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arasite(Roblox)

덤프버전 : (♥ 0)


1. 개요
2. 게임 내 요소
2.1. 키보드
2.2. 플레이어
2.2.1. 아이템
2.2.1.1. 갑옷
2.2.1.2. 진행
2.2.1.3. 게임패스 아이템
2.2.1.4. 무기
2.3. 기생충
2.3.1. 감염자
2.3.1.1. Vessel(Phase 1)
2.3.1.2. Prowler(Phase 2)
2.3.1.3. Thrashor(Phase 3A)
2.3.1.4. Slicer(Phase 3B)
2.3.1.5. Puker(Phase 3C)
2.3.1.6. Reek(Phase 4A)
2.3.1.7. Ravager(Phase 4B)
2.4. NPC
2.4.1. Blighter
2.4.2. Corrupter
2.4.3. Bloater
2.4.4. Warner
2.4.5. Berserker
2.4.6. Amplifier
2.4.7. Polyps
2.5. 맵
2.5.1. 로비
2.5.2. 화물실
2.5.3. 제 1구역
2.5.4. 제 2구역
2.5.5. 제 3구역
2.5.6. 제 4구역
2.5.7. 코어룸
2.6. 팁
2.7. 배지
2.8. 문제점
2.9. 여담


1. 개요[편집]


Parasite/기생충은 Soda Thief Studios에서 개발한 게임으로, 생존자들이 기생충을 피해 살아남는 형식의 서바이벌 공포 게임이다.

2. 게임 내 요소[편집]



2.1. 키보드[편집]


상호작용E
스프린트Shift
엎드리기Space
재장전R
버리기Q

2.2. 플레이어[편집]


플레이어
체력100
이동속도16(걷기)
24(달리기)(추정)
스폰 지점로비
승리 목표원자로를 가동시키고 탈출
게임에서 감염되어 돌연변이로 변하거나, 원자로를 방해해 탈출하거나, 끝내 목숨을 잃어 전멸하는 플레이어 집단이다.

Objective

Destroy the ships engine core

[Find detonators!]


  • 스탯 메커니즘
플레이어의 행동에 큰 영향을 주는 것들로 평상시에는 플레이어 등 뒤(3인칭), 1인칭 기준으로 화면 옆 부분에서 볼 수 있다. 특이하게도 다른 플레이어도 등에 닉네임과 스탯 메커니즘이 적혀있다.
  • 스태미나
플레이어가 달리면 스태미나를 소모한다. 스태미나가 다 닳을 시 화면 가장자리에 검정색 효과가 뜬다. 스태미나는 사용 중지 후 몇 초가 지나면 20%씩 차오른다.

  • 체력
플레이어는 NPC, 돌연변이의 공격으로 체력을 잃을 수 있으며 체력을 다 잃으면 아이템 사용, 이동, 상호작용 등을 전혀 못하는, 말 그대로 아무 것도 못하는 신세가 되니 주의. 아무 것도 못하는 상태가 되면 다른 사람이 구해주어야 하나, 구해주어도 체력은 5% ~ 10%인 채로 부활하므로 주의. 보통 체력이 다 닳을 즈음이면 감염도도 크게 올라갔을 가능성이 높고, 드물게 감염도가 더 빨리 올라 먼저 감염되는 일이 있을 수 있다. 운 좋게 자신이 체력이 다 닳을 세에 화염 방사기 등으로 돌연변이들을 섬멸했다면 팀원의 구조를 기다릴 수 있으나 그 외에는 생존확률이 전무하기에 잘 관리해야 하는 메커니즘. 붕대를 사용하면 체력의 80%~ 100%를 회복하고 조끼를 입으면 피해가 25% 경감된다.

  • 감염도
인 게임에서 가장 중요한 메커니즘. 기본치는 0이지만 NPC, 돌연변이 플레이어의 공격을 받으면 점점 차오르고, 차오를 때마다 플레이어의 몸에서 기생충의 촉수가 움직이는 연출과 화면 가장자리에 붉은 효과가 생기는 것으로 확인 가능. 다 차오르면 감염되어 그대로 돌연변이로 돌변한다. 어느정도 차오른 후 공격을 받지 않으면 자연스레 내려간다.

  • 행동 메커니즘
    • 크롤링(엎드리기)
    • 달리기

  • 아이템 메커니즘
    • 내구력
    • 탄약


2.2.1. 아이템[편집]


  • Flashlight
손전등
가격기본 지급
효과주위를 밝혀줌
그냥 주위를 밝혀주는 손전등이다. 만약 좋은 무기를 얻었을 경우 인벤토리만 차지하는 낭비이니 버리는 게 좋다. 하지만 4 구역의 깜깜한 곳에서는 나름 사용할 만 하다.
  • Bandage
붕대
가격기본 지급, 25 크레딧
효과80-100 HP 회복
스폰 지점1~ 4구역
기본적으로 하나 획득하고, 맵 주위에서도 발견할 수 있는 유용한 아이템. 체력을 매우 많이 보충시켜주기 때문에 하나 씩은 챙겨 놓는 게 좋다. 하지만 감염도가 높으면 속수무책이니 주의.

2.2.1.1. 갑옷[편집]

  • Respirator
호흡기
가격50 크레딧
효과포자를 마시지 않게 해줌
스폰 장소1~ 4구역
포자가 떠다니는 곳에서 포자를 마시지 않게 해주는 아이템. 하지만 방어 효과는 없기에 감염도가 많지 않은 이상 꼭 끼고다닐 필요가 없다.

일부 사람들은 이걸 쓰면 머리가 대머리가 되며 모든 악세사리가 사라지기 때문에 거부하는 사람들이 있다.
  • Vest
조끼
가격100 크레딧
효과피해 25% 경감
스폰 장소1~ 4구역
대미지를 25% 줄여준다. 이것 때문에 후반부에 돌입하면 필수템으로 작용한다. 하지만 감염도를 막지는 못하니 주의.

2.2.1.2. 진행[편집]

  • Detonator
폭탄
가격80 크레딧
효과다음 구역으로 갈 수 있는 벽을 폭파시킴
스폰 장소1~ 3구역
1구역에서 2구역으로, 2구역에서 3구역으로, 3구역에서 4구역으로 갈 수 있는 벽을 폭파시키는 아이템.

여담으로 많은 사람들이 모르는 사실이지만 이 폭탄은 대미지가 없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많은 사람들이 폭탄이 폭발하기 전에 멀리 떨어져있으라고 한다(...)
  • Metal Keycard
메탈 키카드
가격맵에서 발견
효과코어룸을 열어줌
스폰 장소3~[1] 4구역
코어룸을 가기 위해 제 4구역에서 찾아야 하는 물건.


2.2.1.3. 게임패스 아이템[편집]

게임패스 아이템들은 로벅스로 구매 후 일일이 상점에서 구매해야 한다.
  • Purifer
해독제
가격50 로벅스
효과감염도를 0으로 초기화시킴
감염도가 너무 높을 시 사용이 추천되는 게임패스 아이템이다.

  • Item Sensor
아이템 추적기
가격120 로벅스
효과150 스터드 내의 아이템을 표시해줌
주변 아이템들을 표시해주는 유용한 아이템. 템 파밍에 유용하다.

  • Threat Sensor
손전등
가격220 로벅스
효과150 스터드 내의 적군을 탐지
주변에 있는 기생충을 감지하는 유용한 아이템. 고립 시에 유용하다.



2.2.1.4. 무기[편집]



2.3. 기생충[편집]



2.3.1. 감염자[편집]


감염자
변화 요건감염도 수치가 최대에 달함
이미 진행중인 게임에 신규 가입
승리 목표인간들을 모두 감염
이들은 공통적으로 멀리 떨어진 인간들을 일정 시간마다 표시되는 핑으로 거리와 위치를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이 있다. 등급이 높을 수록 스폰 확률이 낮으며, 일부는 높은 등급으로 진화 할 수도 있다.


2.3.1.1. Vessel(Phase 1)[편집]

비셀
등급1
체력100
이동속도12
공격 대미지18-25
감염도 대미지20
기생충이나 포자로 인해 납치된 시신
가장 약한 감염자. 권총만 잘 쏴도 쉽게 잡는다. 하지만 공격 시 일정 거리를 도약하는 기능이 있어 은근 뒷치기나 추격을 당하기 쉽다.

외형은 기생충이 인간의 목을 덮고 꺾은 채 한쪽 팔이 날렵하게 발달한 모습이다.


2.3.1.2. Prowler(Phase 2)[편집]

프라울러
등급2
체력160
이동속도12
공격 대미지30-35
감염도 대미지25
인간을 동화시켜 생체량을 흡수시키고 감염을 진화시킨 비셀
조금 더 강한 감염자. 비셀 다음으로 흔하다. 체력이 조금 더 높고 도약 거리가 더 긴 점을 제외하면 달라진 점이 없으므로 권총으로 무난하게 처리할 수 있다.

외형은 머리부분은 같으나 몸통에는 여러 다리들과 플레이어의 팔 부분엔 날렵하게 발달한 다리가 있으며 숙주의 척추가 지나칠 정도로 늘어난 모습이다.

이름의 뜻은 배회자이다.


2.3.1.3. Thrashor(Phase 3A)[편집]

트래셔
등급3A
체력100
이동속도12
공격 대미지18-25
감염도 대미지20
감염도가 충분해 스스로 빠르게 성장한 기생체
위의 프라울러보다 공격능력이 낮은 대신 기동성이 우수한 개체. 좁은 곳에서 마주치면 은근 도망치기 힘들다.

외형은 플레이어의 다리와 머리가 끊기고 상체만 남았는데 상체부분엔 거대한 기생체가 붙어있으며 여러 다리가 달려있는 모습이다.


2.3.1.4. Slicer(Phase 3B)[편집]

슬라이서
등급3B
체력200
이동속도18
공격 대미지40-45
감염도 대미지25
감염도가 충분에 스스로 빠르게 성장한 기생체
체력도 비셀의 두 배이고 이동속도도 빠른데다 공격력도 높은 강적. 권총 6발로 처치가 가능하나 특유의 빠른 속도 때문에 죽이기 쉽지 않다. SMG 이상의 고화력의 무기를 사용하자.

외형은 프라울러와 같으나 머리 부분에는 거대한 망치를 연상시키는 뼈 뭉치가 달린 모습이다. 실제로 공격할 때 뼈뭉치로 마구마구 찍어대는데 머리가 너무 움직이다 보니 문을 열기 힘들다는 옥의 티가 있다.


2.3.1.5. Puker(Phase 3C)[편집]

푸커
등급3C
체력250
이동속도18
공격 대미지0
감염도 대미지0
새로운 생명의 탄생
3등급 개체들 중 가장 높은 체력을 가졌으나 특이하게도 공격 능력이 없는데, 이 녀석은 소환수로써 기생충을 마구마구 소환한다. 만약 상대 인간이 연사력이 낮은 권총이나 스나이퍼, 샷건이 주무장이라면 그대로 밀릴 수 밖에 없다. 하지만 화염 방사기라면 기생충들이 마구 쓸려나가 인간 입장에서는 돈 셔틀이 된다...

외형은 기존의 프라울러에 여러 갈래로 갈라지는 거대한 입이 생긴 모습이다.


2.3.1.6. Reek(Phase 4A)[편집]

리크
등급4A
체력350
이동속도20
공격 대미지40-45
감염도 대미지25
새로운 생명의 탄생
체력도 비셀의 3.5배에다, 이동 속도도 거의 2배나 되고 공격 능력도 높은 강적. 이제는 권총의 전탄을 소비해도 못 잡으며 조우 시 산탄총 이상의 고화력의 무기를 준비해놓아야 한다.

외형은 기존의 슬라이서에 더욱 거대하고 가느다란 세 다리가 생긴 모습이다.


2.3.1.7. Ravager(Phase 4B)[편집]

레비저
등급4B
체력500
이동속도20
공격 대미지35-40
감염도 대미지20
새로운 생명의 탄생 이제는 과학적 학문이 날먹을 하네
감염자들 중 최고 등급의 최강적으로 인간은 화염방사기를 들고 있어도 1대1 전면전을 하게에는 무리다. 발견시 무조건 도망가야 하며, 안 그러면 목숨을 잃을 확률이 높다. 말 그대로 움직이는 재앙. 하지만 인간이 다구리를 치거나 화염 방사기가 2~3명일 시 그냥 쓸려나가니 주의. 죽이려면 스나이퍼 3발을 잘 맞추거나, 소총의 절반을 난사해야 한다. 화염 방사기를 제외한 그 이하의 무기로는 절대 못 잡는다.

외형은 기존의 슬라이서에 짧고 날렵한 뒷 다리와 거대한 옆 다리, 머리에는 슬라이서의 뼈뭉치가 생긴 모습이다. 덩치가 거대해서 쿵쿵 소리를 자주 내며 공격 시 땅을 강타해 충격파를 일으키고 근처에 있는 모든 인간들에게 피해를 준다.

이름의 뜻은 약탈자.

2.4. NPC[편집]



2.4.1. Blighter[편집]



2.4.2. Corrupter[편집]



2.4.3. Bloater[편집]



2.4.4. Warner[편집]



2.4.5. Berserker[편집]



2.4.6. Amplifier[편집]



2.4.7. Polyps[편집]



2.5. 맵[편집]


  • 맵 내 요소
    • 아이템(아이템 문단 참조)
    • 폭발물 드럼통
    • 상자
    • 진열대
  • 복도 특징
    • 불 켜짐
    • 불 꺼짐
    • 불 꺼짐+감염 포자
    • 불 꺼짐+감염체

2.5.1. 로비[편집]


상점이 있는데, 아이템을 구매할 수 있는 곳으로, 준비 시간동안 로비의 앞 부분으로 가면 품목을 구매할 수 있다.

2.5.2. 화물실[편집]



2.5.3. 제 1구역[편집]



2.5.4. 제 2구역[편집]



2.5.5. 제 3구역[편집]



2.5.6. 제 4구역[편집]



2.5.7. 코어룸[편집]



2.6. 팁[편집]



2.7. 배지[편집]



2.8. 문제점[편집]



2.9. 여담[편집]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02 18:26:45에 나무위키 Parasite(Roblox)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버그였으나 패치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