 파면시키는건 상대 파벌을 정리하기 위한 행위로 보인다.[40] 정부기관에서 부패나 기타 부정행위를 저질러 파면된 사람이 타 정부기관에 이를 숨기고 지원 하는 것을 방지하는 제도, 타 기관도 그렇게 하기로 합의를 보았던 제도이다.[41] 이는 위에서 언급된 대규모 사임 사태에 대응하기 위한 것으로 보는 시각이 많다. 당장 중간관리진이 없으니..[42] R은 경위(LT), G는 경사(SGT)[43] 여담으로 Ri과 G는 타 서버에서부터 약 4년 이상 함께 게임을 해왔던 사이로 알려져 있다.[44] 처음에는 서로 사이좋게 협력하였으나 항상 접속률이 낮은 G가 뭘 하는지 의문을 품었던 C가 폭발해서 면전에 대고 쌍욕을 시전하면서 사이가 틀어지게 되었다.[45] 이후 해당 사건을 가지고 설전을 벌이다가 서로의 잘못은 인정하고 우선 물러나는 것으로 협상하여 마무리 되었다.[46] 여담으로 여러명이 모여있던팝콘씹던 퍼블릭 채널에서 C 유저가 리더권도 없는 당신이 같은 계급인 나를 무슨 근거로 해고하느냐고 물었더니 "리더권 없는줄 알았아요?" 하고 해고했다고..[47] 정부무전기를 소지 한것 만으로 체포 하려던 상황에 항의하며 관리자에게 SASD 팩션원을 신고함[48] 일부에서는 M가 본인 스스로 사임했다고 주장하는데 R과 여러 문제나 오해를 풀기 시작하기 전 단계부터 이미 파면된 상태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