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S

덤프버전 :

1. Point of Sales의 이니셜
2. proof-of-stake의 이니셜
3. Pirates of Space의 이니셜
4. CCM 밴드


1. Point of Sales의 이니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Point of Sales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2. proof-of-stake의 이니셜[편집]





암호화폐에서 proof-of-stake의 이니셜. 가치 증명, 또는 지분 증명으로 번역된다.

POW와는 근본적으로 다른 조폐 개념으로, 신규 코인을 발행할 때 이미 기존에 코인을 가지고 있던 사람들에게 전체 대비 각각의 소지량의 비율만큼을 지급하는 방식이다. 즉 암호화폐하면 으레 생각하는 채굴이 없다! 단, 현실적으로 액수에 관계없이 코인을 보유한 모든 지갑에 일괄적으로 %를 더하는 것은 불가능하므로, 조폐 과정에 참여하고 싶은 사람들이 일정 액수를 걸고(stake), 랜덤하게 추첨하여 참여자들 중 한명에게 다음 블록 보상(신규 코인)이 돌아가는 방식을 쓴다. 당연히 더 많이 걸수록 당첨 확률이 늘어난다. 참여에 필요한 최소 액수가 적어도 한화 수억원 어치이므로(...)[1], 일반인들은 마이닝 풀과 유사한 개념인 스테이크 풀에 코인을 위탁해서 추첨에 참여한다. 비슷한 개념인 DPOS라는 위임(delegated) 지분증명이 있다. 하지만 똑같이 위임을 해도 dPOS는 합의로 블록 주인을 결정하기에 블록 주인 결정 방식이 다르다.

얼핏 들으면 돈놓고 돈먹는 해괴한 시스템으로 보일 수 있으나, 코인캡[2]의 등락 없이는 신규 코인이 잔뜩 발행돼도 개당 가격이 내려가므로 각 코인 소유자들의 자산 가치는 동일하게 유지됨을 알 수 있다. 특정 집단이 과반수를 차지할 경우 그들의 지분이 계속 늘어나는 폐해가 벌어질 수 있으나, 채굴의 51%공격과 마찬가지로 당사자들의 이해관계 때문에 자정능력을 가진다. 채굴(proof-of-work) 대비 가장 큰 장점은 채굴에 들어가는 막대한 양의 에너지 낭비 없이 조폐와 거래를 운용할 수 있다는 점이다. 단점은 탈중앙화된 신규 코인은 이런 식으로 발행하기가 쉽지 않다는 점.

Qtum 등에서 POS를 채택하고 있다.

POW와 POS 외에 POI라는 기술도 있다.

3. Pirates of Space의 이니셜[편집]


현재는 해체된 스타크래프트 프로게임단인 MBC GAME HERO의 전신. 해당 문서 참조.

4. CCM 밴드[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POS(CCM)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파일:크리에이티브 커먼즈 라이선스__CC.pn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1-01 18:54:47에 나무위키 POS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게다가 이건 “최소”고, 이 정도로 걸어봤자 신규 코인을 얻을 가능성은 제로에 가깝다.[2] 해당 암호화폐의 시가총액