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LAVE/세계관

덤프버전 : (♥ 0)


파일:나무위키+상위문서.png   상위 문서: PLAVE


파일:plavelogo.png




[ 발매 음반 ]
파일:ASTERUM.jpg
파일:왜요왜요왜1.jpg
파일:ASTERUM : The Shape of Things to Come.jpg
파일:MerryPLLIstmas.jpg

싱글
>
2023. 03. 12.

{{{#!wiki style="display: inline; padding: 2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f2b1c5; font-size: .7em;"디지털 싱글
2023. 05. 25.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0; padding: 2px 0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9CCC68; font-size: .7em;"미니

2023. 08. 24.

{{{#!wiki style="display: inline; margin-left: -1px 0; padding: 2px 0 2px 3px; border-radius: 3px; background: #000; font-size: .7em;"디지털

2023. 12. 12.




1. 개요
2. 서사



1. 개요[편집]


대한민국의 5인조 버추얼 보이그룹 PLAVE의 세계관을 정리한 문서이다.


2. 서사[편집]


파일:ASTERUM_EARTH.jpg
  • 가상세계 카엘룸(Caelum)[6][7]에 살던 멤버들이 지구의 개발자로부터 능력을 부여받아 아스테룸(Asterum)[8]이라는 신비한 중간계로 오게 되었고, 아스테룸에 존재하는 균열을 통해 테라(Terra: 지구)와 소통할 수 있게 되었다는 세계관이다.
    • 멤버 하민의 경우는 카엘룸에서 태어나지 않았으며[1], 컴퓨터 자체에서 스스로 태어나 개발자에게 발견되어 카엘룸으로 옮겨진 존재이다. '이 세계에서 유일하게 인간과 소통할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소년'이라는 설정이 있다.[2]
    • 멤버들을 👽외계인들이라고 지칭하는 걸 자주 볼 수가 있는데, 테라(지구)인의 입장에서는 지구가 아닌 다른 천체에서 태어난 생명체이기 때문이다.
    • <기다릴게>의 M/V에서 멤버들이 카엘룸에서 아스테룸으로 오는 여정을 확인할 수 있다.
    • <여섯 번째 여름>[3]의 M/V는 아스테룸에 온 이후의 밤비의 꿈 속 시점으로 전개되며, '아이돌이 된 PLAVE가 테라의 존재들이었다면'이라는 설정으로 만든 또 다른 평행우주를 그린 것이다.
    • <Way 4 Luv> M/V에는 플리의 사랑을 상징하는 하트의 안내에 따라, 아스테룸에서 테라로 플리를 보러가기 위한 여정이 담겨 있다.[5]
      • 망토를 둘러쓴 정체불명의 5명 'Caligo'[4]의 떡밥은 아직 풀리지 않았다.

  • PLAVE 세계관의 핵심 키워드인 시공간영원을 음악 전반에 녹이고 메시지를 빚어내며[9], 이들이 말하는 '영원'은 점점 더 실체를 갖추고 있고 플리들을 통해 이뤄지고 있다. 자신들의 존재 가치와 실재성을 증명해내며 아이돌로서 성장하는 서사를 구축하는 중이다.[10]


3. 특수능력[편집]


파일:나무위키상세내용.png   자세한 내용은 PLAVE/특수능력 문서를 참고하십시오.


[1] <기다릴게> M/V에서도 각자의 공간에서 자유롭게 활동하는 멤버들과 달리 하민은 검은 디지털 공간에 갇혀있는 듯한 장면이 있다.[2] <기다릴게>의 M/V 속 노아의 예언서에 적혀진 내용이며, 이에 따르면 인간계와 카엘룸을 하나로 융합하기 위해서는 두 세계와 소통하는 아이돌 그룹이 필요하다는 조건이 있다.[3] 아스테룸에 멤버들이 모인 '이후', 5명이 각자 겪은 5번의 여름을 지나 하나가 되어 처음으로 맞는 여섯 번째 여름이라는 의미이다.[4] 라틴어로 어둠, 안개라는 의미이며, 개발자의 아스테룸 접속을 방해해왔다.[5] M/V의 마지막에 테라로 넘어갈 수 있는 통로로 보이는 크레이터를 발견하는 것으로 끝이 난다.[6] PLAVE 세계관 속 존재들이 살고 있는 세계이다. 개발자에 의해 만들어진 컴퓨터 기반 가상 세계이자 일종의 평행우주로, 그 세계에 속해 있는 존재들이 자아를 가지고 있다.[7] '테라의 무한한 가능성을 지닌 창조물은 밤하늘의 별이 빛나는 광활한 공간을 만나고, 사랑이 축적되어 카엘룸에서 탄생하게됩니다.'(원문: In Terra, the boundless creation encounters the starry expanse of the night sky, leading to a transformation brought about by the accumulation of love, cumulating in the birth of Caelum.)라는 탄생 과정 떡밥이 플레이브 1주년 팝업 스토어 굿즈인 옷 프린팅으로 추가적으로 풀렸다.[8] 하민이 가진 데이터화 능력을 바탕으로 개발자와의 소통을 통해 프로그램으로 구현된 공간이다.[9] '너의 그곳에 내가 닿을 수 있게'(기다릴게) 노력하겠다고 말하고, '영원을 말했죠 꿈이 아니기를'(여섯 번째 여름), 너와 함께하는 '이 순간을 기억'하며 '영원히 간직'(I JUST LOVE YA)하겠다고 약속한다.[10] #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PLAVE 문서의 r780에서 가져왔습니다. 이전 역사 보러 가기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다른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 펼치기 · 접기 ]
PLAVE 문서의 r780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문서의 r (이전 역사)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4-05-21 05:12:04에 나무위키 PLAVE/세계관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